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예시
1) 개념
2) 사회계약론과 공정으로서의 정의
3) 정의론의 두 원리
4) 사회복지함수 - 효용 맥시민설
5) 비판
1) 개념
2) 사회계약론과 공정으로서의 정의
3) 정의론의 두 원리
4) 사회복지함수 - 효용 맥시민설
5) 비판
본문내용
식화해보면,
W= min(UA, UB)
--> min은 ( )안에 있는 모든 값들 중 최소값을 말한다.
- 대안의 최악의 결과가 다른 대안들이 맞는 최악의 결과보다 우월한 경우 그 대안을 채택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갑돌이의 효용
최소의 극대화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
갑순이의 효용
==> 한 사람의 복지를 어느 수준에 고정시켜 놓고 다른 사람의 복지를 각기 다양하게 증가시키는 정책 대안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동일한 사회복지의 변화를 초래한다.
차등의 원리에서 말하는 L자형 사회복지 함수는 사회의 여러 계층 중 가장 불우한 계층의 편익부터 극대화 시킬 것을 요구한다.
5) 비판
(1) 차등의 원리는 바람직하지 못한 사회적 배분을 가져올 수 있다
정책 1
정책 2
정책 3
갑
100
100
10
을
90
12
10
병
10
11
10
최소값
10
11
10
-> 차등의 원리에 따르면 정책2가 최소값을 극대화하고 있기 때문에 선택된다. 그러나 을의 입장에서 보면 정책2와 정책1의 차이는 엄청나다. 전체적으로 정책1이 더 바람직하다는 판단도 충분히 가능하다.
(2) 최소의 극대화 원칙은 불합리한 선택을 가져올 수 있다. 예를들어 갑이라는 환자는 치료를 받아
W= min(UA, UB)
--> min은 ( )안에 있는 모든 값들 중 최소값을 말한다.
- 대안의 최악의 결과가 다른 대안들이 맞는 최악의 결과보다 우월한 경우 그 대안을 채택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갑돌이의 효용
최소의 극대화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
갑순이의 효용
==> 한 사람의 복지를 어느 수준에 고정시켜 놓고 다른 사람의 복지를 각기 다양하게 증가시키는 정책 대안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동일한 사회복지의 변화를 초래한다.
차등의 원리에서 말하는 L자형 사회복지 함수는 사회의 여러 계층 중 가장 불우한 계층의 편익부터 극대화 시킬 것을 요구한다.
5) 비판
(1) 차등의 원리는 바람직하지 못한 사회적 배분을 가져올 수 있다
정책 1
정책 2
정책 3
갑
100
100
10
을
90
12
10
병
10
11
10
최소값
10
11
10
-> 차등의 원리에 따르면 정책2가 최소값을 극대화하고 있기 때문에 선택된다. 그러나 을의 입장에서 보면 정책2와 정책1의 차이는 엄청나다. 전체적으로 정책1이 더 바람직하다는 판단도 충분히 가능하다.
(2) 최소의 극대화 원칙은 불합리한 선택을 가져올 수 있다. 예를들어 갑이라는 환자는 치료를 받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