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지역별 방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 지역별 방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특징
3-2. 전북 방언
3-2-1. 음운적 특징
3-2-1. 문법적 특징
3-3. 어휘적 특징
3-4. 문학작품 속 방언 예시 조정래 \'태백산맥\', \'한강\', 최명희 \'혼불\'
2-4. 경상도 방언
4-1. 경남 방언
4-1-1. 음운적 특징
4-1-2. 문법적 특징
4-2. 경북 방언
4-2-1. 음운적 특징
4-2-2. 문법적 특징
2-5. 제주도 방언
5-1. 음운적 특징
5-2. 문법적 특징
5-3. 어휘적 특징
5-4. 문학작품 속 방언 예시 현기영 \'지상에 숟가락 하나\'
2-6. 북한의 방언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서론
국어 교육이 발달한 나라에도 곳에 따라 사투리가 없지 아니하다. 혹은 지리적 환경을 따라,혹은 정치세력의 변동을 좇아, 혹은 이웃 문화의 접촉으로 말미암아 방언의 발생과 존재는 자연의 리(理)이어니와, 또 사람으로서의 개성 발달의 특징이 아니라 할 수없다. 조선은 그리 크지 아니한 지역으로서, 방언이 상당히 다르고, 또 많은 셈이다. 가령 교육도 받지 못하고, 출입도 넓지 못한 두 다른 방언 지방 사람이 처음 만난다면, 통정이 잘 못될 것은 사실이다. 조선 말의 방언이 이렇게 복잡한 것도 위에 말한 여러 가지 원인이 있기 때문이다. 산국(山國)의 조선이라, 교통 불편도 그 한 원인이요, 이웃의 관계로는 정치싱이나 문화상으로 북으로 여진,달단,중국,노서아,남으로 일본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든가, 또 국내 이민 관계로는 고려 예종 때에 윤관의,이조 세종때에 김 종서의 북정으로 여진족을 함경도에서 만주로 물리치고,충남 조선인,특히 경상남도 사람들을 그 땅에 이민 시키어 직접 영향을 준 것이라든가. 이런것들이 모두 그 원인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조선말의 방언은 고금어를 비교한바 ,때때로 시간적으로 변천하여 생긴 것이 많다. 이로서 각 지역별로 방언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Ⅱ.본론
1. 방언 분포구역
사투리를 세별하여 말하기는 퍽 복잡할 뿐 아니라. 오랫동안 상세한 조사를 하지 않고는 불가능한 일이다. 그러므로 조선말을 오대 방언으로 대별하여 말하려 한다.
(1)관서 방언=평안도 사투리=고구려 방언
(2)호남 방언=전라도 사투리=백제 방언
(3)영남 방언=경상도 사투리=신라 방언
(4)관북 방언=함경도 사투리=옥저 방언
(5)중부 방언=경기도 사투리=혼성 방언
이 다섯 가지 사투리의 지리 역사적 관계를 말하자면, 관서 방언은 고구려 고지를 중심으로하였으니 평안 남북도와 황해도, 일부에 보급되었고, 호남 방언은 백제 옛 땅을 중심하였으니, 전라남북도와 충청남도에 보급되었고, 영남 방언은 신라 고지를 중심하였으니, 경상 남북도와 강원도 일부와 주문진 이남, 전라남도 해안 일대에 보급되었고, 관북 방언은 옥저 고지로서 여진족 주거지이었고 그후에 충남 조선의 식민지었던 함경 남북도에 보급되었고, 중부 방언은 고구려, 백제, 신라 세 나라의 교계지요, 또 고려초와 이조의 서울의 소재지로서 천년동안 정체의 중심지였던 경기도와 그 인접지인 충청북도, 강원도 일부 양양이북과 황해도 일부에 보급되었다.
2.각 방언의 특색
어느 곳의 사투리나 다 여러 가지 특색이 있다. 혹은 어휘가 다르고 혹은 어법이 다르며, 혹은 음운이 다르고, 혹은 어조가 다르다.
그러나 그 주아에서도 방언 구별은 어조로써 결정되는 것이다. 음운이나 어법이나 어휘는 한 방언안에서도 서로 다르고, 도 다른 방언과도 서로 같은 것이 많다.
1. 어조. 조선말의 어조를 서해안 평야 어조와 동해안 산악 어조로 크게 나눌 수있다. 평야 어조는 고저보다 장단을 중히 여겨 부드럽고 고운 것이 특색으로, 전라도, 경기도, 평안도 사투리들이 여기에 속한다. 그 각 사투리의 특색을 들면, 전라도 어조는 정서의 미감이 있고, 경기도 어조는 사교의 미감이 있고, 평안도 어조는 활발의 미감이 있다.
산악 어조는 장단보다 고저를 충히 여기는 것으로 억세고 뚝뚝한 것이 특색이다. 함경도와 경상도 사투리들이 여기에 속하는데 , 각 도 사투리의 특색을 들면, 함경도 어조는 강의 미감이 있고, 경상도 어조는 순진의 미감이 있다.
2. 음운. 지방에 따라 말의 소리가 다름은 퍽 복잡하다. 그러므로 중요한 몇 소리의 역사적 변천만을 방언의 실례로서 말하려 한다.
모음 「·」음가에 대한 여러 학설이 있으나 그것을 여기에 소개할 필요는 없고,다만 고서에 씌었던 그 소리가 여러 가지 모음으로 번하는 가운데 ㅏ 와 ㅗ 음으로 번한 것만 말하려 하낟. 대체로 전라 남도와 전라 북도일부와 경상 남도 대부분과 함경 북도 북부에서는 ㅗ 음으로 변하였고 그밖의 여러 지방에서는 ㅏ 음으로 변하였다. 예를 들면
전자 후자
폴 팔
포리 파리
몰 말
자음(△)음가는 영어의 Z과 비슷한 것인데, 이제「ㅇ」〔후음곧 아야 줄의 자음 자리에 있는 소리〕와 「ㅅ」의 두 소리로 변하였다.
대체로 보아서 중부와 고나서 지방에서는 o으로 변하엿고, 호남과 영남과 관북 지방에서는 ㅅ 으로 변하였다. 예를 들면, 가을을 가슬, 겨울을 겨슬, 구유를 구수, 가위를 가새 따위이다.
자음 「ㅂ」음가는 독어의 W음과 비슷한 것으로 이제「우」와「ㅂ」으로 변하였는데, 애체로 영남과 관북 지방에서는 「ㅂ」으로, 그밖의 지방에서는 「우」로 변하였다.
예를 들면,
덥다.더버서.더븐--덥다.더워서.더운
곱다.고바서.고븐--곱다.고와서.고운
맵다.매버서.매븐--맵다.매워서.매운
댜뎌줄과 탸텨줄이 관서지방에서만 단모음화 하였고 그밖의 지방에서는구개음화하였다.
예를 들면,
철자 관서지방 기타지방
뎡거장 덩거당 정거장
텬디 턴디 천지
련로 털로 철로
3. 어법, 이것도 각 지방에서 독툭하게 쓰이는 토가 많이 있으나, 이제 몇가지씩 예를 들고저 한다.
(1)관서 방언
ㄱ) 원망과 요구의 뜻을 나타내는 동사밑에 쓴느 존경 종결로 「라구요」하시라구요, 잡수시라구요, 오시라구요
ㄴ) 명사,형용사ㅡ 동사밑에 쓰이는 존경 의문토
「나요」사람이나요? 희나요?
검으나요? 먹나요?
ㄷ)명, 형, 동사의 각 품사밑에 쓰이는 평교, 혹은 아랫사람에게 쓰는 의문토
「슴마」(모음 아래에는「ㅁ마」)
〔동사〕 현재 과거 미래
감마, 갔슴마. 가겠슴마,
먹슴마, 먹었슴마, 먹겠슴마,
〔형용사〕
  • 가격3,000
  • 페이지수41페이지
  • 등록일2005.05.01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51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