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상태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간상태에 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중간 상태에 관한 성경의 견해
1. 죽음과 부활 사이에 있는 신자들에 관한 성경의 설명
2. 죽음과 부활 사이에 있는 악인들의 상태에 관한 성경의 묘사

Ⅲ. 역사적으로 본 중간 상태의 교리

Ⅳ. 죽음 뒤의 영혼의 거처에 관한 로마 교회의 교리
1. 연옥
2. 선조 림보(The Limbus Patrum)
3. 유아 림보(The Limbus Infantum)

Ⅴ. 죽은 후 영혼의 의식적 존재 상태
1. 성경의 가르침
2. 영혼 수면설(Psychopannychy)
3. 멸절설과 조건적 불멸설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것이다, 한편 조건적 불멸설에서는, 불멸성이 자연적인 영혼의 은사가 아니라 그리스도 안에서 믿는 자에게 주어지는 하나님의 은사라고 한다. 그리스도를 영접하지 않는 영혼은 궁극적으로 존재할 수 없게 되거나 모든 의식을 상실한다. 이런 교리들을 주장하는 어떤 이들은 미래에 악인은 제한된 시간 동안 고통을 받게 될 것이라고 가르침으로써 실제적인 형벌의 개념을 버리지 않는 사람도 있다. 따라서 그리스도 밖에 있어 구원을 얻지 못한 죄인들의 영혼은 사망과 멸망을 당하는데 죄인의 멸망이란 그 영혼이 존재를 그치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성기호, p. 423.
(2) 논증의 고찰.
이 교리는 변호하는 논증들은 결정적인 것이라고 할 수가 없다. 초대 교부들의 들은 정확하지도 않고 일관성이 있는 것도 아니어서, 다른 의미로도 해석될 수가 있다. 그리고 각 시대의 사변적 사상은 대체로 불멸성의 교리를 찬성하였지만, 과학은 이것을 반증하는 데 이것은 성공하지 못했다. 성경의 논증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① 하나님께서는 실로 본래적 불멸성을 소유하신 유일한 분이시다. 인간의 불멸성은 거기에서 도출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그가 창조된 존재이므로 불멸성을 소유하지 못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② 두 번째 논증에서는 영혼의 단순한 불멸성 혹은 존재의 계속성이 영생과 혼동되어 있지만, 영생이란 이보다 훨씬 더 풍부한 개념이다. 영생은 실로 예수 그리스도안에 있는 하나님의 은사로, 악인이 받을 수 없는 은사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악인들이 계속 존재하지 못한다는 의미는 아닌 것이다. ③ 마지막 논증은 “ 죽음” “파멸” “멸망”등 의 용어는 비존재로의 사라짐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자의적으로 주장한다. 이런 주장이 성립하는 것은 성립하는 것은 이들 용어를 지나치게 문자주의적으로 해석할 때뿐인데, 그것도 이 이론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인용하는 ‘몇몇’ 구절들에서만 그렇게 할 수 있는 것이다.
Ⅵ. 결론
지금까지 죽음과 부활 사이에 있는 신자들과 악인에 관한 성경의 설명과 묘사, 역사적으로 본 중간 상태의 교리, 영혼의 거처에 관한 로마 교회의 교리, 죽은 후 영혼의 의식적 존재 상태 등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중간 상태는 성경에서의 언급이 그리 많지 않을 뿐 아니라, 시간적으로 죽음 이후에 관련된 문제이므로 명확성과 확실성을 부여하는데 한계점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성경에 근거한 여러 가지 사항들을 고려해 볼 때, 죽음과 부활 사이에는 중간 상태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거기서 신자와 불신자들은 각기 하나님의 임재와 부재를 경험하게 된다. 비록 이러한 경험들이 최종상태의 경험보다는 그 강도에 있어서 심하지 않지만, 질적인 면에서 볼 때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경험들이다. 즉, 신자들은 죽음과 동시에 축복의 상태로 있게 될 장소로 가며, 불신자들은 고통과 형벌을 받을 비참한 장소로 가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님의 충만한 임재 속으로 들어갈 수 있기 위해서, 우리의 불완전한 것들을 제거할 사후의 정화 과정이 있을 것이라는 두려움을 가질 필요는 전혀 없는 것이다.
참고문헌
국내서적
1. 성기호, 「교회와 신학논쟁」, 서울: 성광문화사, 2000.
2. 이성주, 「조직신학」, 서울: 성광문화사, 2002.
번역서적
1. 벌코프 루이스, 권수경 역, 「조직신학」, 서울: 기독교문사, 1995.
2. 와일리 H.O, 칼벗슨 P.T 공저, 김용련 역, 「기독교신학개론」, 서울: 생명줄, 2003.
3. 에릭슨 밀라드 J, 김광열 역, 「에릭슨: 기독신학 시리즈7」,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8
4. 웨인 그루뎀, 노진준 역, 「조직신학(중)」, 서울: 도서출판 은성, 1996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5.04.21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39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