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농양 케이스 사례연구 A+ 받음 수쌤한테도 폭풍칭찬받았아요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농양 케이스 사례연구 A+ 받음 수쌤한테도 폭풍칭찬받았아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자료 및 방법
3. 문헌 고찰

Ⅱ. 본 론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1) 개인정보
2) 현재 건강력 사정
3) 과거 건강력 사정
(2) 객관적 자료
1) 신체검진
2) 검사소견
(3) 자료 분석
2.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진단 목록
3. 전체 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신질환
탈수,구토,만성신부전
Potassium /K
3.5
5.5
mEq/L
3.7
3.9
4.6
신질환,외상,칼륨배설저하,백혈병
칼륨섭취저하,구토,알도스테론,쿠싱증후군
Chloride /Cl
98
110
mEq/L
96.6▼
109
105
설사,수분결핍,호흡성알칼리증,고장성탈수
구토,위액상실,수분과잉
Phosphorus /P
2.5
4.5
mg/dL
2.6
2.5
탈수,요독증,
신부전증,부갑상선 저하증
vit D결핍,
부갑상선기능 항진증
BUN
10
26
mg/dL
16
11.0
신기능장애, 신부전,탈수
간기능저하, 임신, 저단백식
Amylase
30
110
U/L
24▼
췌장질환의심
Lipase
22
60
U/L
25
CK(CPK)
56
224
U/L
38▼
다발성근염, 신경근질환,중추신경계질환
갑상선기능항진증, SLE
HbA1C
4
6
%
6.6▲
당뇨병,고혈증신부전
적혈구수명단축
용혈,악성빈혈
LDH
200
400
U/L
387
악성빈혈,심근경색증,폐경색,간질환
LDH부분결손증, 항종양제,면역억제제 투여
r-GTP
0
60
U/L
333▲
364▲
372▲
폐쇄성황달,알코올성간장애,담석증,각종간담도질환
CRP
<0.5
mg/dL
24.8▲
20.1▲
11.1▲
염증(감염,자가면역질환등)조직손상(외상, 수술, 심근경색, 종양)에 증가또는감소
임상적의의
ALP는 간기능의 문제가 생겼을시 상승하는 효소로 ALP와 r-GTP 가 같이 상승하였을 경우 간담도계의 질환을 나타나는데 대상자는 간의 염증반응으로 인해 ALP,r-GTP가 급격하게 상승된 것으로 보임 AST,ALT의 수치가 정상으로 보아 간세포의 파괴는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간의 염증으로 인해 CRP수치가 증가된 것으로 추정된다.
Glucose의 상승과 HbA1C의 상승은 당뇨의 지표로 3월 27일 FBS가 137mg/dL로 측정되어 DM이 의심되어 당뇨검사를 받기로함 3월 31일 FBS 227mg/dl 영양제 주입과 3회/일 식사로 혈당이 급격히 상승된 것으로 판단된다
간농양으로 인해 간의 염증수치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해있음을 알 수 있는 소견을 보인다.
② 일반혈액검사
검사명
정상범주
검사날짜
임상적의의
하한치
상한치
단위
3/27
3/29
3/31
증가
감소
WBC
4.0
10.0
x10³/uL
15.2▲
18▲
13.60
감염.염증.조직괴사,백혈병,신체손상
세균감염,골수기능저하
RBC
4.2
6.3
x10^6/uL
3.65▼
3.35▼
3.59▼
탈수,쇼크,페기종,심한운동,심페질환
빈혈,수혈증.금성감염증
Hb
13
17
g/dL
10.7▼
9.7▼
10.3▼
만성일산화탄소중독,심장질환,혈색소농축
빈혈,임신,중증출혈,백혈병,관절염
Hct
39
52
%
32.1▼
30.0▼
32.0▼
황달,다혈구증,선천성심잘환,,폐기종,탈수
각종빈혈,출혈후 다량수액으로인한 혈액희석
Platelet
140
400
x10³/uL
414▲
344
398
골수증식질환 급성감염증
백혈병,골수암전이
MCV
81
96
f l
88.1
89.4
89.3
대구성 빈혈
악성빈혈,갑상선기능저하증
악성빈혈, 거대적아구성 빈혈, 재생불량성 빈혈
소구성 빈혈
거대적 아구성 빈혈, 재생 불량성 빈혈,철결핍성 빈혈
MCH
27
33
pg
29.3
28.9
28.7
MCHC
32
36
%
33.3
32.3
32.1
MPV
7.4
10.4
f l
6.3▼
7.0▼
7.3▼
다혈증
E-Neutro
42.2
75.2
%
83.4▲
89.3▲
81.0▲
백혈구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서 세균이 침입했을 때에 이를 제거하는 역할로 생체방어기능
E-Lymph
20.5
51.1
%
9.2▼
5.8▼
10.6▼
급성감염,다발성골수증,
백혈병,패혈증, 면역결핍질환, SLE, AIDS
E-Mono
1.7
9.3
%
7.1
3.8
6.1
감염,교원질성 혈관질환,단핵구성 백혈병
약물요법,
Prednisone
E-Eosino
0
5.0
%
0.1
1.0
1.9
과면역알러지,에디슨병,빈혈
아드레날의증가,쿠싱증후군
E-Baso
0
2
%
0.2
0.1
0.4
백혈병,골수전이,용혈성빈혈
알러지반응,
급성감염
종합적의의
Hb, Hct, 의 수치 저하로 인해 출혈과 빈혈을 의심해볼 수 있지만
본 대상자는 RBC, Hb, Hct 모두 감소 된 것으로 보아 간 기능 저하로 인해
RBC의 생성이 감소하여 Hb,Hct이 감소된 것으로 추정된다
E-Lymph의 수치 저하와 WBC, RDW, E-Neutro, 수치의 상승은 일반화학(CRP, ALP)수치와 더불어 염증반응의 결과로 생각되어진다.
검사명
하한치
상한치
단위
3/27
임상적의의
PT
70
140
%
67.0
증가시
비타민k결핍,와파린 투여,DIC 간부전
무섬유소원혈증
INR-PT를 국제평균과의 비로 나타낸 것
PT(INR)
0.7
1.4
INR
1.33
PT(Sec)
11
15
sec
13.8
APTT
27.2
45
sec
27.9
헤파린투여,와파린투여(정상.다소지연)
혈우병,간무전 말기,무섬유소원혈증
종합적의의
PT(Prothrombin Time)수치의 저하는 혈액응고 시간이 줄어들어 지혈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 소견으로 생각되어진다.
③ 혈액응고검사
항목
정상범주
날짜
임사적의의
하한치
상한치
단위
3/27
증가
감소
pH
7.35
7.45
7.48
세균뇨,요로감염
고열,과호흡
대사성산증,
호흡성산증
pCO2
32
45
mmHg
32
과소환기,호흡성산증
호흡성 알카리증
pO2
75
100
mmHg
91
호흡성알카리증
산증
HCO3
19
24
mEq/L
23.8
대사성 알카리증
대사성 산증
O2 Saturation
95
100
%
98
저산소증
종합적 의의
ABGA(동맥혈 가스분석검사) 결과상 pH 수치가 정상범위보다 조금 높은 것으로 보아(pH7.48) 고열로 인한 과호흡인 상태로 보인다
④ ABGA(동맥혈가스분석검사)
⑤ 일반촬영검사
Chest PA(AP)
16/03/27
검사목적
호흡기 검진을 위한 일반적인 검사로흉곽내의 병리적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함
검사
전/후 간호
검사전
몸에 지니고 있는 x-선이 투과 되지 않는 물질 및 귀금속류는 모두 제거하야 한다
이동이 불편한 환자
  • 가격3,5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16.05.25
  • 저작시기201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27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