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에서의방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번역에서의방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번역에서의 문맥 : 언어 사용역의 분석

MALINOWSKI : 상황과 문화의 문맥

Firth : 의미와 언어의 변화

상황의 묘사

언어사용역의 개념

사용자가 관련된 다양성

지리학적 방언

시대적 방언

사회적 방언

표준어

개인어

사용관련 변이

담화영역

화법의 양식

화법의 방향

사용역 본래의 불확실성

제한된 사용역

지리적 방언의 예

본문내용

한된 사용역이다. 사용역이 가장 최대로 사용되는 것은 외교문서이고, 가장 적은 것으로는 언론의 언어이다. 그리고 그 중간에는 날씨중계나 보험계약서 등이 있다.
반면에 우리는 광고나 언론의 언어와 같은 비 제한적인 사용역에 대해서도 알 필요가 있다.
지리적 방언의 예
제주의 방언은 타 지역의 방언과 달리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다른 지역의 방언은 TV나 주변에서 많이 접해 쉽게 알아들을 수 있지만 제주의 방언은 방언을 사용하는 토박이를 만나기도 쉽지 않은데다 드라마 등의 소재로도 다뤄지지 않아 이해하기가 더욱 힘들다. 그래서 제주의 방언은 마치 해석이 필요한 또 다른 언어와 같다. 제주의 젊은 사람들도 나이드신 할머니, 할아버지의 말을 알아듣기가 힘들다고 하는데 해마다 젊은 사람들의 방언 사용 대회도 있다. 우선은 간단한 문장의 표현과 흔히 쓰는 단어를 설명하겠다.
제주의 방언
표준말
제주의 방언
표준말
제주도엔 언제 왓수꽈?
제주도엔 언제 왔습니까?
어제 왓수다.
어제 왔습니다
어디 감수광?
어디 가십니까?
고맙수다.
고맙습니다
반갑수다.
반갑습니다
미안허우다.
미안합니다
돈 가진거 엇수과?
돈 가진거 없습니까?
호끔 이수다
조금 있습니다
내일 비 오쿠과?
내일 비가 오겠습니까?
잘 모르쿠다
잘 모르겠습니다
나가 하쿠다.
내가 하겠습니다
잘 모르키어
잘 모르겠어
이게 뭐(우)꽈?
이게 뭡니까?
이거 얼마(우)꽈?
이게 얼마입니까?
옵디가?
오셨습니까?
얼마 마씀?
얼마요?, 얼마입니까?
2000원 마시
2000원요, 2000원입니다)
화장실이 어디 이수과?
화장실이 어디 있습니까?
저쪽마시
저쪽요
이층마시
이층요
위에마시
위에요
영 옵서예
이쪽으로 오세요
하르방/ 할망
할아버지/ 할머니
아방/ 어멍
아버지/ 어머니
하영/ 호끔
많이/ 조금
누게/ 어떵
누구/ 어떻게, 어때
닮수다
같습니다
주멩기
주머니
좁새기
비올 때 둘러 쓰는 우장
부시주멩기
부시주머니
가막창신
여자 가죽신의 한 가지
곤떡/ 조펌벅
쌀떡/ 조로 만든 범벅
누넹이
누룽이, 눌은 밥
마농지
마늘 장아찌
돗괴기/ 바릇괴기
돼지고기/ 바닷고기
촐 래
반찬
쉰다리
밥을 발효시켜 만든 단술의 일종
반지기
쌀과 잡곡으로 반반 섞은 밥
둠비
두부
송애기떡
고사떡, 말똥 모양의 떡
모몰죽
메밀죽
무뚱
처마 밑, 문어귀
통시
돼지 우리를 겸한 변소
쇠막
외양간
쳇방
마루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작은 마루
불치막
거름을 넣어두는 작은집
방상집(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4.09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19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