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영화속이야기
2. 영화속 명장면 명대사 베스트7
3. 우리를 감동시킨 영화속 소품 세 가지
1) 십자가 목걸이
2) 촛대와 바이올린
4. 함께 이야기해 봅시다.
2. 영화속 명장면 명대사 베스트7
3. 우리를 감동시킨 영화속 소품 세 가지
1) 십자가 목걸이
2) 촛대와 바이올린
4. 함께 이야기해 봅시다.
본문내용
죽은 건 나요 산자는
그들입니다. 왜냐하면 언제나 그렇듯 죽은 자의 정신은 산 자의 기억속에 남기
때문입니다.
“빛이 어두움에 비취되 어둠이 깨닫지 못하느니라”
Ⅲ. 우리를 가동시킨 소품 세 가지
1. 십자가 목걸이
맨도사가 포르투칼 군인들에게 싸워 나가기 전에 가브리엘 신부에게 축복의 기도를 받으러 온다. 그때 가브리엘은 “그대가 옳다면 내가 기도하지 않아도 하나님께서 축복하실 것이요 그대가 틀리다면 나의 기도가 소용이 없다”라고 말하면서 기도해 주기를 거부한다. 하지만 돌아서 나가는 맨도사에게 가브리엘은 그의 목에 걸린 십자가 목걸이를 벗어서 맨도사의 목에 걸어준다. 맨도사는 그 목걸이를 목에 걸고 나가 싸우다 포루투칼군의 총탄에 맞아 죽는다. 그 목걸이는 처음부터 가브리엘 신부의 목에 걸려있던 것이 아니다. 그 목걸이의 원래 주인은 첫 장면에서 과라니 족에 의해서 십자가에 묶여 폭포에 떨어져 죽은 무명의 신부의 것이다.
가브리엘 신부가 무명의 신부의 뒤를 이어 과라니 족에게 가기 전에 그는 폭포 밑에 있는 무명의 신부의 무덤에 가 기도를 하고 그 무덤에 놓여진 십자가 목걸이를 집어 그의 목에 걸고 폭포 위로 올라간다.
십자가 목걸이는 하나님의 일을 위해 나의 목숨을 내어놓는다는 의미일 것이다. 하나님의 일이라고 생각하는 것에 자기의 생명을 바칠 각오로 입하는 신부들의 의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하나님의 일에 담대하게 목숨을 바치라는 의미일 것이다. 하나님의 일에 목숨을 바치는 자들의 축복하는 기도일 것이다.
폭포로 올라가기 전에 같이왔던 신부들이 가브리엘에게 묻는다. “다음에 누가 그들에게 가지요?” 그때 가브리엘은 말한다. “그를 보낸 신부는 저요” 그리고 그는 자진해서 과라니 족에게 간다. 바로 그 십자가를 멘도사 신부에게 준 것이다. 십자가의 능력이 그 신부와 함께 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한국에 기독교가 뿌리 내리기 위해서 십자가 목걸이를 걸고 들어온 많은 사람들이 있었다. 그들이 죽으면 그들의 목걸이를 다시 목에 걸고 들어온 사람들. 그 결과가 지금 한국의 기독교의 모태이다. 그러나 안타까운 것은 얼마나 많은 한국 기독교인들이 그 십자가의 목걸이를 걸고 있는지 하는 것이다.
2. 촛대와 바이올린
바이올린은 모든 영화가 끝나고(로마 특사의 편지 마지막이 끝나고) 자막이 올라가기 전에 포르투칼의 만행 가운데서 살아 남은 과라니 족 아이들이 밀림속으로 들어가기 전에 집어 들었던 물건이다. 이 영화를 본 많은 사람들이가지는 공통된 의문 중에 하나는 그 아이가 왜 바이올린을 집어 들고 밀림 속으로 들어갔나 하는 것이 아닐까? 그 정확한 의미는 아마 영화 감독인 롤랑 조페만이 알 것이다. 하지만 영화 감상자들이 그 나름대로 영화의 한 장면의 의미를 추측하고 해석하는 것 또한 영화를 보는 이의 기쁨이 아닐까. 개인적 생각으로는 이 장면은 ‘미션’이란 영화속에서 ‘나타난 사건’을 보는 과라니족의 유일한 해석이 아닐까 한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 로마특사의 독백으로 이 롸라니족의 사건을 보는 예수회 신부의 입장이 나온다. 그리고 그전에 두 나라 대사와 로마특사의 대화 중에서 이 사건을 보는 두 나라의 입장 즉 서구 열강의 해석이 나온다.
재미있는 것은 로마 특사는 이 사건을 보는 데 이 사건에 연루 된 신부들의 태도를 중심으로 해석한다. “그 사람들은 죽었고 나는 살았으나, 사실 산 사람은 그들이고 죽은 사람은 우리다. 비록 그들이 죽었지만 그들의 생각은 살아있는 우리들의 머리 속에 살아있기 때문이다” 포르투칼과 스페인의대사는 이 사건을 하나니의 식민지 확장 가운데 수시로 발생할 수 있는 원주민들의 아주 사소한 저항 쯤으로 해석한다. 만약 영화가 이렇게
그들입니다. 왜냐하면 언제나 그렇듯 죽은 자의 정신은 산 자의 기억속에 남기
때문입니다.
“빛이 어두움에 비취되 어둠이 깨닫지 못하느니라”
Ⅲ. 우리를 가동시킨 소품 세 가지
1. 십자가 목걸이
맨도사가 포르투칼 군인들에게 싸워 나가기 전에 가브리엘 신부에게 축복의 기도를 받으러 온다. 그때 가브리엘은 “그대가 옳다면 내가 기도하지 않아도 하나님께서 축복하실 것이요 그대가 틀리다면 나의 기도가 소용이 없다”라고 말하면서 기도해 주기를 거부한다. 하지만 돌아서 나가는 맨도사에게 가브리엘은 그의 목에 걸린 십자가 목걸이를 벗어서 맨도사의 목에 걸어준다. 맨도사는 그 목걸이를 목에 걸고 나가 싸우다 포루투칼군의 총탄에 맞아 죽는다. 그 목걸이는 처음부터 가브리엘 신부의 목에 걸려있던 것이 아니다. 그 목걸이의 원래 주인은 첫 장면에서 과라니 족에 의해서 십자가에 묶여 폭포에 떨어져 죽은 무명의 신부의 것이다.
가브리엘 신부가 무명의 신부의 뒤를 이어 과라니 족에게 가기 전에 그는 폭포 밑에 있는 무명의 신부의 무덤에 가 기도를 하고 그 무덤에 놓여진 십자가 목걸이를 집어 그의 목에 걸고 폭포 위로 올라간다.
십자가 목걸이는 하나님의 일을 위해 나의 목숨을 내어놓는다는 의미일 것이다. 하나님의 일이라고 생각하는 것에 자기의 생명을 바칠 각오로 입하는 신부들의 의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하나님의 일에 담대하게 목숨을 바치라는 의미일 것이다. 하나님의 일에 목숨을 바치는 자들의 축복하는 기도일 것이다.
폭포로 올라가기 전에 같이왔던 신부들이 가브리엘에게 묻는다. “다음에 누가 그들에게 가지요?” 그때 가브리엘은 말한다. “그를 보낸 신부는 저요” 그리고 그는 자진해서 과라니 족에게 간다. 바로 그 십자가를 멘도사 신부에게 준 것이다. 십자가의 능력이 그 신부와 함께 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한국에 기독교가 뿌리 내리기 위해서 십자가 목걸이를 걸고 들어온 많은 사람들이 있었다. 그들이 죽으면 그들의 목걸이를 다시 목에 걸고 들어온 사람들. 그 결과가 지금 한국의 기독교의 모태이다. 그러나 안타까운 것은 얼마나 많은 한국 기독교인들이 그 십자가의 목걸이를 걸고 있는지 하는 것이다.
2. 촛대와 바이올린
바이올린은 모든 영화가 끝나고(로마 특사의 편지 마지막이 끝나고) 자막이 올라가기 전에 포르투칼의 만행 가운데서 살아 남은 과라니 족 아이들이 밀림속으로 들어가기 전에 집어 들었던 물건이다. 이 영화를 본 많은 사람들이가지는 공통된 의문 중에 하나는 그 아이가 왜 바이올린을 집어 들고 밀림 속으로 들어갔나 하는 것이 아닐까? 그 정확한 의미는 아마 영화 감독인 롤랑 조페만이 알 것이다. 하지만 영화 감상자들이 그 나름대로 영화의 한 장면의 의미를 추측하고 해석하는 것 또한 영화를 보는 이의 기쁨이 아닐까. 개인적 생각으로는 이 장면은 ‘미션’이란 영화속에서 ‘나타난 사건’을 보는 과라니족의 유일한 해석이 아닐까 한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 로마특사의 독백으로 이 롸라니족의 사건을 보는 예수회 신부의 입장이 나온다. 그리고 그전에 두 나라 대사와 로마특사의 대화 중에서 이 사건을 보는 두 나라의 입장 즉 서구 열강의 해석이 나온다.
재미있는 것은 로마 특사는 이 사건을 보는 데 이 사건에 연루 된 신부들의 태도를 중심으로 해석한다. “그 사람들은 죽었고 나는 살았으나, 사실 산 사람은 그들이고 죽은 사람은 우리다. 비록 그들이 죽었지만 그들의 생각은 살아있는 우리들의 머리 속에 살아있기 때문이다” 포르투칼과 스페인의대사는 이 사건을 하나니의 식민지 확장 가운데 수시로 발생할 수 있는 원주민들의 아주 사소한 저항 쯤으로 해석한다. 만약 영화가 이렇게
추천자료
영화속에 드러난 미래 사회의 네트워크의 의미
영화속 테크놀로지와 미래 예견
감성리더쉽에 대한 이해와 사례분석 - 리더와 리더쉽, 영화속 램지함장의 모습
영화속 등장하는 자동차들
위대한게츠비영화속의상
PPL(간접광고, 제품배치) 역사,현황, PPL(간접광고, 제품배치) 유형, PPL(간접광고, 제품배치...
[가족복지론A+리포트]영화속 문제가정을 통해본 가족복지 증진방안
<영화속에 나타난 경성의 모습>-라듸오데이즈를 통해
브리짓 존슨의 일기 - 영화속 매너
샤인에 대한 성격심리학적 분석[영화속주인공심리분석]
[파워포인트] 영화속 의상
영화미이라속 고대이집트
영화속의청소년-3
2013년 1학기 세상읽기와논술 중간시험과제물 E형(영화드라마속 등장인물과 나,직장문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