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전자 치료[遺傳子治療, gene therapy] 란?
2. 유전자 치료의 장애물
3. 유전자 치료에 있어서 윤리적 문제
4. 유전자 치료의 사례
5. 염색체별 질병 유전자
6. 유전자 이상으로 나타나는 여러가지 유전병
2. 유전자 치료의 장애물
3. 유전자 치료에 있어서 윤리적 문제
4. 유전자 치료의 사례
5. 염색체별 질병 유전자
6. 유전자 이상으로 나타나는 여러가지 유전병
본문내용
%에서 상염색체 우성소질로 유전한다. 증상은 주로 3-4세 경에 나타나기 시작하며 대부분이 남자에서 발생한다. 환자는 10세경이 되면 휠체어에 의존해야 할 정도로 진행하며 15세 정도면 누워 지내게 된다. 골반대퇴근 등 하지의 근위부 근육이 먼저 이완되고 보행장애가 주증상으로 나타난다. 심건반사는 상지에서 비교적 일찍 소실되고 하지에서 아킬레스건 반사가 오랫동안 남아있다. 대체로 지능이 저하된다. 일반적으로 병의 진행이 신속하며 대부분 20세 이전에 사망한다. 가성 근비대는 하퇴 및 전완부에서 현저하다. 척추전만, 척추 및 하지전근의 쇠약으로 마루에서 일어설 때 하퇴, 대퇴의 순으로 손을 짚어 올라가며 힘들게 일어서는 특이한 기립동작인 Gower\'s sign이 나타난다. 또 오리걸음(Wadding gait)도 보인다.
2) Becker\'s Muscular Distrophy
Duchenne형 근이영양증과 유사하나 임상증상이 덜 심한 편이다. 1995년 Becker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 반성 열성 유전으로 증상의 시작은 5세 이후나 20세 이전에 나타난다고 한다. 임상증상 및 병의 경과가 Duchenne형보다 상당히 늦게 나타나고 지적 수준의 지연은 없다.
2) Becker\'s Muscular Distrophy
Duchenne형 근이영양증과 유사하나 임상증상이 덜 심한 편이다. 1995년 Becker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 반성 열성 유전으로 증상의 시작은 5세 이후나 20세 이전에 나타난다고 한다. 임상증상 및 병의 경과가 Duchenne형보다 상당히 늦게 나타나고 지적 수준의 지연은 없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