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장애(Developmental Disabilities)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발달장애(Developmental Disabilities)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발 달 장 애

※ 자폐증 진단 기준
1. 우리나라 장애인판정기준
2. DSM-Ⅳ 자폐증 진단 기준

Ⅰ. 자폐증

Ⅱ. 발달장애 - 아스퍼거 장애( 또 하나의 자폐증)

Ⅲ. 발달장애 - 레트 장애(Rett's Disorder)

Ⅳ. 발달장애- 소아기 붕괴성 장애

Ⅴ. 발달장애아동이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

본문내용

로 구체화한다.
2) 자폐아의 언어문제
(1) 자폐아 언어 치료교육 프로그램
① 단계적 발성 - 강화에 의한 언어 획득
가. 표적 행동
아동이 무발어이며 잡음 발성만 생성한다.
② 프로그램 목표 및 계획준비
목표 : 무발어 잡음발성을 “아”소리 발성이 가능한 정도로 변별자극을 준다.
계획 및 준비
가. 듣기 변별 - 발성 훈련에서 시작한다.
나. 발성 훈련은 소리 변별 가능성에 특히 주의를 기울인다.
다. 소리 변별 기능 획득은 순서적 단계를 따른다.
③ 적용할 특정 방법
단계적 발성 모방 - 강화 기법
④ 적용 절차
▶ 단계 1.
아동이 발화한 어떤 발성도 강화한다.
▶ 단계2
치료교사가 발성한 후 5초안에 일어난 아동의 발성을 강화한다. 예를 들어 치료자가 “아”하고 발성한 후 5초이내에 아동이 어떤 소리를 낼 때 강화를 제공한다.
▶ 단계 3.
회기가 진행되면서 치료교사의 발성에 더 가까운 소리만 강화한다. 10번 중 8번 치료교사의 발성을 정확하게 따를 때 4단계로 전이한다.
▶ 단계 4.
가. 새로운 소리는 단계 3과 같은 절차를 통해서 획득한다.
나. 아동에게 두 가지 소리를 변별하는 것을 가르치기 위해 새로운 소리를 제시하는 곳곳에 처음 제시한 소리를 섞어서 제시한다.
다. 아동의 모방 목록을 확장시키기 위해 더 많은 소리와 단어, 구가첨가된 다.
라. 모방 목록이 획득되면, 치료교사의 발화 음성에 수반하여 사물을 제시해 준다.
마. 적절한 관련문(예 : 공)이 제시되었을 때 아동이 “공”이라고 말하는 것을 강화하여 음성적 자극의 실제 의미를 가르친다.
(2) 자폐아의 반향어 개선
① 표적 행동
아동이 의미없는 반향어를 반복한다.
② 프로그램 목표 및 계획준비
목표 : 아동의 부적절한 반향어를 줄이고, 적절한 발성 행동의 빈도를 늘이기 위해 자극을 준다.
계획 및 준비:
가. 아동의 반향어를 기능 분석한다.
나. 적절하거나 부적절한 발성의 차이를 변별하도록 아동반응에 선택적으로 강 화한다.
다. 언어자극 제시에 따른 환경을 최대한 구조화한다.
③ 적용할 특정 방법
언어환경 구조화의 촉구용암 기법
④ 적용 절차
가. 교사가 아동에게 사물의 그림(예: 자동차)을 제시한다.
나. 제시된 그림을 가리키며, 교사가 “저것은 자동차이다.”라고 말한다.
다. 아동이 “저것은 자동차이다.”라고 말할 때까지 기다린다.
라. 점차 훈련회기가 늘어나 아동의 시각적 변별이 가능할 때, 교사는 “저것은 자동차이다.”라는 언어적 촉구를 점차 줄인다.
마. 교사는 자동차 그림을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저것은 자동차”에서 “저것은” 의 언어환경으로 촉구를 소거해나간다.
⑤ 확장 응용(선대답-후질문 기법)
가. 교사가 그림을 보여준다.(예: 사람이 앉아 있는 그림)
나. 교사는 손으로 가리키며, “앉아 있다. 이 사람은 뭐하지?”라고 말한다.
다. 아동이 “앉아 있다. 이 사람은 뭐하지?”라고 반향하면 교사는 이어서 “앉아 있다.”라고 말해준 후 즉각 강화한다.
(3) 자폐아의 자발어 생성 및 증가
① 표적 행동
발성 가능한 아동이 자발어를 생성하지 못한다.
② 프로그램 목적 및 계획준비
목적 : 아동의 발성기능을 자발어 생성 기능으로 전환하기 위해 촉구자극을 준다.
계획 및 준비:
가. 프로그램 실시 전 강화물의 선호도를 조사한다.
나. 아동의 주의 집중 시간을 탐색한다.
다. 가능한 한 촉구장면을 일반화 장면에서 선택한다.
라. 지연 시간은 점진적으로 늘여 나간다.
③ 적용할 특정 방법
시간 지연-강화 기법
④ 적용 절차
가. 교사는 아동이 선호하는 자극물(예 : 쌀과자)을 제시한다.
나. 아동이 자극물을 주시했을 때 “과자 주세요.”라고 모방하게 한다.
다. 모방이 가능하면 자극물인 과자를 강화물로 제공한다.
라. 연속 3회기 이상 정확한 모방이 이루어지면 과자를 제시한 후 한번에 2초씩 지연시킨 뒤 아동이 모방할 언어를 말해준다.
마. 절차 ④에 따라서, 아동의 요구 언어가 교사의 시범촉구 언어 이전에 정확하게 이루어지면 즉시 강화한다.
바. 지연 시간은 2초씩 증가하여 10초까지 계획하고, 시간 지연 순서에 따라 일반화 정도를 점검한다.
사. 일정한 자극물에 대한 요구가 자발적 언어로 연속 3회이상 가능할 때 다른 장면과 상황으로 전이해 나간다.
⑤ 확장 응용(단서 장면의 자발어 촉구 기법)
가. 교사는 운동장에서 아동 앞에 먼저 여러개의 공을 놓아준다.
나. 아동이 공을 바라보았을 때, “운동장 공 차자.”라고 말하며 운동장 장면과 공차기를 동시에 연계 시켜준다.
다. 아동이 교사가 하는 행동과 말을 모방했을 때 교사는 아동을 껴안아 주며 “잘했어, 사랑해”라고 말해 줌으로써 껴안는 신체적 활동장면에 따른 “사랑해”라는 감정 표현을 가르친다.
(4) 자폐 영유아의 의사소통 기초기능의 향상
① 표적 행동
손가락으로 가리키기, 몸짓 등의 기초적 언어기능이 불가능하다.
② 프로그램 목적 및 계획준비
목적 : 자신이 원하는 것을 몸짓과 발성언어로 표현한다.
계획 및 준비 :
가. 1 : 1 대응 학습이 가능하도록 환경을 구조화 한다.
나. 프로그램 주안점을 기능적 의사소통에 둔다.
③ 적용할 특정 방법
사물 주고 받기 기능에 의한 의사소통 촉구
④ 적용 절차
▶ 단계 1.
가. 음료수를 마시고자 할 경우, 반드시 컵을 교사(어머니)에게 건네주도록 과제 학습한다.
나. 어떤 놀이를 하고 싶을 경우, 그 놀이에 관련된 인형 혹은 퍼즐 등을 교사에게 건네 주었을 때 허락한다.
▶ 단계 2.
가. 가지고 놀고 싶은 사물의 이름을 표현하도록 과제 학습한다.
나. 부적절한 행동은 무시하고, 적절한 언어 반응은 사회적 강화 혹은 음식물 등의 1차 강화물을 사용하여 강화해 준다.
▶ 단계3
가. 아동이 자신의 행동에 따른 결과적 기능이 있음을 인식하도록 해준다. 예를 들면, 적절한 행동에는 한결같이 보상하고, 부적절한 행동은 언제나 같은 방법으로 무시한다.
나. 아동이 좋아하는 활동을 통하여 대소운동 기능 모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 장난감에 따른 목적 행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라. 놀이의 순서가 시작 행동과 과제 행동, 끝마무리 행동으로 구분되도록 보여준다. 예를 들면, 퍼즐을 바닥에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47페이지
  • 등록일2005.04.18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34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