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음운변동의 이유
2.음운의 변화
(동화, 탈락, 축약,,)
2.음운의 변화
(동화, 탈락, 축약,,)
본문내용
성격으로 말미암아 스스로 변하는 것이며, 결합적 변화란 변화하는 음운 환경 또는 음운이 결합되는 조건 등으로 말미암아 변하는 것이다. 공시적인 음운 변화도 마찬가지로 자생적 변동과 결합적 변동으로 나뉜다. 그러나 공시적인 변동의 경우는 대부분이 결합적 변동이고, 자생적 변동은 많지 않다.
결합적 변동은 다시 일정한 조건 아래에서 필연적으로 일어나는 결정적(決定的) 변동과, 임의적인 수의적(隨意的) 변동으로 나뉜다. 또, 음운은 일정한 환경 아래에서는 예외 없이 일정한 음운으로 바뀌는 것이 있는데, 비음(鼻音) 앞에(ㅁ,ㄴ,ㅇ) 오는 /ㄷ/은 예외 없이 /ㄴ/으로 변하는 것이 결정적 (決定的) 변동의 예이다. 반면, 특수한 경우에만 변하는 것이 있는데, 불규칙 활용의 경우 음운 변동은 경우에 따라 나타나기도 하고 나타나지 않기도 하는데 이는 수의적(隨意的) 변동에 해당한다. 국어의 음운 변동은 몇 가지로 나뉘는데, 중화(中和), 동화(同化), 탈락(脫落), 사잇소리 현상, 축약(縮約) 등이 그것이다.
자생적 음운 변동
우리말의 음절(音節)의 끝소리에 올 수 있는 자음(발음될 수 있는 자음)은 7개로 한정되어 있다.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이 그것이다. 따라서, 이들 이외의 자음을 끝소리로 가진 형태소가 단독으로 발음될 때 그 자음은 대표음으로 실현된다. /낟, 낫, 낮, 낯, 낱/ 등이 모두 대표음인 /낟/으로 실현되는 예가 그것이다. 끝소리에 둘 이상의 자음이 있을 때에도 실제 발음되는 대표음이 정해져 있다. 가령, \'흙, 닭\'이 방언에서 /흘, 달/로 발음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이는 /흑, 닥/으로 실현되어야 맞는다. 이같이 음절의 끝소리가 대표음으로 실현되는 일을 중화라 하는데, 이는 자생적 변화보다 결합적 변화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 밖에, 넓은 의미의 자생적 변화라 할 수 있는 것으로 단모음과 이중모음 간의 변동, 첫소리의 된소리화를 들 수 있다. /가게>가개, 지게>지개/에서처럼 /ㅔ>ㅐ/로 바뀌거나, 거꾸로 덮개>덮게, 찌개>찌게/에서처럼 /ㅐ>ㅔ/로 바뀌는 일, /거지>그지, 더럽다>드럽다/와 같이 /ㅓ>ㅡ/로 바뀌는 일, /그리고>그리구/, /베다>비다/ 등에서와 같이 /ㅗ>ㅜ/, /ㅔ>ㅣ/등으로 바뀌는 것은 대표적인 단모음의 변동이라 할 수 있다. /계집애>기집애, 켜다>키다, 며칠>메칠/ 등은 이중 모음이 단모음으로 바뀐 것이다. 이에 대하여, /감다>깜다, 닦다/
결합적 변동은 다시 일정한 조건 아래에서 필연적으로 일어나는 결정적(決定的) 변동과, 임의적인 수의적(隨意的) 변동으로 나뉜다. 또, 음운은 일정한 환경 아래에서는 예외 없이 일정한 음운으로 바뀌는 것이 있는데, 비음(鼻音) 앞에(ㅁ,ㄴ,ㅇ) 오는 /ㄷ/은 예외 없이 /ㄴ/으로 변하는 것이 결정적 (決定的) 변동의 예이다. 반면, 특수한 경우에만 변하는 것이 있는데, 불규칙 활용의 경우 음운 변동은 경우에 따라 나타나기도 하고 나타나지 않기도 하는데 이는 수의적(隨意的) 변동에 해당한다. 국어의 음운 변동은 몇 가지로 나뉘는데, 중화(中和), 동화(同化), 탈락(脫落), 사잇소리 현상, 축약(縮約) 등이 그것이다.
자생적 음운 변동
우리말의 음절(音節)의 끝소리에 올 수 있는 자음(발음될 수 있는 자음)은 7개로 한정되어 있다.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이 그것이다. 따라서, 이들 이외의 자음을 끝소리로 가진 형태소가 단독으로 발음될 때 그 자음은 대표음으로 실현된다. /낟, 낫, 낮, 낯, 낱/ 등이 모두 대표음인 /낟/으로 실현되는 예가 그것이다. 끝소리에 둘 이상의 자음이 있을 때에도 실제 발음되는 대표음이 정해져 있다. 가령, \'흙, 닭\'이 방언에서 /흘, 달/로 발음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이는 /흑, 닥/으로 실현되어야 맞는다. 이같이 음절의 끝소리가 대표음으로 실현되는 일을 중화라 하는데, 이는 자생적 변화보다 결합적 변화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 밖에, 넓은 의미의 자생적 변화라 할 수 있는 것으로 단모음과 이중모음 간의 변동, 첫소리의 된소리화를 들 수 있다. /가게>가개, 지게>지개/에서처럼 /ㅔ>ㅐ/로 바뀌거나, 거꾸로 덮개>덮게, 찌개>찌게/에서처럼 /ㅐ>ㅔ/로 바뀌는 일, /거지>그지, 더럽다>드럽다/와 같이 /ㅓ>ㅡ/로 바뀌는 일, /그리고>그리구/, /베다>비다/ 등에서와 같이 /ㅗ>ㅜ/, /ㅔ>ㅣ/등으로 바뀌는 것은 대표적인 단모음의 변동이라 할 수 있다. /계집애>기집애, 켜다>키다, 며칠>메칠/ 등은 이중 모음이 단모음으로 바뀐 것이다. 이에 대하여, /감다>깜다, 닦다/
추천자료
러시아어(노어) 음운론
[과외]중학 국어 중2-1학기 02 단원 국어의 음운 01
특징적인 국어의 통사구조, 음운구조, 의미구조에 대한 정리
외국인 화자에게 나타나는 한국어의 음운 특징- 중국인과 인도인을 대상으로
중2-1 생국 3단원 (2)음운 수업지도안 학습지
(영어학의이해) 통사론 의미론 형태론 음운론 사회언어학 심리언어학
15세기 고대국어(고대한국어)의 음절체계와 문자체계, 15세기 고대국어(고대한국어)의 음운구...
구개열 환자의 조음 및 음운 장애, 발성공명 장애 치료
국어의 음절 내부 구조와 음운 현상
국어의 음절 내부 구조와 음운 현상
경기도 방언의 전사 및 음운 문법 어휘 특징
암산 과제 수행에 있어 음운 루프와 시공 메모지의 영향.PPT자료
[언어의 이해] 05강 음운론
[국어과 수업안](국어의 언어적 특징과 음운 학습지도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