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와바타 야스나리(川端康成)와 설국(雪國)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와바타 야스나리(川端康成)와 설국(雪國)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설국(雪國).
1. 설국에 대하여.

2. 설국의 등장인물

3. 매개물을 통해서 본 설국 속 인물들의 만남.

4. 요코의 죽음.

▣ 가와바타 야스나리 작가 연보.

▣ 가와바타 야스나리 초기의 자전적 작품.
1. 16세의 일기(十六歲の日記)

2. 동성애(同性愛)(少年 1948-1949)

3. 이즈의 무희(伊豆の舞姬)

▣ 가와바타 야스나리 전후(戰後) 장편소설.
1. 산소리

2. 名人

3. 여자가 여자라는 것

4. 천우학(千羽鶴-센바즈루)

▣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죽음과 그의 사생론.

▣ 참고 문헌

본문내용

935년부터 48세 되던 1947년까지 문예춘추(文藝春秋) 등 여러 문예잡지에 발표했던 12편의 단편들을 모아서 그 이듬해에 완결 출판한 것이다. 하나의 작품 세계를 완벽하게 형상화하기 위해서 그처럼 13년간에 걸쳐 꾸준하고 끈질기게 깎고 다듬은 예도 그리 흔한 일은 아닐 것이다. 그의 작품 중 어느 것보다 문단의 주목을 끈 이 작품은 비현실의 세계에서만 존재할 수 있는 순일한 미의 구축에 성공하여 가와바타 문학세계의 최고봉을 이루었다고 할 것이다.
1968년도에는 노벨문학상을 수상하게 되는데, 인도의 시성 타고르가 1913년 시집 기탄잘리를 통해 노벨문학상을 받은 이해, 동양인으로는 2번째의 일이었다. 완결판 <설국>이 출판된 1948년 이후 20년 만에, 문학인으로서는 최고의 영예를 차지한 셈이다.
완결출판 된 이후부터 이 작품은 구미 각국에서 번역되어 노벨문학상을 수상하기 10년 전부터 세계에 널리 소개되어 왔었다. 가와바타가 노벨상을 받을 수 있게 된 가장 중요한 외적 조건을 든다면, 그와 같이 일찍부터 세계 각국에 번역 소개되어 왔었다는 점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런 점에서도 번역 문학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해야 할 것이다.
[현(縣) 경계의 긴 터널을 빠져나오니 눈의 고장이었다. 밤의 땅바닥이 하얗게 되었다. 신호소(信號所)에 기차가 멈췄다. 건너편 좌석에서 아가씨가 다가와 시마무리(島村) 앞의 유리창을 열었다. 눈의 냉기가 흘러들었다. 아가씨는 상체를 쑥 내밀고 멀리를 향해 부르짖듯이, “역장님! 역장님!”
(중략)
거울 속에는 저녁 풍경이 흐르고 있어서, 결국 비쳐지는 것과 비쳐주는 거울이 영화의 이중 영상처럼 움직이는 것이었다. 등장인물과 배경과는 아무런 연관도 없었다. 게다가 인물은 투명한 무상함이고 풍경은 어둠 속에 희미하게 흐르고, 그 두 가지가 융합하면서 이 세상이 아닌 상징의 세상을 그리고 있었다. 특히 처녀의 얼굴 한가운데에 산야의 등불이 비쳤을 때 형용할 수 없는 아름다움으로 시마무라의 가슴이 떨릴 정도였다.]
독자의 상상이 작가의 문장을 따라서 어두운 터널을 벗어나면 별안간 밤의 밑바닥을 환하게 밝히는 눈의 나라가 나타난다. 기차 유리창 표면에서 뽀얀 수증기를 벗겨내면 처녀의 눈망울이 순결한 유등처럼 떠 있다. 현실과 환상의 교묘한 접경이 시작되는 유려한 묘사라고 할 것이다. 실제로 터널을 넘어 눈의 세계로 접어드는 공간적인 이동뿐만이 아니라 작가 스스로가 만들어낸 투명하면서도 모호한 경계를 넘어서 다다른 곳은 가와바타 야스나리 문학과 미의식의 세계 바로 그곳이다. 이처럼 현재적 시공을 초월하는 심미성을 드러내는 것은 야스나리의 소설에 자주 사용되는 방법이다.
이 작품 전체를 지배하는 눈이 내린 고장의 분위기는 작품의 환상적인 분위기와 청순한 분위기를 만들어 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본의 전통적인 서정에 바탕을 둔 거울 같은 서정의 세계가 서양의 드라마 형식에 부합되어 독특한 구조를 만들어 내고 있다. 등장인물들도 고정된 성격을 지니지 않고, 순간순간 움직이는 변화하는 감정과 생명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작품의 주제도 무엇이다라고 꼬집어 말하기가 참으로 어렵다. 그처럼 모호한 상태 속에서 환상적 분위기와 미묘한 인간의 심리가 엮어 내는 신비적 애수의 아름다움이 포착되어 있는 것이다.
2. 설국의 등장인물
- 시마무라(島村) : 도쿄 시다마찌(下町-일반서민층생활지)출신. 어린 시절부터 가부끼 연극에 취미를 붙였으나, 학생시절부터 취미가 무용이나 고전 무극에 쏠림. 그런데 점차 침체된 일본춤에 불만을 느끼게 되고, 서양무용에 관심을 둔다. 한편으로 등산과 여행을 즐기는 작중 인물로 고마코와의 기억을 찾으며 눈고장의 온천지를 찾아온 남자.
- 고마코(驅子) : 순결과 청순함을 지닌 게이샤(기녀.妓女). 항구에서 태어났으나, 어릴 때 춤선생님을 따라 눈고장(설국)으로 따라왔던 게이샤. 춤선생의 아들인 유키오와 약혼 이야기가 있었으나, 시마무라와 연정을 느끼게 된다.
- 요코(葉子) : 유키오의 애인이며, 병든 애인을 데리고 눈고장으로 돌아오게 되나 애인도 고마코를 찾으며 세상을 뜨고, 얼마 뒤 자신도 영화 상영 창고 화재 사건으로 인해 자살에 가까운 죽음을 맞는다. 시마무라는 그녀에게 신비로운 인상을 느낀다.
3. 매개물을 통해서 본 설국 속 인물들의 만남.
1절 : 시마무라와 요코의 첫 만남
시마무라는 고마코를 만나러 가던 기차 안에서 요코와 어머니의 고향으로 죽으러 돌아오는 환자 유키오를 만난다. 시마무라가 기차 안에서 요코를 발견한 뒤, 그녀에게 관심을 계속 가질 수 있었던 것은 요코의 얼굴을 비춘 창문이 있었기 때문이다. 창문은 요코의 얼굴과 함께 \"저녁노을\" 을 비추고 있는데 이 저녁노을은 인간의 황혼기에 해당한다. 시마무라와 요코와의 만남의 매체는 \'죽은 자\'나 \'죽음의 관념\'을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2 절 : 시마무라와 고마코와의 재회의 절
시마무라가 돌아오는 그 열차로 \'사장의 아들이 돌아온다는 것을 알고 고마코는 역에 마중 나와 있었다. 그 후 시마무라와 고마코는 숙소에서 재회하는데 그날 밤의 재회에 대한 고마코의 마음속은 그날 밤 어머니의 고향에 죽으러 돌아온 자기의 정혼자 생각으로 채워져 있었다.
3 절 : 시마무라와 고마코와의 첫 만남을 회상
시마무라는 \"신록의 계절\" 에 접경의 산에 오른 후 7일만에 설국의 온천장으로 내려와 고마코와 만나게 되었다. 이 때의 시마무라와 고마코와의 만남 매체는 \"신록\" 이다. 동양인은 자연을 하나의 커다란 영원의 생명체로 보고, 그것에 자기를 맡김으로써 자기의 한계성을 극복하려고 한다. 동양인에게 있어서 \'자연의 신록\'에 대한 의식이야 말로 죽음의 초극사상의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시마무라와 고마코와의 첫 만남의 매개체인 신록은 죽음과 관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4 절 : 3절의 시마무라와 고마코와의 재회의 절에 이어짐
고마코는 그 후 시마무라가 있는 곳에서 묵고, 다음날 아침 일찍 돌아가는데 그 때 고마코의 마음 속에는 역시 죽어가는 자 즉 유키오에 대한 동정심이 끓어 올랐을 것이다.
5 절 : 시마무라와 요코의 사장집에서의 만남
시마무라가 고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5.03.04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70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