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사시란 무엇인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사시란 무엇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시‘를 읽고
1. 서정주의 「질마재 신화」
2. 김지하의 「오적」
3. 신동엽의 「금강」
4. 이산화의 「한라산」
Ⅲ. ‘서사시‘란 무엇인가?
1. 이야기
2. 시간의 흐름
3. 개인이 아닌 집단의 노래
4. 역사적 사실·신화·전설이나 영웅 사적의 노래
Ⅳ. 나오며

본문내용

오를 수 없는 산’이었다.
‘이 땅은 아메리카의 한 주(州)/ 그들의 병영에서 짐승처럼/ 사육되어 왔던 수많은 날들/ 그 수많은 신음의 밤들을/ 누가 잊을 것인가? 누가 잊으라고 하는가!’라고 외친 이 시는 엄청난 충격과 파장을 몰고 왔다.
「한라산」은 서문과 총4장으로 되어있다. 제1장 ‘정복자’는 5편의 시로, 제2장 ‘폭풍전야’는 5편의 시, 제3장 ‘포문을 열다’는 4편의 시, 제4장 ‘불타는 섬’은 11편의 시로 구성되어 있다.
제주의 4ㆍ3사건을 다룬 시라는 것만으로도 나의 충분한 관심을 받은 시였다. 나만이 아니라 제주의 모든 사람, 아니 나아가서 모든 우리나라사람이라고 해야 될 것 같다. 「한라산」이라는 시를 통해 다시 한번 4ㆍ3의 고통을 느낄 수 있었고 그 잔인함에 몸서리 쳐졌다. 그리고 ‘미군은 즉각 철수하라! 이승만 매국도당을 타도하자! 조국통일 만세! 제주빨치산 만세!’를 외친 이산화의 용기에 절로 감탄사가 나왔다.
Ⅲ. ‘서사시‘란 무엇인가?
위의 네 시를 읽고 분석하며 ‘서사시’에 대해 고민해보았다. 그리고 몇 가지 공통점에 대해서 생각해 보고자 한다.
1. 이야기
서사시는 이야기 즉 인물과 사건, 배경, 줄거리가 있다. 처음 서사시를 대했을 때 ‘시’라고는 하지만 서술체의 문장에, 뚜렷한 인물과 사건과 배경이 있고 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함축적 단어 등의 사용을 볼 수 없어 적잖이 당황했었다. 시가 아니라 짧은 소설인 듯 했다. 하지만 시를 읽으며 나의 생각이 잘못되었음을 느꼈다. 시를 다 읽은 후의 나의 기분이란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물을 뒤집어 쓴 듯하였다. 그 몸서리 쳐지는 감동은 소설의 그것이 아니요, 한편의 시로 인한 것이었다. 뚜렷한 인물과 사건과 배경이 있음에 더욱 그랬으리라 생각이 든다. 그리고 함축적 단어의 사용이 없는 것이 아니라 모든 단어 하나하나가 깊은 뜻을 품고 있었다. 시「오적」에서 ‘오적’은 이 시에서 말하는 재벌, 국회의원, 고급공무원, 장성, 장차관만이 아닌 나라와 국민은 착취하여 그들의 향락만을 일삼고 있는 이 나라 특권지배계층들 모두를 말함일 테고, ‘꾀수’는 굶주리고 헐벗고 빵 한 개를 훔쳐 먹어야만 하루하루를 살아갈 수 있는 피지배층으로 대표될 것이다.
2. 시간의 흐름
서사시는 시간의 흐름대로 쓰여져 있다. 그냥 보통 시에서처럼 한때 잠깐의 장면이 아니고, 소설처럼 과거와 현재가 바뀌고 섞여지는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끝에 맺음까지 시간 순서대로 되어있다. 시간에 따라 나도 그 소설 속에서 그 흐름을 따라가는 듯한 느낌이었다. 그러한 흐름이 있기에 시의 내용 이해가 쉽고, 흐름의 높고 낮음에 따라갈 수 있었다.
3. 개인이 아닌 집단의 노래
물론 위의 시들은 개인이 쓰고 있는 시이지만 그것은 작가 개인만의 정서요 노래가 아니라 우리민족 모두의 정서이자 노래이다. 개인을 노래하는 시를 읽을 때에 우리는 그 시에 대해 이해하려 애쓰며 시의 화자의 입장에서 생각하며 시를 이해하고자 한다. 하지만 서사시는 한 개인의 노래가 아닌 우리의 노래이다. 시 그대로가 우리의 삶, 우리의 이야기, 우리의 역사, 우리의 아픔을 노래함으로 공감이 가고 애착이 간다. 그래서 이 시들을 대할 때 더욱 가슴이 아파오며 절실함을 느끼는 것이라 생각된다.
4. 역사적 사실·신화·전설이나 영웅 사적의 노래
서사시들은 역사적 사실이나 신화, 전설, 영웅을 노래한다고 볼 수 있다.
「질마재 신화」에서는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우리의 삶, 우리의 이야기(설화)를 노래하며, 「오적」은 일제 통치의 암흑기를,「금강」은 동학농민혁명을 ,「한라산」은 제주의 4ㆍ3사건이라는 역사적 사실에 대해 노래한다. 이러한 것들을 노래한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와 가깝다는 것을 말한다. 허구적으로 꾸며낸 것이 아니라 우리의 삶과 우리의 역사적 사실을 노래함으로써 더욱 친밀감을 느끼며 관심을 가지고 시를 대할 수 있다.
이러한 서사시의 특징들이 우리에게 서사시만의 의미를 전달해주며 또한 서사시만의 매력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Ⅳ. 나오며
‘서사시’라 하면 그냥 ‘긴 이야기체의 시, 그래서 따분한 시, 재미없는 시’라고만 생각됐었다. 하지만 이번 과제를 준비하면서 서사시가 주는 깊은 의미와 우리네의 삶에 대해 우리의 역사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그리고 서사시가 우리에게 주는 매력을 느낄 수 있었다. 아직은 많이 부족함을 느끼며 과제 중에 그냥 지나쳤던 다른 서사시들에 대해서도 좀 더 알아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5.03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55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