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문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교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1)70년대,80년대 대학의 모습
2)대학 문화의 특수성
3)대학내의 여러문화의 모습

3.결론

본문내용

마찬가지이다. 현재 대학에서 나타나는 정신적, 문화적 양분화 현상이 자기문화의 소멸을 가져 올 지도 모른다. TV의 대학 진출, 미스코리아 대회, 스포츠신문 등의 대학생 진출, 미디어의 영향으로 다양화 된이념 등으로 더 이상 대학문화의 특성을 찾기는 힘이 든다. 대학안에서 지성인다운 비판을해도 교문을 나서는 순간 일반시민보다 더 앞서는 대학생, 이것이 대학문화의 소멸이 아닐까?
대학문화의 특수성은 문제를 극복하고자 비판하는 문화이다. 기성세대에 지배자(자본이 만들어낸 고용주)의 억압이 헐거운 대학생들에게서 비판의 소리가 큰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소비하는 문화가 아니라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기 위한 문화생산의 장이다. 생산문화는 대학의 건전함, 건강함, 결속력, 공동체 의식을 높이는데 기여 하는 놀이문화이다. 소외된 대중에게 가장 쉽게 다가가 고민을 함께 해결하고 하나가 되기위해서 대동제, 체육대회 등으로 발달한 놀이 문화이다. 또 대학의 문화는 현실을 인식하는데서 끝내는 것이 아니라 좀더 실천적인 작업을 통해 문화 창조에 앞장설수 잇다.
대학문화는 문화에대해 일시적인 대안을 마련하고 사라지는 문화가 아니라 실험과 논리적 검토로해서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고 다시 실험하고 재창조 할 수 잇는 전위 문화이다. 순수 우리말 찾기, 탈춤, 잔통민요, 풍물등을 연구하고 발전시켜 잊기 쉬운 우리문화의 맥을 집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3)대학내의 여러문화의 모습
①대동제
80년대 대동제는 막걸리와 소주를 마시며 시국에 대해 이야기 하며, 지역주민과, 학생들과 서로 `대동`의 의미로 화합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주제가 있는 대동제 였다.
90년대 대동제는 술을 마시기 위한 대동제인 것 같다. 많은 물량공세와 화려함, 딱히 부러지는 주제가 없다. 대동제라고 무작정 수업을 거부(?)하고 술이나마시는 마치 외부의 술집들이 일제히 대학안 으로 몰려든 듯 한 그런 축제이다.
축제의 주인들인 대학생들의 의식이 다양해 짐으로 축제의 방식이 변화되는 것은 바람직하다. 80년대 식으로 진행을 하게 된다면 더 이상 참가하는 사람이 없으니까. 하지만 대학이라는 공간의 특수성을 외면하고 막무가내 식으로 기성세대의 마약인 매스미디어의 답습은 잘못되었다. 비싼 돈을 들여 가수를 부르고 행사를 이벤트회사에 맡겨 해결하는 것은 대학안에서 대학생들이 주체가 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 기성세대에게 주인의 자리를 빼앗기는 것이다.
과거에 전통에 따라 막연히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2.21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61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