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조직 실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사회조직 실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조직과 지역사회 복지의 차이

2. 지역사회의 개념

3. 지역사회조직의 개념

4. 지역사회조직의 특성

5. 지역사회 복지의 정의

6. 지역사회 복지 실천 원칙과 기능

7. 지역사회의 이론적 유형

8. 지역사회복지 실천가의 역할

9. 지역사회복지 사업의 과정

10. 지역사회 복지의 사회적 기구

11. 지역사회 복지 실천의 방법

본문내용

사의 단계
① 지역실태조사, 앙케이트 조사, 주민의 토론과 좌담회
② 중간집단의 형성 (위원회, 협의회, 협회)
③ 문제에 대한 토의 및 자원을 확인
⑵ 계획의 수립
진단을 중심으로 계획은 수립 분석하고 자조적인 계획 및 대책을 강구
⑶ 계획의 실시와 촉진(실행의 촉진)
① 사회복지사업 계회의 인식의 보급
② 활동의 동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 홍보활동
③ 조직내부의 상호협력관계를 유지 강화 할 수 있는 조정활동
⑷ 자원의 활용 및 동원
① 인적, 물적, 사회적, 기타 각종 자원을 활용
② 참여증진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
⑸ 활동의 평가
① 목표의 성취도
② 수행과정에서 야기된 문제점을 원인별로 검토하여 수행
10. 지역사회 복지의 사회적 기구
⑴ 지역사회 복지 협의회 (community welfare council)
지역사회가 요구하는 사회복지가 가능한 한 적적히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도록 상호협동계획이나 활동을 조정하는 일
① 유형
a. 사회복지기관협의회
사회복지기관이나 사회복지를 전담하는 위원회, 부서를 가진 여타의 단체 로 구성
b. 지역사회 복지 협회
ⓐ 전문, 혹은 비전문가인 회원과 사회복지기관을 대표하는 단체회원들로 구성
ⓑ 사회복지기관들을 조정하고 보건과 복지 프로그램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과 함께 사회행동등도 참여
c. 전문 분야 협의회
기능적인 형태로 소 협의회, 혹은 독립기구로 존재한다.
(예, 아동복지협의회, 레크리에이션 협의회, 사회복지시설 연합회, 청소년 연맹 등)
② 기능
a. 조사연구의 기능
b. 조정, 협력의 기능
c. 조정적 활동 기능
d. 원조의 기능
e. 계획의 기능
f. 교육홍보 기능
g. 재정 원조의 기능
⑵ 지역사회 복지관 (community welfare conter)
① 지역사회 복지관의 기능
a. 통합된 서비스를 제공
b. 문제해결울 위해 공동의 노력을 할수 있는 집단을 구성
c. 주민집단으로 하여금 사회적 목표를 수정하고 새로운 목표를 세우도록 한다.
② 지역사회 복지관의 필요성
a. 종합적 문제 해결의 준거
b. 근린의식의 강화
c. 협동의식과 집단의식의 강화
d. 주민의 여가선용을 지도할 필요성
e. 선의의 동원과 조직화
f. 청소년의 비행예방과 가족관계의 강화
g. 저소득 주민들의 생활훈련
h. 사회교육의 강화
i. 사회복지 서비스의 조정통합
j. 시설의 활용
③ 지역사회복지관이 역할
a. 지역사회 문제 파악의 역할
b. 서비스 센타의 역할
c. 대변자로서의 역할
d. 사회행동 센터로서의 역할
e. 사회교육 센터로서의 역할
f. 공동이용 센터로서의 역할
g. 레크리에션 센터로서의 역할
h. 직업안정 센터로서의 역할
i. 자원동원의 역할
⑶ 공동모금회 (Community chest)
① 정의: 어느 특정지역 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회복지 기관과 그 지역주민들 간의 자립적 협동적 조직
② 기본적 이념
지역주민들을 대신해서 그 지역 내에 있는 불우한 사람들을 돕거나 그지역의 생활환경 개선에 노력하고 있기 때문에 그에 소요되는 경비를 그지역 주민들 의 능력에 따라 분담한다는 사회연대의식의 발로라고 할수 있으며 민주주의 가치관에 입각한 것이다.
③ 공동모금회의 역사
ⓐ 미국의 경우
1887년도 덴버시에서 15-16개의 구제기관이 기부금 모집을 공동으로 행함
1913년도 오하이오주의 클리브랜드시에서 조직된 클리브랜 자선박애연맹
1차대전후 전쟁모금회는 공동모금회로 명칭이 바뀌었다.
1920년에 39개이던 모금회
1946년에는 798개의 모금회
1978년에는 2,300개로 증가하여 35,000기관ㅇ;서 참여하고 있다.
ⓑ 일본의 경우 - 1947년에 조직
ⓒ 오스트리아의 경우 - 1954년에 조직
ⓓ 우리나라 - 1970년 1월 1일 법률 제 2191호로 공포
1970년 4월1일부터 시행
1970년 7월21일 사회복지법인 한국사회복지 공동모금회가 창립
1971년 11월12일 사회복지법인 한국사회복지 공동모금회 설립
1980년 12월31일 법률 제3336호인 사회복지사업기금법이 제정 공포되어 공동모금회에 관한 법률규정이 삭제 되었다. 중보판 지역사회복지론 - 김영모 편 한국복지정책연수소 출반부
④ 장점
ⓐ 많은 기금
ⓑ 다수인의 참여
ⓒ 경비절약
ⓓ 노력과 시간의 절약
ⓔ 지속적인 관심의 추구
ⓕ 책임감의 부여
⑤ 단점
ⓐ기부자의 기관에 관심 저하
ⓑ가입기관의 독선과 간섭우려
ⓒ개별기관의 자주성 결여
ⓓ기부자의 기부 선택권의 침해
ⓔ현상유지로 사회행동하지 못함
⑷ 사회봉사 교환소 (Social servece exchange)
① 기능
ⓐ 사회사업기관의 등록교환과 성원기간의 요청으로 개인 또는 가족에 대한 정보교환
ⓑ 새로운 조사 때문에 도움을 받은 성원기관에 대한 통지
ⓒ 조사연구를 위한 자료공급
② 역사
1870년 자선조직 운동이 기원
1919년에서 1925년까지 전국사회봉사교환소 연합회가 설립
1946년 320개중 1956년 4월에 기능을 발휘하는 교환소는 220개로 감소
이중 150개는 사회복지위원회 또는 공동모금회의 감독하에 있다.
우리나라에는 창립 또는 설립된 적이 없다.
③ 사회봉사교환소의 기본원리를 던햄은 6가지로 열거하였다
ⓐ 확인된 정보만을 취급한다.
ⓑ 피조자에 대한 조회나 교환소에 인명록을 비치하는 것은 피조자에 대한 낙 인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 기록의 사용의 피조자의 복지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협력기관에만 제공된다.
ⓓ 사회복지기관의 기능과 봉사에 적적히 이용되는 정도에 달려있다.
ⓔ 사회복지기관이 피조자와의 접촉 초기에 실시되어야 한다.
ⓕ 서비스의 실제적 유용성은 다른 기관의 상담, 계획 및 활동에 의한 교환소 의 보고를 따르는데 있다. 증보판 지역사회 복지론 김영모편 한국복지정책연구소 출판부
11. 지역사회 복지 실천의 방법
① 사회조사의 단계:
사실에 대한 파악으로 지역사회조사의 토론과 좌담회 , 즉 중간 집단의 형성
② 계획이 수립
집단을 중심으로 계획을 수립, 분석하여 자조적 계획 및 대책을 강구
③ 실행의 촉진
계획의 실시를 추진하는 단계로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과 선전활동
④ 자원의 활용과 동원
사회 전반의 자원을 동반하여 참여를 증진시킨다.
⑤ 활동의 평가
문제점 등을 검토 수정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02.03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47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