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르네상스, 문학을 꽃피우다.
2. 영화 속 ‘셰익스피어의 사랑’
3. Sonnets에 대하여
4. Sonnets, 71
5. Sonnets 87
6. Sonnets에 나타나는 사랑
7. 시조와 Sonnets 비교
8. 셰익스피어 작품 속의 언어
9. 셰익스피어 비평사
결론
본론
1. 르네상스, 문학을 꽃피우다.
2. 영화 속 ‘셰익스피어의 사랑’
3. Sonnets에 대하여
4. Sonnets, 71
5. Sonnets 87
6. Sonnets에 나타나는 사랑
7. 시조와 Sonnets 비교
8. 셰익스피어 작품 속의 언어
9. 셰익스피어 비평사
결론
본문내용
그대는 그대 자신의 가치를 몰랐거나,
혹은 나에게 실수로 주었으리라.
그대의 커다란 선물은 오해로 빚어졌기에,
더 좋은 판결을 내려 다시 돌아가리다.
Thus have I had thee, as a dream doth flatter,
In sleep a king, but waking no such matter.
그렇게 그대를 소유하여 꿈꾸듯 우쭐하여,
꿈속에서 황제요, 깨어나면 그렇지 아니하구나.
2) Sonnets, 87에 대한 설명
87연에서 시인은 자신이 젊은이를 잃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이 연에서는 사랑하는 연인과 작별하는 극정 상황을 느낄 수 있는데, 시인은 이별의 슬픔을 자신이 부족함을 인정하며 겸양으로 극복한다. 시인이 더 이상 다른 시인들의 경쟁 상대가 될 수 없다는 것을 암시함으로써 경쟁 시인들을 주제로 한 다른 연들의 연장으로 볼 수 있다.
첫 8행에서 시인은 부족한 자신에게는 애인이 과분하여 그의 갈 곳으로 보내야 한다고 생각한다. 1행의 “too dear\"는 86연 2행의 ”all-too-precious\"라는 표현과의 관련성이 엿보인다. 4행에서 “My bonds in thee\"는 젊은이와 시인의 인연을 뜻하는 말로, ”bonds\"는 법적인 구속관계를 의미한다. 법적 계약의 이미지는 1-3행에서 “possessing\", \"estimate\", \"character\", 그리고 ”releasing\"이라는 단어로써 강조된다. 8행에서 “내 특권이 되돌아간다”(my patent back again is swerving)는 말은 12행의 “다시 집으로 돌아간다”(comes home again)는 말과 일맥상통하는 의미로 볼 수 있다.
9-12행에서 시인은 자신이 누리던 과분한 행운이 실은 실수나 오해에 기인하였음을 토로한다. 11행의 젊은이의 큰 선물이 “실수로 생겼다”(upon misprision growing)는 말은 그가 시인을 높게 잘못 판단해다는 뜻이며, 12행의 “보다 나은 판단을 한다”(on better judgement making)는 표현과 대조를 이룬다. 여기까지 12행 중에서 10행이 -ing로 끝남으로써 여성적인 각운이 두드러짐을 알 수 있다.
마지막 두 행은 실수로 인한 행운을 꿈의 이미지와 결부시켜 표현하고 있다. 즉 꿈에서 욕망이 실현되는 것처럼 보이듯이, “시인이 젊은이를 소유했는데”(have I had thee), 여기서 \"had\"는 성적인 이미지를 함축하고 있다. 그리고 “In sleep\"은 꿈의 세계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 구절은 로미오(Romeo)의 대사 ”이 모든 것이 너무도 황홀하여 현실일 수 없는 꿈에 불과하다“(all this is but a dream, Too flattering-sweet to be substantial) (II. 2. 140-1)와 비교해 보면 흥미가 있다.
6. Sonnets에 나타나는 사랑
Young man에 대한 시인의 사랑은 이상적으로 표현된 반면, Dark lady에 대한 사랑은 현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 Young man과 Dark lady에 대한 시인의 사랑의 세계는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사랑이라는 한 형태 속에 내재되어 있는 양면성을 보여준다. 사랑에 대한 시인의 양면적 고찰은 인간성에 대한 관찰이며, 인생 자체를 수용하려는 모습으로 생각된다. 즉 두 가지의 사랑을 통하여 시인은 진솔하게 살아가고 사랑하는 방법을 배우고자 하는 것이다. 이 삶과 사랑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시인에게는 중요한 것이다. 셰익스피어의 Sonnets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자아 인식이 중요한 점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1) Young man에 대한 사랑, 포용의 너그러움
Young man에 대한 사랑은 이상적으로 표현된 반면, Dark lady에 대한 사랑은 현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Young man과의 사랑은 정신적인 것으로 시작되어 끝까지 이것을 지키려는 노력으로 이어진다. 시인은 배신행위를 하는 Young man을 탓하기 보다는 자신을 희생하는 모습을 갖게 된다.
시인은 배신행위를 하는 영맨을 나무라지 않고 자신을 희생하는 비이기적인 면을 보여준다. 특히 삼각관계에 있어서 시인은 영맨과의 우정을 위해 모든 것을 용서한다. 이와 같이 영맨의 모든 실수를 관대하게 포용할 수 있는 너그러움은 시인의 인간성의 깊이를 헤아리게 한다. 시인은 그와의 사랑에서 결코 자아를 내세우지 않고 자기를 완전히 잊어버린다. 시인의 이러한 자기희생은 영맨과의 사랑을 한층 더 견고하고 위대하게 만드는 요소로서 진정한 사랑이 가져야 할 태도인 것이다.
영맨과 시인의 관계는 많은 비평가들이 지적한 것처럼 동성연애적인 관계일 수 도 있으나 그보다는 시인의 정서적 실재 (emotional reality)를 보여주고 있다. 시인은 여성에 대한 사랑보다 남성에 대한 우정을 더 가치 있는 것으로 여기고 있고 시인이 사랑의 개념을 얘기할 때, 그것은 남성과의 우정이 불안한 여성과의 성적 번뇌보다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임을 점진적으로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시인은 랑의 범주에 있어 남녀를 구분하지 않기에 영맨에 대해 사랑이라고 부르는 것을 당연시한다.
시인은 정신적 사랑의 대상인 영맨을 미와 진리의 전형으로 여기고 있다. 그러한 표현이 과장을 통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표현 자체의 문자적 의미를 나타내기 위함이 아니라그러한 전형으로서의 모습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시인은 영맨의 미를 그 자체로서 보는 것이 아니, 이상적 미를 통해서 진리의 기원으로까지 내다보려는 것이다. 시인은 영맨의 미를 외적인 아름다움과 내적인 진실이 일치하는 완전한 실체로 믿기 때문이다. 어쨌든 영맨은 시인에게 없어서는 안 될 존재이다.
2) 현실을 직시하는 용감성
한편 시인은 결코 현실성을 회피하지 않는다. 그는 사실을 그대로 직시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용감성과 정직함을 가지고 있다. 시인은 영맨의 존재를 폭로함으로써 자기 주장을 한다 . 그것은 결코 환상에 의해 가리워지지 않는, 환상을 깨는 현실적인 사랑의 재건을 위해서이다. 진정한 사랑의 비전은 사랑의 밝은 면뿐만 아니라 , 어두운 면까지를 포함했을
혹은 나에게 실수로 주었으리라.
그대의 커다란 선물은 오해로 빚어졌기에,
더 좋은 판결을 내려 다시 돌아가리다.
Thus have I had thee, as a dream doth flatter,
In sleep a king, but waking no such matter.
그렇게 그대를 소유하여 꿈꾸듯 우쭐하여,
꿈속에서 황제요, 깨어나면 그렇지 아니하구나.
2) Sonnets, 87에 대한 설명
87연에서 시인은 자신이 젊은이를 잃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이 연에서는 사랑하는 연인과 작별하는 극정 상황을 느낄 수 있는데, 시인은 이별의 슬픔을 자신이 부족함을 인정하며 겸양으로 극복한다. 시인이 더 이상 다른 시인들의 경쟁 상대가 될 수 없다는 것을 암시함으로써 경쟁 시인들을 주제로 한 다른 연들의 연장으로 볼 수 있다.
첫 8행에서 시인은 부족한 자신에게는 애인이 과분하여 그의 갈 곳으로 보내야 한다고 생각한다. 1행의 “too dear\"는 86연 2행의 ”all-too-precious\"라는 표현과의 관련성이 엿보인다. 4행에서 “My bonds in thee\"는 젊은이와 시인의 인연을 뜻하는 말로, ”bonds\"는 법적인 구속관계를 의미한다. 법적 계약의 이미지는 1-3행에서 “possessing\", \"estimate\", \"character\", 그리고 ”releasing\"이라는 단어로써 강조된다. 8행에서 “내 특권이 되돌아간다”(my patent back again is swerving)는 말은 12행의 “다시 집으로 돌아간다”(comes home again)는 말과 일맥상통하는 의미로 볼 수 있다.
9-12행에서 시인은 자신이 누리던 과분한 행운이 실은 실수나 오해에 기인하였음을 토로한다. 11행의 젊은이의 큰 선물이 “실수로 생겼다”(upon misprision growing)는 말은 그가 시인을 높게 잘못 판단해다는 뜻이며, 12행의 “보다 나은 판단을 한다”(on better judgement making)는 표현과 대조를 이룬다. 여기까지 12행 중에서 10행이 -ing로 끝남으로써 여성적인 각운이 두드러짐을 알 수 있다.
마지막 두 행은 실수로 인한 행운을 꿈의 이미지와 결부시켜 표현하고 있다. 즉 꿈에서 욕망이 실현되는 것처럼 보이듯이, “시인이 젊은이를 소유했는데”(have I had thee), 여기서 \"had\"는 성적인 이미지를 함축하고 있다. 그리고 “In sleep\"은 꿈의 세계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 구절은 로미오(Romeo)의 대사 ”이 모든 것이 너무도 황홀하여 현실일 수 없는 꿈에 불과하다“(all this is but a dream, Too flattering-sweet to be substantial) (II. 2. 140-1)와 비교해 보면 흥미가 있다.
6. Sonnets에 나타나는 사랑
Young man에 대한 시인의 사랑은 이상적으로 표현된 반면, Dark lady에 대한 사랑은 현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 Young man과 Dark lady에 대한 시인의 사랑의 세계는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사랑이라는 한 형태 속에 내재되어 있는 양면성을 보여준다. 사랑에 대한 시인의 양면적 고찰은 인간성에 대한 관찰이며, 인생 자체를 수용하려는 모습으로 생각된다. 즉 두 가지의 사랑을 통하여 시인은 진솔하게 살아가고 사랑하는 방법을 배우고자 하는 것이다. 이 삶과 사랑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시인에게는 중요한 것이다. 셰익스피어의 Sonnets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자아 인식이 중요한 점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1) Young man에 대한 사랑, 포용의 너그러움
Young man에 대한 사랑은 이상적으로 표현된 반면, Dark lady에 대한 사랑은 현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Young man과의 사랑은 정신적인 것으로 시작되어 끝까지 이것을 지키려는 노력으로 이어진다. 시인은 배신행위를 하는 Young man을 탓하기 보다는 자신을 희생하는 모습을 갖게 된다.
시인은 배신행위를 하는 영맨을 나무라지 않고 자신을 희생하는 비이기적인 면을 보여준다. 특히 삼각관계에 있어서 시인은 영맨과의 우정을 위해 모든 것을 용서한다. 이와 같이 영맨의 모든 실수를 관대하게 포용할 수 있는 너그러움은 시인의 인간성의 깊이를 헤아리게 한다. 시인은 그와의 사랑에서 결코 자아를 내세우지 않고 자기를 완전히 잊어버린다. 시인의 이러한 자기희생은 영맨과의 사랑을 한층 더 견고하고 위대하게 만드는 요소로서 진정한 사랑이 가져야 할 태도인 것이다.
영맨과 시인의 관계는 많은 비평가들이 지적한 것처럼 동성연애적인 관계일 수 도 있으나 그보다는 시인의 정서적 실재 (emotional reality)를 보여주고 있다. 시인은 여성에 대한 사랑보다 남성에 대한 우정을 더 가치 있는 것으로 여기고 있고 시인이 사랑의 개념을 얘기할 때, 그것은 남성과의 우정이 불안한 여성과의 성적 번뇌보다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임을 점진적으로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시인은 랑의 범주에 있어 남녀를 구분하지 않기에 영맨에 대해 사랑이라고 부르는 것을 당연시한다.
시인은 정신적 사랑의 대상인 영맨을 미와 진리의 전형으로 여기고 있다. 그러한 표현이 과장을 통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표현 자체의 문자적 의미를 나타내기 위함이 아니라그러한 전형으로서의 모습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시인은 영맨의 미를 그 자체로서 보는 것이 아니, 이상적 미를 통해서 진리의 기원으로까지 내다보려는 것이다. 시인은 영맨의 미를 외적인 아름다움과 내적인 진실이 일치하는 완전한 실체로 믿기 때문이다. 어쨌든 영맨은 시인에게 없어서는 안 될 존재이다.
2) 현실을 직시하는 용감성
한편 시인은 결코 현실성을 회피하지 않는다. 그는 사실을 그대로 직시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용감성과 정직함을 가지고 있다. 시인은 영맨의 존재를 폭로함으로써 자기 주장을 한다 . 그것은 결코 환상에 의해 가리워지지 않는, 환상을 깨는 현실적인 사랑의 재건을 위해서이다. 진정한 사랑의 비전은 사랑의 밝은 면뿐만 아니라 , 어두운 면까지를 포함했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