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전반적 발달장애아동의 관찰보고서
1. 일반적인 정보
2. 배경정보 및 행동관찰
1) 배경정보
2) 행동관찰
3. 치료목표
1) 수용언어
2) 표현언어
4. 관찰 내용
Ⅲ. 염색체이상발달장애아동의 관찰보고서
1. 배경정보 및 행동관찰
1) 배경정보
2) 행동 관찰
2. 치료목표
3. 치료활동
Ⅳ. 정서장애아동의 관찰보고서
1. 배경 정보 및 행동 관찰
1) 배경 정보
2) 행동 관찰
2. 치료목표
1) 표현
2) 기능
3) 수용․인지
4) 모방
3. 관찰 내용
Ⅴ. 언어장애아동의 관찰보고서
Ⅵ. 언어지체아동의 관찰보고서
1. 환자의 특징
2. 주목표
1) 수용언어
2) 표현언어
3. 관찰내용
Ⅶ. VPI(연인두폐쇄부전)아동의 관찰보고서
1. 배경정보
2. 행동관찰
3. 치료목표
4. 관찰 내용
Ⅱ. 전반적 발달장애아동의 관찰보고서
1. 일반적인 정보
2. 배경정보 및 행동관찰
1) 배경정보
2) 행동관찰
3. 치료목표
1) 수용언어
2) 표현언어
4. 관찰 내용
Ⅲ. 염색체이상발달장애아동의 관찰보고서
1. 배경정보 및 행동관찰
1) 배경정보
2) 행동 관찰
2. 치료목표
3. 치료활동
Ⅳ. 정서장애아동의 관찰보고서
1. 배경 정보 및 행동 관찰
1) 배경 정보
2) 행동 관찰
2. 치료목표
1) 표현
2) 기능
3) 수용․인지
4) 모방
3. 관찰 내용
Ⅴ. 언어장애아동의 관찰보고서
Ⅵ. 언어지체아동의 관찰보고서
1. 환자의 특징
2. 주목표
1) 수용언어
2) 표현언어
3. 관찰내용
Ⅶ. VPI(연인두폐쇄부전)아동의 관찰보고서
1. 배경정보
2. 행동관찰
3. 치료목표
4. 관찰 내용
본문내용
정반응 하였다. 치료사는 아동에게 “와, OO이 잘했어.”라고 사회적 강화를 제공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연필, 가방, 필통, 의자를 4회 중 2회 정반응 하였다.
치료사는 아동에게 “OO이, 오늘 잘했어.”라고 사회적 강화를 준 다음, 본 세션을 마쳤다.
Ⅶ. VPI(연인두폐쇄부전)아동의 관찰보고서
아동명 : 0 0 0 (女)
장애유형 : VPI
생년월일 : 19OO년 O월 OO일(4세 5개월)
비성도 : 14.8%(나조메타검사 아기문장)
1. 배경정보
어머니의 보고에 의하면 아동은 외동으로 정상분만으로 출산하였다고 한다. 아동은 출산 시의 체중 및 건강 상태 모두 양호한 편이었다고 한다. 아동의 초어는 “엄마, 맘마”로 생후 8개월경에 나타났으며, 섭식에 어려움이 없고 성장하는 동안 큰 질병이 없이 건강한 편이라고 한다. 아동은 복지관에서 지난 5개월 동안 언어치료를 받았고 언어치료를 받기 위해 어린이집을 다니다가 그만둔 상태이다. 구개파열이 의심되어 치과에서 의뢰되었으나 별다른 이상을 발견하지는 못했다고 한다. 아동이 /ㄱ, ㅋ, ㄲ, ㅉ, ㅊ/ 발음이 명료하지 못하고 불기가 어렵고 코로 바람이 많이 나온다고 어머니는 하였다. 아동은 대구대학교 언어치료실에 다니고 있다.
2. 행동관찰
치료사의 행동관찰에 의하면, 아동은 또래 아동에 비해 주의집중이 길고 신변처리가 가능하고 문자를 알고 읽기, 쓰기, 이해가 가능하다. 아동은 ‘기수-서수’의 개념을 알고 사용할 수 있고 그림 그리기, 동요 부르기를 좋아한다. 아동은 칭찬과 벌을 알며 자신의 발음의 문제를 알고 회피하려는 행동을 보이나 발음의 오류를 지적해 주면 수정해서 바르게 발음하려는 노력을 한다. 아동은 사교성이 뛰어나며 아동은 자신의 경험과 상황을 예견해서 이야기할 수 있고 “왜?, 어떻게?”라는 물음에 대답할 수 있다. 아동은 위, 아래, 옆, 앞, 뒤의 전치사를 알고 말할 수 있으나 좌우에 대한 이해와 사용을 어려워한다. 발뒤꿈치, 손목, 새끼손가락, 엄지손가락 등 신체 세부 부위를 알고 가위, 바위, 보 놀이의 규칙을 안다. 아동은 5어문 이상의 구문구조로 자발발화 할 수 있고 덧셈 뺄셈의 원리를 알고 치료사의 질문에 손가락을 세어 대답할 수 있다.
3. 치료목표
아동은 치료사가 제시하는 상황에서 과대비음 없이 문장수준에서 양순 파열음(/ㅍ/)을 말할 수 있다.
4. 관찰 내용
치료사는 아동과 함께 치료실에 입실하였다. 치료사가 “인사할까요?”라고 말하자 아동이 “안녕하세요.”라고 인사하였다. 치료사가 아동에게 문장카드를 제시하였다. 치료사가 입 앞에 손바닥을 펴고 “피자는”이라고 말하자 아동도 행동 모방하였다. 치료사가 아동에게 문장카드를 제시하자 아동은 “피자는 오이 피클하고 같이 먹어요.”라고 읽었다. 치료사는 아동의 발화를 language master로 녹음시켜서 아동이 직접 과대 비성을 나타낸 부분을 찾도록 지시하였다. 아동은 녹음된 음성을 듣고 “피클이 못했어요.”라고 말하였다. 치료사가 아동에게 통에 든 문장 카드중 하나를 고르도록 제시하자, 아동은 문장 카드를 꺼내서 “푸우가 파란 하늘을 보아요.”라고 읽었다. 치료사는 “잘하네!”라고 말하며 사회적 강화를 주었다. 치료사는 아동에게 한번 더 읽어보도록 지시하였고 아동 발화를 녹음하여 모두 정상발음 되었는지 아동과 함께 확인하였다. 치료사가 “푸우”라고 말하자 아동도 모방 발화하였다. 치료사는 아동이 구강으로 기류를 보내면서 읽도록 연속 3회 반복 실시하였다. 치료사가 아동에게 같은 문장을 다시 읽어보도록 지시하였고 아동은 정조음 하였다. 치료사가 “잘하네. 100점!”이라며 사회적 강화를 주었으며 스티커를 두 장 주자, 아동이 주사위에 스티커를 붙였다. 치료사가 문장카드를 제시하였고, 아동은 “파파파 파파파 나팔을 불어요.”라고 정조음 하였다. 같은 문장은 3회 읽도록 지시하였고 마지막에는 녹음시켜서 아동에게 다시 들려주었다. 아동은 “‘파’ 잘못했어요.”라고 말하였다. 치료사는 입을 크게 벌리고 “파! 파! 파!”라고 또박또박 읽어주자 아동도 행동 모방하였다. 치료사가 팔과 발을 가리키며 “팔, 발”이라고 말하자 아동도 모방 발화하였다. 치료사는 “팔, 발, 팔”이라고 말하다가 “나팔”이라고 말해주었고 아동은 정상발음 하였다. 치료사는 위와 같은 방법으로 문장카드(철퍼덕 파도가 쳐요. 비 오는 날 풍선을 들고 폴짝 폴짝 뛰어요.)를 읽도록 지시하였고 아동의 발화를 녹음하여 아동과 함께 오조음 한 부분을 살폈다. 치료사는 아동에게 유리관 속에 들어있는 공을 바구니 속에 넣도록 불게 하였고 아동은 정반응 하였다. 위와 같은 훈련은 총 3회 실시하였으며 아동에게 활동이 끝난 뒤에 스티커를 주며 강화를 주었다. 치료사는 아동이 문장카드를 읽기 전에 “화이팅!”이라고 사회적 강화를 주었다. 치료사가 아동에게 문장카드를 제시하며 “잘하면 3번하고 못하면 5번 하는 거야.”라고 말하였다. 치료사는 아동에게 문장카드를 보고 읽도록 지시하였고 아동의 발화를 녹음해서 아동이 직접 과대 비성을 나타낸 부분을 찾도록 지시하였다. 아동은 ‘철퍼덕 철퍼덕 파도가 쳐요’와‘풍선 들고서 폴짝폴짝 뛰어요.’의 문장은 5회 반복하여 읽었으며, ‘파파파 나팔을 불어요.’와‘푸우가 하늘을 보아요.’의 문장카드는 3회 반복하여 읽었다. 치료사는 아동이 문장카드를 정상발음 하였을 경우에는 “잘했어.”하고 사회적 강화와 함께 스티커를 주었고, 과대 비성을 나타냈을 경우에는 반복해서 문장을 다시 읽도록 지시하였다.
치료사가 아동에게 주황색 풍선을 제시하였다. 치료사가 풍선을 불자, 아동도 행동 모방하였으나 풍선을 잘 불지 못하는 오반응을 보였다. 치료사가 아동에게 “숨쉬기 운동하자.”라고 말하였다. 치료사가 두 팔을 벌리고 심호흡을 하자, 아동도 행동모방 하였다. 치료사가 “아~”하고 연장발성을 하였고 아동도 행동 모방하였다. 치료사와 아동은 함께 “하~”라고 연장발성 하였다. 치료사가 “누가 더 잘하는지 보자!”라고 말한 뒤, 치료사와 아동은 함께 “아~”연장 발성을 하였다. 치료사와 아동은 함께 “하~”를 14초 연장 발성하였다.
치료사와 아동은 함께 치료실을 퇴실하였다.
치료사는 아동에게 “OO이, 오늘 잘했어.”라고 사회적 강화를 준 다음, 본 세션을 마쳤다.
Ⅶ. VPI(연인두폐쇄부전)아동의 관찰보고서
아동명 : 0 0 0 (女)
장애유형 : VPI
생년월일 : 19OO년 O월 OO일(4세 5개월)
비성도 : 14.8%(나조메타검사 아기문장)
1. 배경정보
어머니의 보고에 의하면 아동은 외동으로 정상분만으로 출산하였다고 한다. 아동은 출산 시의 체중 및 건강 상태 모두 양호한 편이었다고 한다. 아동의 초어는 “엄마, 맘마”로 생후 8개월경에 나타났으며, 섭식에 어려움이 없고 성장하는 동안 큰 질병이 없이 건강한 편이라고 한다. 아동은 복지관에서 지난 5개월 동안 언어치료를 받았고 언어치료를 받기 위해 어린이집을 다니다가 그만둔 상태이다. 구개파열이 의심되어 치과에서 의뢰되었으나 별다른 이상을 발견하지는 못했다고 한다. 아동이 /ㄱ, ㅋ, ㄲ, ㅉ, ㅊ/ 발음이 명료하지 못하고 불기가 어렵고 코로 바람이 많이 나온다고 어머니는 하였다. 아동은 대구대학교 언어치료실에 다니고 있다.
2. 행동관찰
치료사의 행동관찰에 의하면, 아동은 또래 아동에 비해 주의집중이 길고 신변처리가 가능하고 문자를 알고 읽기, 쓰기, 이해가 가능하다. 아동은 ‘기수-서수’의 개념을 알고 사용할 수 있고 그림 그리기, 동요 부르기를 좋아한다. 아동은 칭찬과 벌을 알며 자신의 발음의 문제를 알고 회피하려는 행동을 보이나 발음의 오류를 지적해 주면 수정해서 바르게 발음하려는 노력을 한다. 아동은 사교성이 뛰어나며 아동은 자신의 경험과 상황을 예견해서 이야기할 수 있고 “왜?, 어떻게?”라는 물음에 대답할 수 있다. 아동은 위, 아래, 옆, 앞, 뒤의 전치사를 알고 말할 수 있으나 좌우에 대한 이해와 사용을 어려워한다. 발뒤꿈치, 손목, 새끼손가락, 엄지손가락 등 신체 세부 부위를 알고 가위, 바위, 보 놀이의 규칙을 안다. 아동은 5어문 이상의 구문구조로 자발발화 할 수 있고 덧셈 뺄셈의 원리를 알고 치료사의 질문에 손가락을 세어 대답할 수 있다.
3. 치료목표
아동은 치료사가 제시하는 상황에서 과대비음 없이 문장수준에서 양순 파열음(/ㅍ/)을 말할 수 있다.
4. 관찰 내용
치료사는 아동과 함께 치료실에 입실하였다. 치료사가 “인사할까요?”라고 말하자 아동이 “안녕하세요.”라고 인사하였다. 치료사가 아동에게 문장카드를 제시하였다. 치료사가 입 앞에 손바닥을 펴고 “피자는”이라고 말하자 아동도 행동 모방하였다. 치료사가 아동에게 문장카드를 제시하자 아동은 “피자는 오이 피클하고 같이 먹어요.”라고 읽었다. 치료사는 아동의 발화를 language master로 녹음시켜서 아동이 직접 과대 비성을 나타낸 부분을 찾도록 지시하였다. 아동은 녹음된 음성을 듣고 “피클이 못했어요.”라고 말하였다. 치료사가 아동에게 통에 든 문장 카드중 하나를 고르도록 제시하자, 아동은 문장 카드를 꺼내서 “푸우가 파란 하늘을 보아요.”라고 읽었다. 치료사는 “잘하네!”라고 말하며 사회적 강화를 주었다. 치료사는 아동에게 한번 더 읽어보도록 지시하였고 아동 발화를 녹음하여 모두 정상발음 되었는지 아동과 함께 확인하였다. 치료사가 “푸우”라고 말하자 아동도 모방 발화하였다. 치료사는 아동이 구강으로 기류를 보내면서 읽도록 연속 3회 반복 실시하였다. 치료사가 아동에게 같은 문장을 다시 읽어보도록 지시하였고 아동은 정조음 하였다. 치료사가 “잘하네. 100점!”이라며 사회적 강화를 주었으며 스티커를 두 장 주자, 아동이 주사위에 스티커를 붙였다. 치료사가 문장카드를 제시하였고, 아동은 “파파파 파파파 나팔을 불어요.”라고 정조음 하였다. 같은 문장은 3회 읽도록 지시하였고 마지막에는 녹음시켜서 아동에게 다시 들려주었다. 아동은 “‘파’ 잘못했어요.”라고 말하였다. 치료사는 입을 크게 벌리고 “파! 파! 파!”라고 또박또박 읽어주자 아동도 행동 모방하였다. 치료사가 팔과 발을 가리키며 “팔, 발”이라고 말하자 아동도 모방 발화하였다. 치료사는 “팔, 발, 팔”이라고 말하다가 “나팔”이라고 말해주었고 아동은 정상발음 하였다. 치료사는 위와 같은 방법으로 문장카드(철퍼덕 파도가 쳐요. 비 오는 날 풍선을 들고 폴짝 폴짝 뛰어요.)를 읽도록 지시하였고 아동의 발화를 녹음하여 아동과 함께 오조음 한 부분을 살폈다. 치료사는 아동에게 유리관 속에 들어있는 공을 바구니 속에 넣도록 불게 하였고 아동은 정반응 하였다. 위와 같은 훈련은 총 3회 실시하였으며 아동에게 활동이 끝난 뒤에 스티커를 주며 강화를 주었다. 치료사는 아동이 문장카드를 읽기 전에 “화이팅!”이라고 사회적 강화를 주었다. 치료사가 아동에게 문장카드를 제시하며 “잘하면 3번하고 못하면 5번 하는 거야.”라고 말하였다. 치료사는 아동에게 문장카드를 보고 읽도록 지시하였고 아동의 발화를 녹음해서 아동이 직접 과대 비성을 나타낸 부분을 찾도록 지시하였다. 아동은 ‘철퍼덕 철퍼덕 파도가 쳐요’와‘풍선 들고서 폴짝폴짝 뛰어요.’의 문장은 5회 반복하여 읽었으며, ‘파파파 나팔을 불어요.’와‘푸우가 하늘을 보아요.’의 문장카드는 3회 반복하여 읽었다. 치료사는 아동이 문장카드를 정상발음 하였을 경우에는 “잘했어.”하고 사회적 강화와 함께 스티커를 주었고, 과대 비성을 나타냈을 경우에는 반복해서 문장을 다시 읽도록 지시하였다.
치료사가 아동에게 주황색 풍선을 제시하였다. 치료사가 풍선을 불자, 아동도 행동 모방하였으나 풍선을 잘 불지 못하는 오반응을 보였다. 치료사가 아동에게 “숨쉬기 운동하자.”라고 말하였다. 치료사가 두 팔을 벌리고 심호흡을 하자, 아동도 행동모방 하였다. 치료사가 “아~”하고 연장발성을 하였고 아동도 행동 모방하였다. 치료사와 아동은 함께 “하~”라고 연장발성 하였다. 치료사가 “누가 더 잘하는지 보자!”라고 말한 뒤, 치료사와 아동은 함께 “아~”연장 발성을 하였다. 치료사와 아동은 함께 “하~”를 14초 연장 발성하였다.
치료사와 아동은 함께 치료실을 퇴실하였다.
추천자료
장애아동에 관한 발표수업
[특수아교육 (A+완성)] 장애아동의 통합교육의 이론적 배경 및 저해요인과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
[특수아교육 (A+완성)] 장애아동 통합교육과정에서 교사들이 직면하는 문제점 및 대처방안 연구
[시각장애][시각장애인][시각장애아][시각장애아동][시각장애학생][시각장애아교육]시각장애...
[학습장애][학습장애아][학습장애아동][학습장애아교육][학습장애아 치료]학습장애의 개념, ...
[학습장애][학습장애아][학습장애아동][학습장애아교육][학습장애 분류][학습장애 출현율][학...
[학습장애][학습장애아][학습장애아동][학습장애아교육]학습장애(학습장애아)의 분류, 특성, ...
[정신지체][지적장애][정신지체아][지적장애아][정신지체아동][지적장애아동]정신지체아의 특...
장애아동의 특성과 미술치료
[자폐아동] 자폐성 장애아동의 증후와 장애 정도간의 차이 분석
장애아동 가족 지원
[놀이치료]놀이치료의 역사, 놀이치료의 필요성, 놀이치료와 놀이, 놀이치료와 정신분석적 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