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기
내용 분석
나의 삶의 현장에서 목회적용(넓은 의미로)
내용 분석
나의 삶의 현장에서 목회적용(넓은 의미로)
본문내용
앞으로 교회와 사회를 새롭게 하고 더욱 튼튼하게 하는데 아무런 공헌도 할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사도요한이 계시록을 단지 교회의 문제만을 위해서 기록했다면 잘못된 생각일 것이고, 묵시로서 인류의 종말과 도래할 여호와의 왕국만을 선포하기 위한 것도 아닐 것이다. 그래서 요한계시록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사람은 사도요한과 같이 모든 거짓과 악한 것에 선한 목소리를 낼 수 있을 것이다. 교회에서건 사회에서건 사도 요한과 같은 마인드가 필요하다고 생각을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겸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나는 결코 사도요한이 하나님의 계시만으로 그와 같은 훌륭한 묵시문학으로써, 예언적 글로써 쓰여질 수 없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그리스도인은 준비되어 져야 하고 성서와 그 외의 학문에서도 소양을 충분히 갈고 닦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것이 오늘날 우리의 목회 현장에서 올바른 목소리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을 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리차드 보쿰, 『요한 계시록 신학』, 이필찬역, 한들 출판사, 2004
브루스 M. 메츠거,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라』, 이정곤역, 기독교 문화사, 1994
조셉 j. 한, 『요한계시록 주해』,도서출판 회명, 1996
에두아르트 로제, 『요한계시록』, 한국신학연구소, 박두한역, 1997
M. 윌콕, 『역사의 저편 새 하늘과 새 땅』, 이종일역, 기독지혜사, 이종일역, 1988
손봉호, 『대학생활 길잡이』, 홍성사, 2001
전호진, 『복음주의의 현실참여』, 기독교대학 설립동역회 출판부, 1991
존 스토트,『기독교의 기본 진리』, 황을호역, 생명의 말씀사, 2003
참고문헌
리차드 보쿰, 『요한 계시록 신학』, 이필찬역, 한들 출판사, 2004
브루스 M. 메츠거,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라』, 이정곤역, 기독교 문화사, 1994
조셉 j. 한, 『요한계시록 주해』,도서출판 회명, 1996
에두아르트 로제, 『요한계시록』, 한국신학연구소, 박두한역, 1997
M. 윌콕, 『역사의 저편 새 하늘과 새 땅』, 이종일역, 기독지혜사, 이종일역, 1988
손봉호, 『대학생활 길잡이』, 홍성사, 2001
전호진, 『복음주의의 현실참여』, 기독교대학 설립동역회 출판부, 1991
존 스토트,『기독교의 기본 진리』, 황을호역, 생명의 말씀사,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