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졌다.\")
·귀먹쟁이 : \'귀머거리\'의 방언
\"그 애가 태어날 때부터 귀먹쟁이었던 건 아니다.\"(=\"그 애가 태어날 때부터 귀머거리였던 건 아니다.\")
·허리막 / 등물 : \'목물\'의 방언
\"허리막을 한 차례 하고 나니 더위가 수그러들었다.\"(=\"목물을 한 차례 하고 나니 더위가 수그러들었다.\")
·달비 / 다루 : \'다리\'의 방언
\"수영을 하다가 달비에 쥐가 나서 큰일날 뻔했다.\"(=\"수영을 하다가 다리에 쥐가 나서 큰일날 뻔했다.\")
·외약쪽 : \'왼쪽\'의 방언
\"그 모퉁이에서 외약쪽으로 돌아라.\"(=\"그 모퉁이에서 왼쪽으로 돌아라.\")
·기트름 : \'트림\'의 방언
\"속이 더북룩한 게 자꾸 기트름만 나온다.\"(=\"속이 더북룩한 게 자꾸 기트름만 나온다.\")
·재침 : \'재채기\'의 방언
\"먼지가 많은지 재침만 계속 한다.\"(=\"먼지가 많은지 재채기만 계속 한다.\")
·하얌 / 아음 : \'하품\'의 방언
\"영화가 너무 지루해서 하얌만 하다가 나왔어.\"(=\"영화가 너무 지루해서 하품만 하다가 나왔어.\")
·떡애기 : \'갓난아이\'의 방언
\"그 집에 태어난 지 두 달된 떡애기가 있다.\"(=\"그 집에 태어난 지 두 달된 갓난아기가 있다.\")
·지개지개 : \'곤지곤지\'의 방언
\"할머니께서 아기에게 지개지개를 가르치고 계신다.\"(=\"할머니께서 아기에게 곤지곤지를 가르치고 계신다.\")
·딴지딴지 : \'짝짜꿍\'의 방언
\"우리 막내 동생은 이제 딴지딴지를 잘 한다.\"(=\"우리 막내 동생은 이제 짝짜꿍을 잘 한다.\")
·섬마섬마 : \'따로따로\'의 방언
\"두 사람은 그 뒤로 모든 걸 섬마섬마 했다.\"(=\"두 사람은 그 뒤로 모든 걸 따로따로 했다.\")
·쥐치 / 지추 : \'주춧돌\'의 방언
\"이 돌은 옛 가옥의 쥐치로 사용했던 것이다.\"(=\"이 돌은 옛 가옥의 주춧돌로 사용했던 것이다.\")
·보둠끼다 : \'안기다\'의 방언
\"그는 힘들 때마다 어머니를 찾아가 보둠꼈다.\"(=\"그는 힘들 때마다 어머니를 찾아가 안겼다.\")
·버르제기 : \'버릇\'의 방언
\"세 살 버르제기 여든 간다.\"(=\"세 살 버릇 여든 간다.\")
·줏어맥기 / 독집기 : \'공기\'의 방언
\"예나 지금이나 여자아이들이 줏어맥기를 한다.\"(=\"예나 지금이나 여자아이들이 공기를 한다.\")
·숫 / 숯 : \'윷\'의 방언
\"오늘은 숫을 던져보기로 했다.\"(=\"오늘은 윷을 던져보기로 했다.\")
·동구 / 군지 : \'그네\'의 방언
\"아이들이 놀이터에서 동구를 타고 논다.\"(=\"아이들이 놀이터에서 그네를 타고 논다.\")
·쓰개 / 얼음배 : \'썰매\'의 방언
\"겨울방학 때 시골에서 쓰개를 타고 놀았다.\"(=\"겨울방학 때 시골에서 썰매를 타고 놀았다.\")
·뺑오리 : \'팽이\'의 방언
\"이번에는 뺑오리를 주제로 레포트를 쓰기로 했다.\"(=\"이번에는 팽이를 주제로 레포트를 쓰기로 했다.\")
·궁글리다 / 궁글치다 : \'굴리다\'의 방언
\"철수는 시간이 가까워오자 다리를 동동 궁글리고만 있었다.\"(=\"철수는 시간이 가까워오자 다리를 동동 굴리고만 있었다.\")
·뉨 : \'누나\'의 방언
\"뉨은 어디 갔어요?\"(=\"누나는 어디 갔어요?\")
·오랍씨 : \'오빠\'의 방언
\"오랍씨는 잘 계시지요?\"(=\"오빠는 잘 계시지요?\")
·아시를 보다 : \'아우보다\'의 방언
\"그는 나이 20에 아시를 보았다.\"(=\"그는 나이 20에 아우를 보았다.\")
·되룸 : \'도련님\'의 방언
\"되룸은 어제 서울로 떠났다.\"(=\"도련님은 어제 서울로 떠났다.\")
·홀압씨 : \'홀아비\'의 방언
\"과부 사정은 홀압씨가 안다더라.\"(=\"과부 사정은 홀아비가 안다더라.\")
·회자 : \'효자\'의 방언
\"그는 윗마을까지 소문난 회자였다.\"(=\"그는 윗마을까지 소문난 효자였다.\")
·융 : \'이웃\'의 방언
\"융집에는 이제 아무도 살지 않는다.\"(=\"이웃집에는 이제 아무도 살지 않는다.\")
·모슬 : \'마을\'의 방언
\"그 모슬에는 남자가 한 명도 없다.\"(=\"그 마을에는 남자가 한 명도 없다.\")
·이약 : \'이야기\'의 방언
\"어디 이약을 한 번 들어보자.\"(=\"어디 이야기를 한 번 들어보자.\")
·연출 : \'(호박)덩굴\'의 방언
\"호박이 연출째 굴러 들어왔다.\"(=\"호박이 덩굴째 굴러 들어왔다.\")
·달룽개 : \'달래\'의 방언
\"오늘 점심 시간에 나온 달룽개 무침은 맛이 좋았다.\"(=\"오늘 점심 시간에 나온 달래 무침은 맛이 좋았다.\")
·껍닥 : \'껍질\'의 방언
\"달걀 껍닥에 손가락을 찔렸다.\"(=\"달걀 껍질에 손가락을 찔렸다.\")
·감치자 : \'홍시\'의 방언
\"가을에는 뭐니뭐니해도 감치자가 맛이 좋다.\"(=\"가을에는 뭐니뭐니해도 홍시가 맛이 좋다.\")
·추자 : \'호두\'의 방언
\"그 아이스크림에는 추자가 들어가 있다.\"(=\"그 아이스크림에는 호두가 들어가 있다.\")
·끌텅 / 끄렁 : \'그루터기\'의 방언
\"나무 끌텅에 앉아서 바람을 쐬고 있다.\"(=\"나무 그루터기에 앉아서 바람을 쐬고 있다.\")
·삭다리 / 새깽이 : \'삭정이\'의 방언
\"산 속의 밤은 너무 추우니 삭다리라도 찾아서 불을 지펴야겠다.\"(=\"산 속의 밤은 너무 추우니 삭정이라도 찾아서 불을 지펴야겠다.\")
·도치 : / \'도끼\'의 방언
\"도치의 날이 무뎌졌다.\"(=\"도끼의 날이 무뎌졌다.\")
·체게 / 낭 : \'벼랑\'의 방언
\"하마터면 철수는 체게에서 떨어질 뻔했다.\"(=\"하마터면 철수는 벼랑에서 떨어질 뻔했다.\")
·바구 : \'바위\'의 방언
\"뒷동산 바구는 사람의 형상을 하고 있다.\"(=\"뒷동산 바위는 사람의 형상을 하고 있다.\")
·베리치 : \'볏\'의 방언
\"소에다가 베리치를 달아 밭을 간다.\"(=\"소에다가 볏을 달아 밭을 간다.\")
·부뚱 : \'부뚜막\'의 방언
\"얌전한 강아지 부뚱에 먼저 올라간다더라.\"(=\"얌전한 강아지 부뚜막에 먼저 올라간다더라.\")
·꾹저긴다 : \'구기다\'의 방언
\"현아는 종이를 꾹저긴 후 태워버렸다.\"(=\"현아는 종이를 구긴 후 태워버렸다.\")
·지봉구 : \'지붕\'의 방언
\"지봉구가 새서 내일은 수리를 하기로 했다.\"(=\"지붕이 새서 내일은 수리를 하기로 했다.\")
<참고문헌>
이태영, 『전라도 방언과 문화이야기』, 신아출판사, 200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방언자료집Ⅵ - 전라남도편』, 1990.
·귀먹쟁이 : \'귀머거리\'의 방언
\"그 애가 태어날 때부터 귀먹쟁이었던 건 아니다.\"(=\"그 애가 태어날 때부터 귀머거리였던 건 아니다.\")
·허리막 / 등물 : \'목물\'의 방언
\"허리막을 한 차례 하고 나니 더위가 수그러들었다.\"(=\"목물을 한 차례 하고 나니 더위가 수그러들었다.\")
·달비 / 다루 : \'다리\'의 방언
\"수영을 하다가 달비에 쥐가 나서 큰일날 뻔했다.\"(=\"수영을 하다가 다리에 쥐가 나서 큰일날 뻔했다.\")
·외약쪽 : \'왼쪽\'의 방언
\"그 모퉁이에서 외약쪽으로 돌아라.\"(=\"그 모퉁이에서 왼쪽으로 돌아라.\")
·기트름 : \'트림\'의 방언
\"속이 더북룩한 게 자꾸 기트름만 나온다.\"(=\"속이 더북룩한 게 자꾸 기트름만 나온다.\")
·재침 : \'재채기\'의 방언
\"먼지가 많은지 재침만 계속 한다.\"(=\"먼지가 많은지 재채기만 계속 한다.\")
·하얌 / 아음 : \'하품\'의 방언
\"영화가 너무 지루해서 하얌만 하다가 나왔어.\"(=\"영화가 너무 지루해서 하품만 하다가 나왔어.\")
·떡애기 : \'갓난아이\'의 방언
\"그 집에 태어난 지 두 달된 떡애기가 있다.\"(=\"그 집에 태어난 지 두 달된 갓난아기가 있다.\")
·지개지개 : \'곤지곤지\'의 방언
\"할머니께서 아기에게 지개지개를 가르치고 계신다.\"(=\"할머니께서 아기에게 곤지곤지를 가르치고 계신다.\")
·딴지딴지 : \'짝짜꿍\'의 방언
\"우리 막내 동생은 이제 딴지딴지를 잘 한다.\"(=\"우리 막내 동생은 이제 짝짜꿍을 잘 한다.\")
·섬마섬마 : \'따로따로\'의 방언
\"두 사람은 그 뒤로 모든 걸 섬마섬마 했다.\"(=\"두 사람은 그 뒤로 모든 걸 따로따로 했다.\")
·쥐치 / 지추 : \'주춧돌\'의 방언
\"이 돌은 옛 가옥의 쥐치로 사용했던 것이다.\"(=\"이 돌은 옛 가옥의 주춧돌로 사용했던 것이다.\")
·보둠끼다 : \'안기다\'의 방언
\"그는 힘들 때마다 어머니를 찾아가 보둠꼈다.\"(=\"그는 힘들 때마다 어머니를 찾아가 안겼다.\")
·버르제기 : \'버릇\'의 방언
\"세 살 버르제기 여든 간다.\"(=\"세 살 버릇 여든 간다.\")
·줏어맥기 / 독집기 : \'공기\'의 방언
\"예나 지금이나 여자아이들이 줏어맥기를 한다.\"(=\"예나 지금이나 여자아이들이 공기를 한다.\")
·숫 / 숯 : \'윷\'의 방언
\"오늘은 숫을 던져보기로 했다.\"(=\"오늘은 윷을 던져보기로 했다.\")
·동구 / 군지 : \'그네\'의 방언
\"아이들이 놀이터에서 동구를 타고 논다.\"(=\"아이들이 놀이터에서 그네를 타고 논다.\")
·쓰개 / 얼음배 : \'썰매\'의 방언
\"겨울방학 때 시골에서 쓰개를 타고 놀았다.\"(=\"겨울방학 때 시골에서 썰매를 타고 놀았다.\")
·뺑오리 : \'팽이\'의 방언
\"이번에는 뺑오리를 주제로 레포트를 쓰기로 했다.\"(=\"이번에는 팽이를 주제로 레포트를 쓰기로 했다.\")
·궁글리다 / 궁글치다 : \'굴리다\'의 방언
\"철수는 시간이 가까워오자 다리를 동동 궁글리고만 있었다.\"(=\"철수는 시간이 가까워오자 다리를 동동 굴리고만 있었다.\")
·뉨 : \'누나\'의 방언
\"뉨은 어디 갔어요?\"(=\"누나는 어디 갔어요?\")
·오랍씨 : \'오빠\'의 방언
\"오랍씨는 잘 계시지요?\"(=\"오빠는 잘 계시지요?\")
·아시를 보다 : \'아우보다\'의 방언
\"그는 나이 20에 아시를 보았다.\"(=\"그는 나이 20에 아우를 보았다.\")
·되룸 : \'도련님\'의 방언
\"되룸은 어제 서울로 떠났다.\"(=\"도련님은 어제 서울로 떠났다.\")
·홀압씨 : \'홀아비\'의 방언
\"과부 사정은 홀압씨가 안다더라.\"(=\"과부 사정은 홀아비가 안다더라.\")
·회자 : \'효자\'의 방언
\"그는 윗마을까지 소문난 회자였다.\"(=\"그는 윗마을까지 소문난 효자였다.\")
·융 : \'이웃\'의 방언
\"융집에는 이제 아무도 살지 않는다.\"(=\"이웃집에는 이제 아무도 살지 않는다.\")
·모슬 : \'마을\'의 방언
\"그 모슬에는 남자가 한 명도 없다.\"(=\"그 마을에는 남자가 한 명도 없다.\")
·이약 : \'이야기\'의 방언
\"어디 이약을 한 번 들어보자.\"(=\"어디 이야기를 한 번 들어보자.\")
·연출 : \'(호박)덩굴\'의 방언
\"호박이 연출째 굴러 들어왔다.\"(=\"호박이 덩굴째 굴러 들어왔다.\")
·달룽개 : \'달래\'의 방언
\"오늘 점심 시간에 나온 달룽개 무침은 맛이 좋았다.\"(=\"오늘 점심 시간에 나온 달래 무침은 맛이 좋았다.\")
·껍닥 : \'껍질\'의 방언
\"달걀 껍닥에 손가락을 찔렸다.\"(=\"달걀 껍질에 손가락을 찔렸다.\")
·감치자 : \'홍시\'의 방언
\"가을에는 뭐니뭐니해도 감치자가 맛이 좋다.\"(=\"가을에는 뭐니뭐니해도 홍시가 맛이 좋다.\")
·추자 : \'호두\'의 방언
\"그 아이스크림에는 추자가 들어가 있다.\"(=\"그 아이스크림에는 호두가 들어가 있다.\")
·끌텅 / 끄렁 : \'그루터기\'의 방언
\"나무 끌텅에 앉아서 바람을 쐬고 있다.\"(=\"나무 그루터기에 앉아서 바람을 쐬고 있다.\")
·삭다리 / 새깽이 : \'삭정이\'의 방언
\"산 속의 밤은 너무 추우니 삭다리라도 찾아서 불을 지펴야겠다.\"(=\"산 속의 밤은 너무 추우니 삭정이라도 찾아서 불을 지펴야겠다.\")
·도치 : / \'도끼\'의 방언
\"도치의 날이 무뎌졌다.\"(=\"도끼의 날이 무뎌졌다.\")
·체게 / 낭 : \'벼랑\'의 방언
\"하마터면 철수는 체게에서 떨어질 뻔했다.\"(=\"하마터면 철수는 벼랑에서 떨어질 뻔했다.\")
·바구 : \'바위\'의 방언
\"뒷동산 바구는 사람의 형상을 하고 있다.\"(=\"뒷동산 바위는 사람의 형상을 하고 있다.\")
·베리치 : \'볏\'의 방언
\"소에다가 베리치를 달아 밭을 간다.\"(=\"소에다가 볏을 달아 밭을 간다.\")
·부뚱 : \'부뚜막\'의 방언
\"얌전한 강아지 부뚱에 먼저 올라간다더라.\"(=\"얌전한 강아지 부뚜막에 먼저 올라간다더라.\")
·꾹저긴다 : \'구기다\'의 방언
\"현아는 종이를 꾹저긴 후 태워버렸다.\"(=\"현아는 종이를 구긴 후 태워버렸다.\")
·지봉구 : \'지붕\'의 방언
\"지봉구가 새서 내일은 수리를 하기로 했다.\"(=\"지붕이 새서 내일은 수리를 하기로 했다.\")
<참고문헌>
이태영, 『전라도 방언과 문화이야기』, 신아출판사, 200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방언자료집Ⅵ - 전라남도편』, 1990.
추천자료
[방통대] 저가항공사의 현황과 마케팅
[방통대] 국제마케팅(글로벌화) - 글로벌화에 대한 논쟁 기사내용 요약정리
[방통대] 무역법규(공통) - 수출입거래의 유형 중에서, 위탁가공무역에 대해 실제 case를 제...
[방통대인간과교육] 인간과 교육 주입식, 성장식 교육관 에릭슨의 성격발달이론
[방통대국제경제환경론] 국제경제환경론 한·미 FTA와 한·중 FTA 비교, ·논평, 전망
[방통대국제무역정책] 국제무역정책 중간과제 공통 경제동향 FTA 탄력관세
(방통대가족상담및치료) 한국의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 발전과제 참고자료
방통대 경영전략론 관련다각화 비관련다각화에 비해 성과가 높다 - 견해에 대한 의견, 사례
방통대교육고전의이해 루소의 에밀 (교육고전의 이해)
방통대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에서 양적조사 필요성 중요성
[방통대 의료사회사업론] 의료사회사업론 A형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우리나라 국민기초생활...
[방통대] 취미와 예술 B형 취미로서의 영화: 영화란 무엇인가?]에 나오는 독립영화에 대한 ...
[방통대관광법규] 「새만금사업 추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한 찬반의...
,방통대 e-비즈니스 중간과제 유비쿼터스 컴퓨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