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방음벽의 문제점을 통한 도시환경개선을 위한 대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존방음벽의 문제점을 통한 도시환경개선을 위한 대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국내 방음벽의 종류
가. 흡음형 알루미늄 방음벽
나. 콘크리트 방음벽
다. 목재 방음벽
라. 투명방음벽

2.국내에서 주로 적용되는 흡음형과 반사형 방음벽의 분석

3. 기존방음벽의 문제점

4. 해외 사례 분석
가. 독일 사례
나. 일본 사례

5. 외국방음벽과의 비교를 통한 개발대안

본문내용

어 도시 경관의 주요소가 될뿐만 아니라, 녹지부족과 생활환경의 문제가 가장 심각한 도로변의 선적인 공간요소로서 이를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식생 방음벽으로 구성하는 방식이 선진국에서 선도적으로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5. 외국방음벽과의 비교를 통한 개발대안
<표> 한국과 외국의 방음벽기술 비교
구 분
기술수준의 분석
외국의 경우
한국
도시 경관적 측면
·다양한 경관 창출
·도로의 경관요소로서 방음벽 설계
·단조로운 경관 창출
·도로 시설물로 인식
방음 기술적 측면
·다양한 방음벽의 출시
·금속제의 흡음형 위주
·투명형과 목재형 도입 시작
방음벽의
생태적 영향
·도시생태계를 고려한 설계의 실용화 단계
·방음벽녹화 등으로 기존 방음벽 단점 보완
·문제점을 인식하기 시작
식생방음벽 분야
·독일의 경우, 일찍부터 시작되어 보편화된 상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음
·연구 및 개발 단계
선진국에 식생방음벽은 개념적으로 기존의 방음벽 하부에 식생을 식재하여 방음벽을 녹화하는 공법과 방음벽 자체가 식재기반이 되는 공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구조적인 관점에서 볼 때 일반적인 자주식과 사면이나 절개지에 시공될 수 있는 옹벽형으로 나눌 수 있고, 유지관리의 측면에서 관수형과 비관수형으로 대별할 수 있다.
이 중에서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와 국내 현실을 고려할 때 주목되는 것은 방음벽의 하단부에 식재기반이 없는 경우에도 방음벽 자체가 식재기반이 되어 생물의 서식을 가능하게 하는 비관수형 자주식 공법으로 압축할 수 있다.
국내에 설치된 방음벽을 살펴보면 흡음형 방음벽과 투명형 방음벽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설치장소는 대부분 도로변과 거주지와의 거리가 매우 인접한 곳이 대부분이다. 방음벽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지거나 앞으로 돌출된 부분이 많을 경우, 좁은 도로 여건상 설치가 불가능할 수 있다. 또한 국내의 방음벽의 일반적 문제로 제기되고 있는 사후관리 미흡으로 식생이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여 식생방음벽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기존 방음벽의 토대(폭 40㎝) 위에서 기존의 도로 환경에 영향을 주지않는 식생방음벽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고, 이를 위해서는 앞서 언급한 비관수형 자주식 식생방음벽의 개발은 필수적이다.
참고문헌
- 환경부, 입면 녹화 지침,1998
- 환경부, 방음벽 최적 설계기술 및 고성능 투명 방음벽 개발, 1996
- 한국도로공사, 고속도로 소음대책에 관한 연구, 1994
- 한국도로공사, 업무통계, 1998
- 한국도로공사, 도로조경용 덩굴식물의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1997
- 한국환경과학연구협의회, 방음시설의 구조 및 설치기준제정을 위한 연구, 1994
-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소음방지기술(육상교통기관의 소음방지지침서-프랑스 환경공해부 번역),1987
- 사단법인한국소음진동공학회, 소음진동편람, 1995
- 서울시, 생명의 나무 1000만그루 심기, 1999
- 박용진·이기의, 최신환경녹화, 강원대학교 출판부, 1992
- 박용진, 입면 녹화의 중요성과 그 방안, 환경과 조경41, 1991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3.10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76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