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ㅿ, ㅸ' 考
3. 'ㅇ' 考
4. 'ㆆ' 考
5. 硬音考
2. 'ㅿ, ㅸ' 考
3. 'ㅇ' 考
4. 'ㆆ' 考
5. 硬音考
본문내용
로 보아야 한다.
\'ㅅ-\'계 합용병서자 중 \'힝\'은 17세기 말 문헌인 [당해신어]에 최초로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에, 15세기 중기 국어의 자음 음소체계자에서 제외되어야 하며, \'ㅂ-\'계 합용병서자가\'ㅳ, 힝, ㅶ\'과 \'힝-\'계 합용병서자\'ㅴ, ㅵ\'은 어원론적으로 15세기 중기 이전에는 2음절, 또는 3음절이었던 것이 후에 \'cvc -> cc, cvcvc -> ccc\'의 어두자음군을 형성한 것으로 추정되며, 또한 \'힝 + 힝 -> 힝아 . 햅쌀\' 처럼 오늘날 \'ㅂ-\'계나 \'가-\'계 어두자음의 낱말들이 통사적 합성어를 이룰 때, \'ㅂ\'보유어로 남은 것으로 보아, 이들 자음은 [pt, ps, pts]와 [pk\', pt\']의 복자음으로 후기 중세 국어 경음의 자음 음소체계자에서 제외되어야 한다고 본다.
\'ㅅ-\'계 합용병서자 중 \'힝\'은 17세기 말 문헌인 [당해신어]에 최초로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에, 15세기 중기 국어의 자음 음소체계자에서 제외되어야 하며, \'ㅂ-\'계 합용병서자가\'ㅳ, 힝, ㅶ\'과 \'힝-\'계 합용병서자\'ㅴ, ㅵ\'은 어원론적으로 15세기 중기 이전에는 2음절, 또는 3음절이었던 것이 후에 \'cvc -> cc, cvcvc -> ccc\'의 어두자음군을 형성한 것으로 추정되며, 또한 \'힝 + 힝 -> 힝아 . 햅쌀\' 처럼 오늘날 \'ㅂ-\'계나 \'가-\'계 어두자음의 낱말들이 통사적 합성어를 이룰 때, \'ㅂ\'보유어로 남은 것으로 보아, 이들 자음은 [pt, ps, pts]와 [pk\', pt\']의 복자음으로 후기 중세 국어 경음의 자음 음소체계자에서 제외되어야 한다고 본다.
추천자료
[인문과학] 국어 문법
방언의 특징과 강원도 방언의 특징 및 예문
말소리에 대해
변동규칙의 순서
언어병리학개론
한글 맞춤법에서의 두음 법칙의 표기 방법
유아기 언어교육의 관점
2014년 2학기 언어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B형(표의문자, 음절문자, 표음문자)
★우수자료★[조음助淫장애][발음장애][음운장애]조음장애(발음장애, 음운장애)원인, 조음장애(...
[방통대 국어국문학과 1학년 언어의 이해 E형] 문자의 유형과 특성을 설명하시오.
[언어장애] 언어장애의 원인과 예방, 아동 언어장애의 증상 및 예방과 치료, 언어장애 아동의...
[방통대 국어국문학과 1학년 언어의 이해 E형] 문자의 유형과 특성을 설명.
[방통대 중어중문학과 1학년 언어의 이해 E형] 문자의 유형과 특성을 설명.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론]한국어 듣기에서 듣기를 어렵게 하는 일반적인 요소에는 무엇이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