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원인
(2) 임상 증상
(3) 진단(diagnosis)
(4) 치료
(5) 패혈증의 간호
(6) 결과
(7) 예방
(2) 임상 증상
(3) 진단(diagnosis)
(4) 치료
(5) 패혈증의 간호
(6) 결과
(7) 예방
본문내용
맥 수액 공급을 시행하고 gavage 영양을 시행한 다. 또한, 폐쇄된 인공 젖꼭지를 사용하여 포유 욕구를 충족시킨다. 신생아 상태가 호전되 면 구강 포유를 시행한다. 처음에는 소량에서 점차적으로 양을 늘린다.
· 정상체온을 유지토록 한다.
급성기에는 보육기내 간호가 필요한다. 신생아 침대 사용시에는 신생아 체온 36-37 가 되도록 신생아를 보온한다. 저체온이나 고열시에는 보고한다.
·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항생제에 대한 작용과 부작용, 약물의 배설경로를 이해하여야 하고, 치료에 대한 반응을 관찰한다.
· 신생아의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킨다.
침대나 보육기에 밝은 색깔의 물건을 둔다. 간호하는 동안 부드럽고 조용하게 말하며, 아 기를 부드럽게 만지고 어르도록 한다, 회복기에는 부모들이 방문하여 가능한 한 아기를 안아 주도록 한다. 부모를 간호에 참여시켜 신생아의 퇴원을 준비하도록 한다.
부모의 걱정에 대해 이야기할 기회를 주고, 아기병의 진전과 간호에 대한 질문과 대답을 해준다. 퇴원후 일어날 수 있는 합병증 증상에 대해 설명하고, 가정에서 해야 하는 투약 에 대해 설명한다.
(6) 결과
- 원인균이나 병발시기에 체중, 병의 상태에 따라 결과는 다양하다.
- 균혈증은 사망율이 20∼40%
- 뇌막염 사망률은 40∼75%
- 신경후유증 : 저능아, 뇌수종, 농아, 언어장애, 난청, 행동장애
(7) 예방
- 신생아기간호 모체, 감염에 대한 치료, 예방목적으로 항생제투여
- 깨끗한 환경, group B Streptococcus 와 E-coil의 수동면역을 신생아에게 준다.
- 분만과정이나 신생아실에서 아기를 취급할 때 무균적으로 다룬다.
- 분만시에 양수염의 증상이 있거나 모체가 분만전에 열이 있었을 때는 항생제 요법을 시 행한다. 또한 아기의 혈액 배양, 비안두 배양, 소변 배양 등 검사를 하여 원인균을 빨리 발견토록 한다.
- 조기파막이 분만 24시간 이전에 파열되었을 때는 항생제 요법을 시행하고 배양검사가 음 성으로 나오면 항생제를 중단한다.
★ 참고문헌 ★:
『아동간호학 총론』 壽文社 /김미애·김수옥 등 공저/ p.317∼319
『간호학종합학습지도서』 대한간호협회출판부 / 홍경자·오가실 등 공저 / p.92∼93
『소아과학』 대한교과서(주) / 1997 완전개정 6판 / 홍창의 저 / p. 303-307
http://dricdiri.sookmyung.ac.kr/NEWS/oct96/hospital.htm
· 정상체온을 유지토록 한다.
급성기에는 보육기내 간호가 필요한다. 신생아 침대 사용시에는 신생아 체온 36-37 가 되도록 신생아를 보온한다. 저체온이나 고열시에는 보고한다.
·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항생제에 대한 작용과 부작용, 약물의 배설경로를 이해하여야 하고, 치료에 대한 반응을 관찰한다.
· 신생아의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킨다.
침대나 보육기에 밝은 색깔의 물건을 둔다. 간호하는 동안 부드럽고 조용하게 말하며, 아 기를 부드럽게 만지고 어르도록 한다, 회복기에는 부모들이 방문하여 가능한 한 아기를 안아 주도록 한다. 부모를 간호에 참여시켜 신생아의 퇴원을 준비하도록 한다.
부모의 걱정에 대해 이야기할 기회를 주고, 아기병의 진전과 간호에 대한 질문과 대답을 해준다. 퇴원후 일어날 수 있는 합병증 증상에 대해 설명하고, 가정에서 해야 하는 투약 에 대해 설명한다.
(6) 결과
- 원인균이나 병발시기에 체중, 병의 상태에 따라 결과는 다양하다.
- 균혈증은 사망율이 20∼40%
- 뇌막염 사망률은 40∼75%
- 신경후유증 : 저능아, 뇌수종, 농아, 언어장애, 난청, 행동장애
(7) 예방
- 신생아기간호 모체, 감염에 대한 치료, 예방목적으로 항생제투여
- 깨끗한 환경, group B Streptococcus 와 E-coil의 수동면역을 신생아에게 준다.
- 분만과정이나 신생아실에서 아기를 취급할 때 무균적으로 다룬다.
- 분만시에 양수염의 증상이 있거나 모체가 분만전에 열이 있었을 때는 항생제 요법을 시 행한다. 또한 아기의 혈액 배양, 비안두 배양, 소변 배양 등 검사를 하여 원인균을 빨리 발견토록 한다.
- 조기파막이 분만 24시간 이전에 파열되었을 때는 항생제 요법을 시행하고 배양검사가 음 성으로 나오면 항생제를 중단한다.
★ 참고문헌 ★:
『아동간호학 총론』 壽文社 /김미애·김수옥 등 공저/ p.317∼319
『간호학종합학습지도서』 대한간호협회출판부 / 홍경자·오가실 등 공저 / p.92∼93
『소아과학』 대한교과서(주) / 1997 완전개정 6판 / 홍창의 저 / p. 303-307
http://dricdiri.sookmyung.ac.kr/NEWS/oct96/hospital.ht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