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해제를 열며
2. 콜버그 이론의 시작, 발전 그리고 최근의 동향
3. 콜버그 이론의 핵심적 내용과 주장
4. 콜버그 이론에 대한 비판과 응답
5. 요약 및 결론
2. 콜버그 이론의 시작, 발전 그리고 최근의 동향
3. 콜버그 이론의 핵심적 내용과 주장
4. 콜버그 이론에 대한 비판과 응답
5. 요약 및 결론
본문내용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이론의 핵심과 비판 및 그 응답-
1. 해제를 열며
2. 콜버그 이론의 시작, 발전 그리고 최근의 동향
3. 콜버그 이론의 핵심적 내용과 주장
4. 콜버그 이론에 대한 비판과 응답
5. 요약 및 결론
1. 해제를 시작하면서
1983년 콜버그는 자신의 도덕발달에 관한 이론을 최종적으로 정리하여 한 권의 단행본에 실어서 출판하게 되는 데 그 책이 바로 “Moral Stages: A Current Formulation and Response to Critics\"이고, 이 글은 바로 이 책의 번역판에 대한 해제이다. 이 책은 직역하자면 ”도덕발달 단계이론의 새로운 정립과 비판에 대한 응답“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 책은 콜버그의 이론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이정표의 역할을 하는 중요한 문건이다. 왜냐하면 콜버그는 이 책 속에서 자신의 이론에 대한 근원적인 성찰을 시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신의 이론에 대한 애착과 고집을 넘어서 도덕성 발달에 대한 보편이론의 정립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그는 근원적인 성찰을 이 책에서 시도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을 통해서 우리는 콜버그 이론이 어떻게 시작되어서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비로서 명료히 알 수 있게 되며 왜 그렇게 바뀌게 되었는지에 대한 설명도 듣게된다. 콜버그는 엄청난 에너지로 무수한 글을 남겼다. 난해하게 쓴 학문적인 논문들뿐만 아니라 평이하게 쓴 대중용 글도 엄청나게 많다. 아울러 그의 이론을 설명하고 소개하기 위한 글도 엄청나게 많다. 이런 속에서 콜버그의 이론은 다양한 모습으로 오해도 받고 왜곡도 되고 혼란도 일으키게 된다.
콜버그의 이론이 선풍을 일으키자마자 쟁쟁한 철학자, 인류학자, 사회학자들이 비판을 시작하고, 동료들이라 할 다수의 심리학자들이 비행동주의적인 그의 이론을 호되게 비판하고 냉담하며, 그 자신의 지도학생들 조차도 이론의 수정과 보완을 요구하고 나선다. 이런 냉대와 비판과 수정보완의 요구를 10여 년 가까이 지켜보면서 안타까워하기도 하고 억울해하기도 하고 고마워하기도 하면서 콜버그와 그의 동료들은 자신들의 이론에 대한 근원적인 재성찰을 시도하게 되는 것이다.
그들의 재성찰은 우선 콜버그 이론의 근원적인 성격에 대한 모호성에 주목한다. 예컨대 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에서 도덕성의 개념을 철학적 사변의 성격으로 규정하는가 아니면 심리학적 경험의 대상으로 성격지우는가 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이 점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하는 논쟁이 그만큼 많았고 심각했기 때문에 그런 것 같다. 이렇게 콜버그의 이론을 에워싼 심각한 논쟁점의 근원을 하나 씩 하나 씩 이 책은 풀어나간다.
이 책의 저자는 콜버그 혼자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그 간에
-이론의 핵심과 비판 및 그 응답-
1. 해제를 열며
2. 콜버그 이론의 시작, 발전 그리고 최근의 동향
3. 콜버그 이론의 핵심적 내용과 주장
4. 콜버그 이론에 대한 비판과 응답
5. 요약 및 결론
1. 해제를 시작하면서
1983년 콜버그는 자신의 도덕발달에 관한 이론을 최종적으로 정리하여 한 권의 단행본에 실어서 출판하게 되는 데 그 책이 바로 “Moral Stages: A Current Formulation and Response to Critics\"이고, 이 글은 바로 이 책의 번역판에 대한 해제이다. 이 책은 직역하자면 ”도덕발달 단계이론의 새로운 정립과 비판에 대한 응답“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 책은 콜버그의 이론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이정표의 역할을 하는 중요한 문건이다. 왜냐하면 콜버그는 이 책 속에서 자신의 이론에 대한 근원적인 성찰을 시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신의 이론에 대한 애착과 고집을 넘어서 도덕성 발달에 대한 보편이론의 정립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그는 근원적인 성찰을 이 책에서 시도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을 통해서 우리는 콜버그 이론이 어떻게 시작되어서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비로서 명료히 알 수 있게 되며 왜 그렇게 바뀌게 되었는지에 대한 설명도 듣게된다. 콜버그는 엄청난 에너지로 무수한 글을 남겼다. 난해하게 쓴 학문적인 논문들뿐만 아니라 평이하게 쓴 대중용 글도 엄청나게 많다. 아울러 그의 이론을 설명하고 소개하기 위한 글도 엄청나게 많다. 이런 속에서 콜버그의 이론은 다양한 모습으로 오해도 받고 왜곡도 되고 혼란도 일으키게 된다.
콜버그의 이론이 선풍을 일으키자마자 쟁쟁한 철학자, 인류학자, 사회학자들이 비판을 시작하고, 동료들이라 할 다수의 심리학자들이 비행동주의적인 그의 이론을 호되게 비판하고 냉담하며, 그 자신의 지도학생들 조차도 이론의 수정과 보완을 요구하고 나선다. 이런 냉대와 비판과 수정보완의 요구를 10여 년 가까이 지켜보면서 안타까워하기도 하고 억울해하기도 하고 고마워하기도 하면서 콜버그와 그의 동료들은 자신들의 이론에 대한 근원적인 재성찰을 시도하게 되는 것이다.
그들의 재성찰은 우선 콜버그 이론의 근원적인 성격에 대한 모호성에 주목한다. 예컨대 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에서 도덕성의 개념을 철학적 사변의 성격으로 규정하는가 아니면 심리학적 경험의 대상으로 성격지우는가 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이 점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하는 논쟁이 그만큼 많았고 심각했기 때문에 그런 것 같다. 이렇게 콜버그의 이론을 에워싼 심각한 논쟁점의 근원을 하나 씩 하나 씩 이 책은 풀어나간다.
이 책의 저자는 콜버그 혼자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그 간에
추천자료
피아제와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에 대한 의견
하인츠의 딜레마에 대한 콜버그의 도덕 추론 단계
콜버그의 도덕성발달이론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의 한계
배려윤리와 배려교육 (콜버그 도덕성 발달 단계)
교육심리학4 공통)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과 콜버그의 도덕성발달 이론 및 교육적 시사점
[교육심리학/4학년 공통] 가드너 중다지능이론,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
[기독교基督敎교육심리] 콜버그의 도덕발달 이론 6단계에 대한 이해
피아제와 콜버그의 도덕 발달 단계이론을 설명하고 비교하시오
2017년 2학기 인간과교육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인간관의 특징,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