실존주의의 인간관과 교육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존주의의 인간관과 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실존주의

1.실존주의의 배경
1) 역사적 배경
2) 이론적 배경
2. 실존과 실존주의의 정의(定義)
3. 실존주의의 의미
4. 실존주의의 사상가
1) 키에르케고르 (Soren Aabye Kierkegaard)
2) 야스퍼스 (Karl Theodor Jaspers)
3) 하이데거 (Martin Heidegger)


Ⅱ. Jean-Paul Sartre
1. 사르트르의 생애
2. 사르트르 사상의 원천들
3. 사르트르의 실존주의
4. 사르트르의 교육관
5. 그의 저작에서 나타나는 실존주의
1) 구토
2) 존재와 무
3)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


Ⅲ. Martin Buber
1. 부버와 현대 교육의 당면과제와 만남
2. 부버의 생애
3. 하시디즘
4. 만남의 철학
5. 부버의 교육철학
6. 부버철학의 교육적 원용사례
7. 부버철학의 현대교육적 평가


Ⅳ. 이외의 실존주의 교육사상가
1. Otto F. Bollnow


Ⅴ. 실존주의의 교육관
1. 실존주의의 교육목적
2. 실존주의의 교육이론
1) 개인의 중요성 강조
2) 사회적 적합성에 대한 반항
3) 전인교육의 중시
4) 인격교육의 중시
5) 자기이해 중시
3. 실존주의의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1) 교과목 그 자체보다 다루는 방법을 중시
2) 인문학과 예술학 강조
3) 삶의 부조리, 불안을 중요시
4) 보편화된 교육, 집단적인 획일화 비판
5) 교훈적이고 권고적이기보다 촉진적인 교육방법
6) 비연속적 형성의 교육가능성 제기
4.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
1) 상호인격적 친교의 관계
2) 구도적 동반자의 관계
3) 상호포용적 관계
4) 상호개방적 신뢰의 관계
5) 상호 개성의 조화적 관계
6) 대화적 관계
5. 실존주의철학에 있어서 교육의 중요한 임무
6. 실존주의의 교육적 가치
7. 실존주의 교육의 한계점

본문내용

은 철학한다(Philosophieren)는 일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이 철학적 사색은 순차로 3개의 존재의 차원(世界實存超在)을 거치는데, 이에 따라서 철학은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① 우선, 구래(舊來)의 과학적철학적 세계인식(世界定位:Weltorientierung)을 가지고는 인간의 현존재를 포함하는 세계의 전체적 인식은 불가능하며, 또 주체적으로 경험하는 존재 또는 초재(超在)를 개념적으로 파악할 수도 없다. 이 인식활동의 한계를 규명하고 거기로 이끌어가는 것이 철학적 세계정위이다.
② 그러나 존재의 탐구는 이 한계에서 반전(反轉)하여 자기의식으로 내향(內向)한다. 인간은 그 세계존재를 자기를 초월하며 거기서 자각적으로 이해할 수밖에 없는 실존을 모색한다. 이것이 실존개명(實存開明)이다. 인간의 실존에서의 불가시적(不可視的)인 궁극의 자기존재는 항상 어떤 것을 향한 약진인데, 인간은 단순한 세계존재, 즉 공리성(功利性)과 안이성으로 타락의 위험에 처해 있다. 그러나 이 본래적인 자기존재는 인간의 깊은 상호교섭(通心:Kommunikation) 속에서 드러나는 것이며, 더욱이 이 통심에서 인간의 자유가 결단의 순간에 강하게 자각된다. 실존은 자유 때문에 가능적 실존으로서 미완(未完)인데, 더욱이 역사적으로 과거로부터 한정(限定)되어 있는 현존재를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다는 필연성의 한계상황(Grenzsituation)에 놓여 있다. 또한 그 밖에 죽음고뇌투쟁죄책 등 숙명적인 한계상황을 면하지 못하고 오히려 이 한계상황을 감내하여 세계에 버티어 내는 각오가 실존의 본질이며, 이 한계상황에서의 좌절 가운데서 실존은 보다 깊게 개명(開明)조파(照波)되는 것이다.
③ 이와 같은 실존은 유한적이며, 이러한 유한성을 지양하는 절대적 존재(超在)가 추구된다. 즉, 위와 같은 객체적인 세계존재와 주체적인 자기존재를 초월하여 하나의 이념 가운데 주객(主客)의 긴장갈등이 지양된다. 이러한 초재는 좌절의 암호(暗號) 가운데 모습을 나타낸다. 형이상학이란 일자(一者)를 초월적 대상으로서 인식하는 일이 아니라 실존과 초월자와의 만남으로써 아는 일이다. 인류의 가장 심각한 체험은 형이상학과 종교의 역사에 암호문자로 쓰여진 것이며, 형이상학은 초재 현현(顯現)의 암호해독(Chiffrelesen)인 것이다. 1937년 부인이 유대인이라 하여 교직에서 쫓겨났지만, 제2차 세계대전 중에도 그 철학적 정신은 흐리지 않았으며, 전후에는 곧 복귀하여 대학의 부흥에 힘썼다. 전쟁 중의 경험을 통하여 《전쟁죄책론》의 반성이 나와 전후 세계에 큰 영향을 주었다. 48년 바젤대학 교수가 되었고, 61년 은퇴 후에는 47년에 제1권을 내어 자기 체계의 재구축을 시도한 《철학적 논리학:Philosophische Logik》의 속권 집필에 힘썼다.
3) 하이데거(Martin Heidegger, 1889.9.26~1976.5.26)
독일의 철학자. 20세기 독일의 실존철학의 대표자. 바덴주(州) 메스키르히 출생. 프라이부르크대학에서 E.후설에게 현상학(現象學)을 배웠다. 1923년 마르부르크대학 교수, 28년 후설의 뒤를 이어 프라이부르크대학 교수, 33~34년 총장을 지냈으나, 제2차 세계대전 중에 나치스에 협력하였다는 이유로 전후에 한때 추방되었다. 후에 다시 복직하여 강의를 하였지만, 전전전후를 통틀어 그의 사색의 대부분은 슈바르츠발트의 산장(山莊)에서 이루어졌다. 하이데거가 일약 유명해진 것은 주요저서 《존재와 시간:Sein und Zeit》(1927) 때문이며 이것은 전체 구상의 전반부(前半部)에 해당하며, 처음에 후설이 편집하는 현상학에 관한 연구연보(硏究年報)에 발표되었다. 여기에서는, 존재를 이해하는 유일한 존재자인 인간(현존재)의 존재(실존)가 현상학적실존론적 분석의 주제가 되고, 현존재의 근본적인 존재규정인 관심의 의미가 시간성으로서 확정되는 데서 끝맺고 있다. 그는 거기에서 《존재와 시간》의 본래의 주제인 존재와 시간의 관계로 되돌아가 현존재의 시간성(時間性)을 실마리로 해서 존재의 의미를 시간에 의하여 밝히는 동시에 역사적전통적인 존재개념을 역시 시간적인 지평(地平)에서 구명(究明)할 예정이었으나, 이 후반부는 미발표로 그쳤다. 즉, 그가 실존사상의 대표자로 간주된 것은, 이 현존재의 실존론적 분석 부분 때문이며, 여기에서는 불안무(無)죽음양심결의퇴락(頹落) 등 실존에 관계되는 여러 양태(樣態)가 매우 조직적포괄적으로 논술되었다. 현존재의 존재의미가 과거현재미래의 삼상(三相)의 통일인 시간성으로서 제시된 것도, 인간이 시간적역사적 존재라고 하는 삶의 철학 이래의 사상을 실존의 시점(視點)에서 다시 포착한 것이었다. 덧붙여 말하자면, 그의 현존재 분석의 수법은 정신분석에서 문예론(文藝論), 더 나아가 신학(神學)에까지 영향을 주었다. 1935년 전후를 경계로 해서 하이데거의 사색은 존재 그 자체를 직접 묻는 방향으로 향한다. 존재는 개개의 존재자와 동렬(同列)에 있는 존재자가 아니라, 존재자들을 저마다의 존재자로 존재하게 하는 특이한 시간공간이며, 인간은 거기에 나타나는 것으로 개존(開存:Eksistenz)이다. 서양의 철학은 예로부터 존재를 존재자로서 파악하는 형이상학인 것이며, 거기서부터 하이데거의 역시 특이한 사관(史觀)이라 할 수 있는 존재사관이 탄생한다. 존재자를 인간의 객체로서 기술적으로 처리하는 인간중심적인 폐존(閉存:In-sistenz)의 입장은 이 형이상학에, 즉 존재의 망각(忘却)에 유래한다. 현대에 필요한 한 가지 일은, 형이상학의 역사적 유래를 앎으로써 그것을 극복하고 역사를 지배하는 존재 그 자체에 청종(聽從)하면서 그것을 지키고 간직하는 일이다. 하이데거의 이와 같은 존재의 사색이 《존재와 시간》의 목표였던 존재 그 자체의 해명과 연속되어 있느냐 아니냐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논의가 있지만, 인간 본연의 자세에 대한 견해가 변화하고 있는 것만은 확실하며, 그런 의미에서는 후기(後期)의 하이데거를 이를테면 J.P.사르트르 등과 동렬의 실존주의자로 간주할 수는 없다. 그 밖에 주요 저작으로 《칸트와 형이상학의 문제》(29)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29) 《휴머니즘에 관하여:
  • 가격3,0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05.01.27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36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