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프로그램 현황
2. 신청 프로그램의 대상과 문제정의
3. 신청 프로그램의 목적, 목표, 하위목표
4. 신청 프로그램의 형성기
청소년비행의 推移 및 영향
5. 신청 프로그램 내용 및 실시방법
6. 예산수립 및 자금조달 계획
7. 과정 및 결과 평가표
2. 신청 프로그램의 대상과 문제정의
3. 신청 프로그램의 목적, 목표, 하위목표
4. 신청 프로그램의 형성기
청소년비행의 推移 및 영향
5. 신청 프로그램 내용 및 실시방법
6. 예산수립 및 자금조달 계획
7. 과정 및 결과 평가표
본문내용
수록 지능화하며 또 폭력화되며, 단돈 몇 백원을 빼앗기 위해서 흉기를 휘두르게 된다고 보도하고 있다. 따라서 학생들은 항상 피해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며 피해를 당하더라도 보복이 두려워서 신고를 하지 못한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이 심회됨으로 인해서 자녀들의 안전을 걱정하는 많은 학부모들이 자녀들에게 불량청소년을 만났을 때 빼앗길 돈을 미리 준비시켜서 다니게 하는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음을 보도하고 있다..‘청소년 범죄피해에 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1.
이와 같은 청소년들의 범죄는 날로 심각하여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흉포화하고 집단화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특히 범죄청소년들에게 학생들이 당하는 범죄피해가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므로 그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 프로그램을 연구하게 되었다.
<표1>총 범죄 대비 청소년 범죄의 구성현황과 청소년 범죄 대비 학생범죄의 구성현황
연도
총범죄(A)
총소년 범죄
학생범죄
인원(B)
구성비(B/A)
인원(C)
구성비(C/B)
학생범증가율(전년%)
1989
1,337,587
108,015
8.1
52,409
48.5
+24.7
1990
1,402,417
105,567
7.5
55,026
52.1
+4.9
1991
1,540,914
102,537
6.7
56,496
55.1
+2.7
1992
1,542,035
99,301
6.4
57,057
57.5
+1.0
1993
1,738,952
110,604
6.4
66,074
59.7
+15.8
(자료: 문화체육부, 청소년 백서, 1994)
본 프로그램은 한가지 현상을 등장시켜, 이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게 되는데 청소년의 비행으로 피해입은 다른 청소년들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청소년의 비행에 대한 현황에 대해서 좀 살펴보아야 하겠다.
대상집단
산 출 근 거
인원수
일반집단
폭력과 비행으로 피해가 사회문제로 부각된 학교의 학생들
1,450명
위험집단
폭력과 비행으로 피해입은 경험이 있는 학생
275명
표적집단*
폭력과 비행의 피해자로 상담을 했거나 주위 사람에게 알린적이 있는 학생들
111명
클라이언트수
표적집단중 다음의 항에 만족하는 자
97. 7~25월 및 98. 7~25월에 폭력ㆍ피해상담을 요청 해 온 피해청소년
본인 및 가족이 프로그램에 적극적인 참가를 동의
7~8명
2) 프로그램 대상의 문제 및 원인 & 필요성
급속하게 변해가는 현대사회에서 청소년기의 건전한 심신의 발달은 미래사회의 발전을 운명짓는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인 발달이 급속하게 이루어지는 청소년기는 주로 학교와 가정이라는 두 개의 장소를 중심으로, 성장에 따른 문제와 욕구를 탐색하고 해결하려는 노력을 하게 된다.
비행청소년의 성격적 특징은 대부분 본질적으로 손상 받은 자아 개념을 반영한다.(Fitts ,Hammer)청소년이 처한 구조적 상황이 아무리 나쁘더라도 부모와의 관계가 긍정적이면 비행이 줄어든다는 연구(Mussenet.al,1984) 예를 들면 불행한 정상가정보다는 결손가정에서 더 적은 비행을 보인다는 Nay(1958)의 연구에서 볼 때, 자녀에 대한 부모의 태도나 양육방식이 자아개념 형성에 영향을 주며 이는 다시 비행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해 준다. 심응철(1992)의 심리적 성장환경과 자아개념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자아개념 수준이 모든 비행(지위, 폭력, 재산, 성, 약물)에서 상위집단과 하위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밝혔고, 자아개념은 비행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대부분 학생들을 상대로 한 불량청소년들의 금품갈취가 갈수록 지능화하며 또 폭력화되며, 단돈 몇 백원을 빼앗기 위해서 흉기를 휘두르게 된다고 보도하고 있다. 따라서 학생들은 항상 피해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며 피해를 당하더라도 보복이 두려워서 신고를 하지 못한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이 심회됨으로 인해서 자녀들의 안전을 걱정하는 많은 학부모들이 자녀들에게 불량청소년을 만났을 때 빼앗길 돈을 미리 준비시켜서 다니게 하는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음을 보도하고 있다..‘청소년 범죄피해에 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1.
이와 같이 청소년들의 범죄는 날로 심각하여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흉포화하고 집단화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특히 범죄청소년들에게 학생들이 당하는 범죄피해가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므로 그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 프로그램을 연구하게 되었다.
3. 신청 프로그램의 목적, 목표, 하위목표
목적: 이 프로그램은 청소년(친구 혹은 또래집단)비행으로 피해입은 청소년의 분 노, 불안, 스트레스, 우울의 감정을 해결하고 원만한 교우관계와 학교생활에 활력을 넣어주기 위하여 피해 청소년의 분노 행동과 상처입은 마음을 치료 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특히 피해로 인한 분노적 감정을 해결하여 자 아정체감을 형성하고 자신감, 자신의 존재가치 및 삶의 의미를 느끼게 하여 삶에 진지하게 대면할 수 있게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써 분노해결을 중심으 로 접근하고자 한다.
목표 Ⅰ. 자신의 장점을 표출시키고 자기의 의견을 말하는 훈련을 통해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하위목표 1 : 자아감 향상훈련을 실시한다.
하위목표 2 : 건전여가활동에 참여한다.
목표 Ⅱ.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가상의 문제를 만들어 의사소통을 통하 여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시킨다.
하위목표 1 : 대처기술훈련을 실시한다.
하위목표 2 : 역할극을 통해 자신이 처한 상황을 재연하고 분석하 여 대응하도록 한다.
목표 Ⅲ. 학교생활을 지원한다.
하위목표 1 : 또래집단과의 관계를 밀접히 한다.
하위목표 2 : 학교적응력을 높인다.
하위목표 3 : 지역사회 협조체계를 개발한다.
4. 신청 프로그램의 형성기
1) 프로그램의 이론 및 경험적 기반
☞청소년비행의 現況
청소년비행의 正義
소년비행의 정의는 그리 용이하지 않다.
이는 비행의 한계난 정의가 한사회 국가의 도덕, 전통, 관습등에 따라 관점을 달리하며, 한 사회내의 단체나 개인의 判斷基準에 따라서도 견해를 달리하기
이와 같은 청소년들의 범죄는 날로 심각하여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흉포화하고 집단화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특히 범죄청소년들에게 학생들이 당하는 범죄피해가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므로 그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 프로그램을 연구하게 되었다.
<표1>총 범죄 대비 청소년 범죄의 구성현황과 청소년 범죄 대비 학생범죄의 구성현황
연도
총범죄(A)
총소년 범죄
학생범죄
인원(B)
구성비(B/A)
인원(C)
구성비(C/B)
학생범증가율(전년%)
1989
1,337,587
108,015
8.1
52,409
48.5
+24.7
1990
1,402,417
105,567
7.5
55,026
52.1
+4.9
1991
1,540,914
102,537
6.7
56,496
55.1
+2.7
1992
1,542,035
99,301
6.4
57,057
57.5
+1.0
1993
1,738,952
110,604
6.4
66,074
59.7
+15.8
(자료: 문화체육부, 청소년 백서, 1994)
본 프로그램은 한가지 현상을 등장시켜, 이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게 되는데 청소년의 비행으로 피해입은 다른 청소년들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청소년의 비행에 대한 현황에 대해서 좀 살펴보아야 하겠다.
대상집단
산 출 근 거
인원수
일반집단
폭력과 비행으로 피해가 사회문제로 부각된 학교의 학생들
1,450명
위험집단
폭력과 비행으로 피해입은 경험이 있는 학생
275명
표적집단*
폭력과 비행의 피해자로 상담을 했거나 주위 사람에게 알린적이 있는 학생들
111명
클라이언트수
표적집단중 다음의 항에 만족하는 자
97. 7~25월 및 98. 7~25월에 폭력ㆍ피해상담을 요청 해 온 피해청소년
본인 및 가족이 프로그램에 적극적인 참가를 동의
7~8명
2) 프로그램 대상의 문제 및 원인 & 필요성
급속하게 변해가는 현대사회에서 청소년기의 건전한 심신의 발달은 미래사회의 발전을 운명짓는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인 발달이 급속하게 이루어지는 청소년기는 주로 학교와 가정이라는 두 개의 장소를 중심으로, 성장에 따른 문제와 욕구를 탐색하고 해결하려는 노력을 하게 된다.
비행청소년의 성격적 특징은 대부분 본질적으로 손상 받은 자아 개념을 반영한다.(Fitts ,Hammer)청소년이 처한 구조적 상황이 아무리 나쁘더라도 부모와의 관계가 긍정적이면 비행이 줄어든다는 연구(Mussenet.al,1984) 예를 들면 불행한 정상가정보다는 결손가정에서 더 적은 비행을 보인다는 Nay(1958)의 연구에서 볼 때, 자녀에 대한 부모의 태도나 양육방식이 자아개념 형성에 영향을 주며 이는 다시 비행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해 준다. 심응철(1992)의 심리적 성장환경과 자아개념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자아개념 수준이 모든 비행(지위, 폭력, 재산, 성, 약물)에서 상위집단과 하위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밝혔고, 자아개념은 비행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대부분 학생들을 상대로 한 불량청소년들의 금품갈취가 갈수록 지능화하며 또 폭력화되며, 단돈 몇 백원을 빼앗기 위해서 흉기를 휘두르게 된다고 보도하고 있다. 따라서 학생들은 항상 피해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며 피해를 당하더라도 보복이 두려워서 신고를 하지 못한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이 심회됨으로 인해서 자녀들의 안전을 걱정하는 많은 학부모들이 자녀들에게 불량청소년을 만났을 때 빼앗길 돈을 미리 준비시켜서 다니게 하는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음을 보도하고 있다..‘청소년 범죄피해에 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1.
이와 같이 청소년들의 범죄는 날로 심각하여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흉포화하고 집단화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특히 범죄청소년들에게 학생들이 당하는 범죄피해가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므로 그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 프로그램을 연구하게 되었다.
3. 신청 프로그램의 목적, 목표, 하위목표
목적: 이 프로그램은 청소년(친구 혹은 또래집단)비행으로 피해입은 청소년의 분 노, 불안, 스트레스, 우울의 감정을 해결하고 원만한 교우관계와 학교생활에 활력을 넣어주기 위하여 피해 청소년의 분노 행동과 상처입은 마음을 치료 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특히 피해로 인한 분노적 감정을 해결하여 자 아정체감을 형성하고 자신감, 자신의 존재가치 및 삶의 의미를 느끼게 하여 삶에 진지하게 대면할 수 있게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써 분노해결을 중심으 로 접근하고자 한다.
목표 Ⅰ. 자신의 장점을 표출시키고 자기의 의견을 말하는 훈련을 통해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하위목표 1 : 자아감 향상훈련을 실시한다.
하위목표 2 : 건전여가활동에 참여한다.
목표 Ⅱ.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가상의 문제를 만들어 의사소통을 통하 여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시킨다.
하위목표 1 : 대처기술훈련을 실시한다.
하위목표 2 : 역할극을 통해 자신이 처한 상황을 재연하고 분석하 여 대응하도록 한다.
목표 Ⅲ. 학교생활을 지원한다.
하위목표 1 : 또래집단과의 관계를 밀접히 한다.
하위목표 2 : 학교적응력을 높인다.
하위목표 3 : 지역사회 협조체계를 개발한다.
4. 신청 프로그램의 형성기
1) 프로그램의 이론 및 경험적 기반
☞청소년비행의 現況
청소년비행의 正義
소년비행의 정의는 그리 용이하지 않다.
이는 비행의 한계난 정의가 한사회 국가의 도덕, 전통, 관습등에 따라 관점을 달리하며, 한 사회내의 단체나 개인의 判斷基準에 따라서도 견해를 달리하기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복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이해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특징과 문제점 그리고 개선방안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쟁점과 과제
사회복지공동모금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모금과 활동방법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후원기금 조성을 위한 기획 사업에 대해 조사를 하고, 보다 효과적인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人間行動 社會環境] 인간소외와 사회복지 - 인간소외 문제에 대한 국가...
우리나라 공동모금제도(공동모금이란, 지역공동모금, 공동모금의사회적기금, 공동모금제도, ...
지역사회복지공동모금의 효과와 한계 5가지
지역사회복지공동모금의 효과와 한계
지역사회 자원동원의 이해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장단점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