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 행동 주의 모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지 행동 주의 모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인지 행동주의 모델의 개괄
1. 인지행동주의 이론
2. 인지행동치료의 가정
3. 인지행동치료의 특징

Ⅱ. 인지행동모델 이론가
1. Aaron Beck
2. Albert Ellis
3. Donald Meichenbaum

Ⅲ. 인지행동주의 모델의 목표
1. 목표
2. 목표설정의 이유
3. 목표설정의 방법

Ⅳ. 인지행동의 모델의 치료 과정과 기법
1. 인지행동 사정
2. 인지 행동치료법

Ⅴ. 사례 연구 1,2

Ⅵ. 인지행동주의 모델의 평가

본문내용

에 환자를 즉각적으로 노출시키는 방법임. 즉, 불안을 일으키는 상황에서 도망치는 것은 그 불안을 오히려 강화한다는 전제하에서, 환자로 하여금 도망을 못하게 하여 불안을 소멸시키고, 회피적인 행동이 조건화되는 것을 막음.
* Implosion(내폭법) : 홍수요법의 변형으로 두려운 상황이나 여건을 실제 상황에서보다는 상상 속에서만 직면하는 방법
6) Vestibular desensitization(전정기관의 탈감각화 훈련) : 환경적인 단서에 의해 현기증, 불균형, 어지러움, 오심, 이명, 흐린 시야, 두통과 같은 운동성 장애를 야기하는 공황발작을 가진 환자에게 적용하는 노출치료.
환경적 단서의 예) 갑작스런 위치 변경, 양쪽에 상품이 가득 쌓인 슈퍼마켓 통로를 걷는 것, 일정한 패턴으로 거리를 걷는 것 등.
7) Response prevention(반응예방 또는 반응차단) : 불안 감소반응(예; 이완요법, 탈감각화)없이 불안을 야기하는 자극에 반복적으로 노출시키는 것으로 불안에 반복 노출되어도 두려운 결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결국 불안감소를 이끌어 냄.
(2) 인지 재구성법
1) Monitoring thought and feeling(사고와 감정의 감시법) : 5가지 기록형식(상황, 감정, 상황에 반응하는 자동적 사고, 보다 합리적 반응, 결과)을 이용해서 환자의 자기인식을 증진시키고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감시하는 것을 돕는 방법.
2) Questioning the evidence(증거탐문) : 환자와 치료자가 특정 믿음을 뒷받침하기 위해 사용되는 증거를 검토해 보는 것 예) “그 생각에 대해 어떤 증거를 가지고 있습니까?”
3) Examining alternatives(대안검토): 환자가 자신의 강점과 대처자원에 기초한 선택을 가능하게 함.
4) Decatastrophizing(탈비극화) 또는 What-if technique(가정기술) : 환자가 상황의 비극적 성질을 과대평가하는 것을 깨닫게 하기위해 “일어날 수 있는 가장 나쁜 일은 무엇인가?”,“그것이 정말 일어난다면 그렇게 끔찍할 것인가?”, ”다른 사람은 그 사태에 대해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등의 질문을 사용하는 방법.
5) Reframing(재구성) : 환자의 상황이나 행동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는 전략으로 문제의 다른 측면에 초점을 두거나 환자가 다른 시각에서 문제를 바라볼 수 있도록 해주는 것.
예) 실직은 스트레스로 받아들여질 수 있지만 새로운 직업을 찾을 수 있는 기회도 된다.
6) Thought stopping(사고중지) : 역기능적인 사고의 진행을 멈추게 하기 위해서 간호사가 “stop 중지”라고 외치거나 환자가 멈춤 표지판, 벽돌을 쌓은 벽 등을 상상함으로써 환자의 생각을 제어하는 방법.
(3) 새로운 행동의 학습법
1) Modeling(모델링 또는 대리학습) : 새로운 행동패턴을 형성하고, 기존의 기술을 증대 또는 회피행동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되는 전략으로 모델이 되는 사람을 선정하여 환자가 그 사람을 관찰하고 행동을 따라 해보도록 하는 방법
2) Shaping(행동형성 또는 유형화) : 바람직한 행동에 가깝게 행하면 이를 강화함으로써 새로운 행동을 유도하는 방법
3) Token Economy(토큰경제) : 바람직한 행동을 했을 때 토큰, 패스, 점수 등을 줌으로써 환자에게 보상해 주는 것.
4) Role play(역할극) : 환자로 하여금 문제가 되는 쟁점(행동)을 연기하게 하고 그 행동에 대한 피드백을 얻을 수 있도록 해줌.
5) Social skill Training(사회기술훈련) : 사회기술은 학습되는 것이며 교육을 통해 훈련을 시행함.
6) Aversion Therapy(혐오요법): 부적응적인 행동이 일어났을 때 혐오자극을 제공하는 것으로 환자가 원하지 않지만 지속되는 부적응적 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됨.
7) Contingency Contraction(임시계약) : 어떤 행동이 변화되어야 하며 이러한 행동에 어떤 결과가 따르게 되는지에 대한 환자와 치료자간의 형식적 계약.
Ⅴ. 사례 연구
1. 사례 연구 첫번째
Michele의 나이는 10살이고 5학년에 재학 중인 소녀이다. 2월에 사회적 문제로 그녀의 어머니에 의해 상담을 받게 되었다. Michele은 이웃에 사는 친구가 거의 없다. 그리고 반 친구들로부터 놀림을 당했다. 그녀는 몇 년 전에 Sanigtha라는 좋은 친구와 사귄 적이 있지만, 반에서 특별히 가까이 하는 친구는 없었다. Michele은 몇 년 동안 친구를 사귀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학기가 시작되던 그해 9월에 새로운 급우가 전학을 왔는데, 그녀는 Michele과 Sanigtha의 관계를 갈라놓으려 했으며 다른 친구들을 선동하여 Michele를 놀려댔다.
그녀의 어머니는 읽고 쓰는 데 있어서 그녀가 학문적 문제를 겪어 왔다는 것을 알려 주었다. Michele은 학교 심리학자에 의해 평가되었지만 현상적 학습 장애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녀의 어머니는, 읽고 쓰는 문제에 대해 Michele이 어쩔 줄 몰라하는 것은 그녀의 자신감의 부족 때문이라고 믿었다. 그녀의 부모는 그녀의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녀와 같이 놀아 주려고 애썼다. 그들은 그녀를 구제해야 한다고 믿었기 때문에 그녀는 사회적 기술을 발달시킬 기회를 거의 갖지 못했다. 그녀의 담임 선생님과의 면담은 Michele의 현 상황을 더욱 분명하게 알 수 있게 했다. 그녀의 급우들은 Michele의 행동에 의해 강화되고 있었던 것이다. 그녀의 급우들은 Michele의 혼란과 미성숙한 행동을 지켜보는 것을 즐기면서 그녀에 대한 그들의 부정적 관점을 강화하고 있었다. 그녀의 담임 선생은 그녀가 혼란스러워할 때 특별한 관심을 보인 것을 유감스럽게 생각했다.
Michele과의 면담은, 새로 전학 온 친구가 Sanigtha와 이야기하고 있는 것을 보았을 때 그녀가 의기 소침해졌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그녀는, “그녀는 이제 더 이상 나의 친구가 될 수 없어.”, “아무도 나를 좋아하지 않을 거야.”, “나에게 뭔가 잘못이 있는 게 분명해.” 와 같은 자동적 사고를 가지고 있었다. 놀림을 받았을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5.03.25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98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