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로마의 서사시
Ⅲ. 로마의 주거
1. 로마시대의 단독주택(도무스)
2. 로마시대의 집합주택(인슐라)
Ⅳ. 로마의 건축
Ⅴ. 로마의 건축물 사례
1. 포르투나 비릴리스 신전, 로마 2세기말
2. 시빌신전, 티볼리, B.C 1세기초
3. 포르투나 프리미게니아의 성역, 프레네스테, B.C 2c
1) 개요
2) 건축적 형태
3) 건축적 의미
4. 로마 광장
5. 폼페이시
6. 폼페이 시의 로마시대 개인주거 건축
7. 로마시대의 아파트 주거건축
8. 갸르다리, 님므부근, 남부프랑스, B.C 1세기
9. 팀가드 시, 북아프리카, AD 100년경 건설
10. 투기장 및 콜로세움(Colosseum)
11. 바실리카 울피아(Basilica Ulpia), AD 112년경
1) 건축적 형태
2) 건축적 의미
12. 판테온(Pantheon), 로마, AD 118~125년
13. 칼라칼라 욕장, 로마, AD 212~216
1) 건축적 형태
2) 건축적 의미
14. 디오클에티아누스 황제 궁전, 스팔라토, AD 300~305
1) 건축적 형태
2) 건축적 의미
15. 막센티우스 황제 혹은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바실리카, 로마
Ⅵ. 로마의 멸망
참고문헌
Ⅱ. 로마의 서사시
Ⅲ. 로마의 주거
1. 로마시대의 단독주택(도무스)
2. 로마시대의 집합주택(인슐라)
Ⅳ. 로마의 건축
Ⅴ. 로마의 건축물 사례
1. 포르투나 비릴리스 신전, 로마 2세기말
2. 시빌신전, 티볼리, B.C 1세기초
3. 포르투나 프리미게니아의 성역, 프레네스테, B.C 2c
1) 개요
2) 건축적 형태
3) 건축적 의미
4. 로마 광장
5. 폼페이시
6. 폼페이 시의 로마시대 개인주거 건축
7. 로마시대의 아파트 주거건축
8. 갸르다리, 님므부근, 남부프랑스, B.C 1세기
9. 팀가드 시, 북아프리카, AD 100년경 건설
10. 투기장 및 콜로세움(Colosseum)
11. 바실리카 울피아(Basilica Ulpia), AD 112년경
1) 건축적 형태
2) 건축적 의미
12. 판테온(Pantheon), 로마, AD 118~125년
13. 칼라칼라 욕장, 로마, AD 212~216
1) 건축적 형태
2) 건축적 의미
14. 디오클에티아누스 황제 궁전, 스팔라토, AD 300~305
1) 건축적 형태
2) 건축적 의미
15. 막센티우스 황제 혹은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바실리카, 로마
Ⅵ. 로마의 멸망
참고문헌
본문내용
he Dunciad〉, 바이런의 〈돈 주안 Don Juan〉 같은 시에서 풍자적 목적을 위해 시시하고 한심하며 부적절한 문제를 이야기하는 테두리로 이용될 수도 있다. 헨리 필딩은 〈톰 존스 Tom Jones〉에서 서사시의 장엄함과 구조, 그리고 그런 웅장한 틀에 현재의 경험을 집어넣었을 때의 부조화를 이용해 익살스런 효과를 냈다. 반면에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스 Ulysses〉 같은 후기 소설들은 호메로스의 소재를 재생하여 서사시의 수준에 도달했다. 워즈워스의 자서전적 시 〈서곡 The Prelude〉은 서사시의 진지함을 갈망하며 샘솟는 시적 상상력을 묘사하기 위해 밀턴의 〈실락원〉에 나오는 무운시를 표현수단으로 이용한다. 베르길리우스가 2차 서사시를 널리 보급한 지 오래된 뒤에도 유럽에서 자국어로 영웅적인 경험을 기록한 1차 서사시는 끊이지 않고 나타났다. 스페인의 〈내 시드의 시 Poema de mio Cid〉는 11세기에 무어인과 싸운 전쟁영웅을 찬양하고 있다. 12세기 프랑스의 〈롤랑의 노래 Chanson de Roland〉는 8세기에 피레네 산맥에서 샤를마뉴 대제의 군대와 사라센인들 사이에 벌어졌던 전투를 기린 작품이다. 13세기 독일의 〈니벨룽겐의 노래 Nibelungenlied〉는 5세기에 부르군트족과 훈족 사이에 벌어졌던 전투에서 유래한 이야기를 노래하고 있다. 앵글로색슨족의 〈베어울프 Beowulf〉는 영웅적 공동체를 위협하는 늪지대의 괴물들과의 투쟁을 묘사하면서 6세기의 역사적 인물들과 사건을 언급했다. 그러나 이 작품들 속에 포함된 역사적 요소들은 이미 오래 전에 신화가 되었으며 오늘날 남아 있는 형태 속에는 다른 시대와 전설에서 끌어들인 다른 소재와 주제가 뒤섞여 있다. 1835년 처음 출판된 핀란드의 국민시 〈영웅들의 땅 Kalevala〉은 엘리아스 뢴로트가 구전되어 오는 고대의 짧은 담시들을 하나의 서술 구조로 통합하여 구성한 종합적인 1차 서사시이다.
20세기에 들어와 서사시는 낡은 시 형식으로 간주되었지만, 이 장르의 방대한 규모와 웅장함은 다른 형식의 작품들, 예를 들면 프랭크 노리스의 미완성 3부작 장편소설인 〈밀의 서사시 The Epic of the Wheat〉(1901~03)와 세르게이 아이젠슈타인의 영화 〈이반 뇌제 Ivan the Terrible〉(1944~46) 같은 작품에 이따금 나타난다. 옥스퍼드대학교의 문헌학자 J. R. R. 톨킨이 쓴 환상적인 3부작〈반지 대왕 The Lord of the Rings〉(1954~55)은 세상에서의 모험과 탐구를 서사시 형태로 서술하면서, 노르웨이의 전설적인 영웅 이야기와 앵글로색슨족의 시문학이 갖고 있는 독특한 맛과 형식을 반영했다. 한국의 서사시로는 이규보의 〈동명왕편〉을 제일 먼저 꼽는데, 이는 고구려 건국과 관련하여 해모수·동명왕·유리왕 3대의 이야기를 전3편으로 나누어 쓰고 지은이의 소감을 덧붙인 작품이다. 근대에 들어서는 1924년 발표된 김동환의 〈국경의 밤〉을 꼽는다. 근대시가 대체로 짧은 서정시였던 것과는 달리 이 작품은 일제시대를 배경으로 남녀의 사랑을 긴 서술체로 쓴 것인데, 이전의 서사시가 신이나 영웅의 이야기였던 것과는 달리 이 시의 내용은 민중들의 이야기이므로 엄격한 의미에서 서사시라 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이처럼 긴 서술체 시 일반을 서사시로 본다면, 일제시대 한 가족이 유이민이 되는 이야기를 그린 이용악의 〈낡은 집〉도 서사시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이러한 시를 \'이야기시\' 또는 \'장편 서사시\'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 1967년 발표된 신동엽의 〈금강〉은 전봉준·최수운·최해월·신하늬가 이끄는 민중들의 모습을 장중하게 그렸는데, 서화(序話)·본장(本章)·후화(後話)의 3부로 나뉘는 서사시의 기본형식을 따르고 있다. 근대와 현대로 들어서면서 서사시의 내용은 점차 신이나 영웅의 이야기에서 벗어나 민중들의 삶과 애환을 그리는 쪽으로 변해가고 있다
Ⅲ. 로마의 주거
1. 로마시대의 단독주택(도무스)
○ 아트리움이 있는 주택은 기원전 6세기부터 존재. (에트루리아→아트리움)
○ 콘크리트의 개발로 주택의 규모가 더욱 확대되었고 이후 헬레니즘 문화의 영향을 받으면서 아트리움의 중요성이 약화되고 페리스타일이 중요한 공간으로 등하였다. 결과적으로 주택내부에서 공적공간과 사적공간이 분리되게 되었다.
○ 도무스의 각 실은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었으며 그리스의 주택과 달리 방향성이 있었고 축적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그리스의 중정을 지닌 주택과 헬레니즘 주택의 융합된 형태인 도무스는 로마시대 상류계층 주택의 기본유형이 되었다.
○ 각 실의 명칭, 기능
- 베스티블룸 : 가로와 주택사이의 완충공간, 복도의 좌우에는 상점.
- 아트리움 : 식수 및 생활용수를 위한 수조, 좌우에 알레(대기실, 담화실)와 침실이 대칭 배치.
- 타블리눔 : 원래 주인의 침실이었으나 페리스타일이 생기면서 손님을 접견하거나 연회장소로 이용.
- 트리클리니움 : 손님접대용 식당으로 주로 타블리눔의 측면에 위치.
- 페리스타일 : 열주로 둘러싸인 내부중정.
- 오에쿠스 : 페리스타일에 면하며 사적영역 중 가장 큰 공간으로 가사실, 안주인용과 손님접대의 기능.
2. 로마시대의 집합주택(인슐라)
○ 제정로마 시대부터 각 도시에서 인구의 과밀화와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결국 집합주택이 등장하여 기원전 1세기부터 아래층에는 상점이 있고, 위층에는 주거공간이 있는 복합주택이 일반화되있다.
○ 기존의 도무스 주택들이 2층 이상으로 증축되고 증축된 공간은 다수의 가구가 거주할 수 있도록 분할 임대되면서 이러한 집합형식의 주택이 일반화되있다.
○ 인슐라의 규모는 매우 다양하였으며 규모에 따라 분류하면 첫째, 1층에 여러개의 상점이 있고 중정을 지니며 4,5층의 높이를 가진 대규모 건물과 둘째, 건물의 전면 폭이 6내지12미터인 5층이하의 높이를 가진 1층에 한두개의 상점과 계단실이 있는 건물과 셋째, 소규모의 상점과 그 상층부에 한 개 내지 세 개의 단위주택을 가진 건물이 있다.
○ 인슐라의 건축이 확산될 수 있었던 가장 큰 요인은 콘크리트 개발에 의한 축조법의 개발이었으며 당시 지가의 상승은 집합주택의 건
20세기에 들어와 서사시는 낡은 시 형식으로 간주되었지만, 이 장르의 방대한 규모와 웅장함은 다른 형식의 작품들, 예를 들면 프랭크 노리스의 미완성 3부작 장편소설인 〈밀의 서사시 The Epic of the Wheat〉(1901~03)와 세르게이 아이젠슈타인의 영화 〈이반 뇌제 Ivan the Terrible〉(1944~46) 같은 작품에 이따금 나타난다. 옥스퍼드대학교의 문헌학자 J. R. R. 톨킨이 쓴 환상적인 3부작〈반지 대왕 The Lord of the Rings〉(1954~55)은 세상에서의 모험과 탐구를 서사시 형태로 서술하면서, 노르웨이의 전설적인 영웅 이야기와 앵글로색슨족의 시문학이 갖고 있는 독특한 맛과 형식을 반영했다. 한국의 서사시로는 이규보의 〈동명왕편〉을 제일 먼저 꼽는데, 이는 고구려 건국과 관련하여 해모수·동명왕·유리왕 3대의 이야기를 전3편으로 나누어 쓰고 지은이의 소감을 덧붙인 작품이다. 근대에 들어서는 1924년 발표된 김동환의 〈국경의 밤〉을 꼽는다. 근대시가 대체로 짧은 서정시였던 것과는 달리 이 작품은 일제시대를 배경으로 남녀의 사랑을 긴 서술체로 쓴 것인데, 이전의 서사시가 신이나 영웅의 이야기였던 것과는 달리 이 시의 내용은 민중들의 이야기이므로 엄격한 의미에서 서사시라 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이처럼 긴 서술체 시 일반을 서사시로 본다면, 일제시대 한 가족이 유이민이 되는 이야기를 그린 이용악의 〈낡은 집〉도 서사시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이러한 시를 \'이야기시\' 또는 \'장편 서사시\'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 1967년 발표된 신동엽의 〈금강〉은 전봉준·최수운·최해월·신하늬가 이끄는 민중들의 모습을 장중하게 그렸는데, 서화(序話)·본장(本章)·후화(後話)의 3부로 나뉘는 서사시의 기본형식을 따르고 있다. 근대와 현대로 들어서면서 서사시의 내용은 점차 신이나 영웅의 이야기에서 벗어나 민중들의 삶과 애환을 그리는 쪽으로 변해가고 있다
Ⅲ. 로마의 주거
1. 로마시대의 단독주택(도무스)
○ 아트리움이 있는 주택은 기원전 6세기부터 존재. (에트루리아→아트리움)
○ 콘크리트의 개발로 주택의 규모가 더욱 확대되었고 이후 헬레니즘 문화의 영향을 받으면서 아트리움의 중요성이 약화되고 페리스타일이 중요한 공간으로 등하였다. 결과적으로 주택내부에서 공적공간과 사적공간이 분리되게 되었다.
○ 도무스의 각 실은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었으며 그리스의 주택과 달리 방향성이 있었고 축적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그리스의 중정을 지닌 주택과 헬레니즘 주택의 융합된 형태인 도무스는 로마시대 상류계층 주택의 기본유형이 되었다.
○ 각 실의 명칭, 기능
- 베스티블룸 : 가로와 주택사이의 완충공간, 복도의 좌우에는 상점.
- 아트리움 : 식수 및 생활용수를 위한 수조, 좌우에 알레(대기실, 담화실)와 침실이 대칭 배치.
- 타블리눔 : 원래 주인의 침실이었으나 페리스타일이 생기면서 손님을 접견하거나 연회장소로 이용.
- 트리클리니움 : 손님접대용 식당으로 주로 타블리눔의 측면에 위치.
- 페리스타일 : 열주로 둘러싸인 내부중정.
- 오에쿠스 : 페리스타일에 면하며 사적영역 중 가장 큰 공간으로 가사실, 안주인용과 손님접대의 기능.
2. 로마시대의 집합주택(인슐라)
○ 제정로마 시대부터 각 도시에서 인구의 과밀화와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결국 집합주택이 등장하여 기원전 1세기부터 아래층에는 상점이 있고, 위층에는 주거공간이 있는 복합주택이 일반화되있다.
○ 기존의 도무스 주택들이 2층 이상으로 증축되고 증축된 공간은 다수의 가구가 거주할 수 있도록 분할 임대되면서 이러한 집합형식의 주택이 일반화되있다.
○ 인슐라의 규모는 매우 다양하였으며 규모에 따라 분류하면 첫째, 1층에 여러개의 상점이 있고 중정을 지니며 4,5층의 높이를 가진 대규모 건물과 둘째, 건물의 전면 폭이 6내지12미터인 5층이하의 높이를 가진 1층에 한두개의 상점과 계단실이 있는 건물과 셋째, 소규모의 상점과 그 상층부에 한 개 내지 세 개의 단위주택을 가진 건물이 있다.
○ 인슐라의 건축이 확산될 수 있었던 가장 큰 요인은 콘크리트 개발에 의한 축조법의 개발이었으며 당시 지가의 상승은 집합주택의 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