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 문
1. 예배의 정의
2. 한국 교회의 예배와 예배요소의 불균형
3. 주제와 관련된 내용의 전개 방법
Ⅱ. 성만찬의 네 가지 기원에 대한 고찰
(유월절 만찬, 키두쉬(Kiddush) 만찬, 카부라(Chaburah) 만찬, 부활 후 만찬)
1. 네 기원의 내용
2. 네 기원의 유사점
3. 네 기원에 대한 반박(반대)과 답변
Ⅲ. 종합의견
1. 발표자 소견
2. 토의 주제
1. 예배의 정의
2. 한국 교회의 예배와 예배요소의 불균형
3. 주제와 관련된 내용의 전개 방법
Ⅱ. 성만찬의 네 가지 기원에 대한 고찰
(유월절 만찬, 키두쉬(Kiddush) 만찬, 카부라(Chaburah) 만찬, 부활 후 만찬)
1. 네 기원의 내용
2. 네 기원의 유사점
3. 네 기원에 대한 반박(반대)과 답변
Ⅲ. 종합의견
1. 발표자 소견
2. 토의 주제
본문내용
아니라 주님께 받은 규례이며 관습이다.
2) 카부라는 필요를 느낄 때마다 동반된 친구들에 의해 가진 하나의 종교적 규례로 행해진 유대인 식사였다. 이스라엘의 모든 식사는 '종교적 의식'을 가지고 있다. 이스라엘의 모든 종교적 만찬은 '교제'의 성격을 띠고 있다. 이 카부라 만찬은 원래부터 친교를 위하여 가진 만찬이었다. 그러므로 카부라 만찬은 최후의 만찬이 될 수 없다.(반박/Jeremias)
- 요한복음의 증거에 근거하면 최후의 만찬은 의미심장한 친교의 행위였으며, 제자들과의 새로운 관계를 상징하였다. 식사 중에 제자들의 발을 씻기시었다(요 13장). 이 행위는 주님과의 새로운 관계를 상징하며, 주님과의 교제는 두 가지 요소, 즉 주의 명령에 대한 순종과 주의 마음을 헤아리는 삶이 포함되어 있다. 이런 의미에서 주님과의 교제가 주님에 의해 시작된 것이고, 주님과의 계속적인 교제와 주님께 대한 계속적인 충성은 주님의 선물인 성령에 의하여 유지되었다.
(4) 부활 후 만찬 / 없음
Ⅲ. 종합의견
1. 발표자 소견
- 이 글을 정리하고 이제 소견을 쓰고자 하는데 전혀 생각이 나지 않는다. 나름대로 열심히 정리하기는 했지만, 무엇을 읽고 배웠는지 모르겠다. 각 기원에 대한 내용들이 근거가 다 있고, 주장이 바르기 때문에 어느 이론이나 다 옳다고 생각한다. 모두가 하나님의 말씀을 근거로 주장하려고 했으며, 각기 주장에는 그만한 비판과 평가와 연구의 결과였다.
-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내가 왜 이 배움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이번 학기에 기대하고 있는지를 다시 생각하고자 한다.
첫째, 하나님의 말씀이 전하는데 사용되는 것은 음성뿐만 아니라 시각과 청각과 미각과 후각과 촉각 등이 다 동원되는 것이다. 성만찬은 바로 이런 말씀을 전하는 통합적인 길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둘째, 오늘날 예배의 중심이 되어버린 설교에서 벗어나고 싶기 때문이다. 한 사람의 연구와 노력으로 얻어진 진리의 말씀을 단지 귀로만 듣는 성도의 자세가 하나님의 사람으로서 살아가는데 얼마나 그 영향이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다. 설교와 성만찬이 함께 예배의 중심이 될 때 보다 성도의 길을 명확하게 전하여 줄 것임을 확신한다.
셋째, 하나님의 구속 사역의 은혜가 정지된 것이 아니라 항상 우리와 함께 있음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다. 자주 성만찬을 체험하여 그 은혜의 의미를 생각나게 한다.
넷째, 교회의 일들이 한 사람 또는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몇 사람에 의하여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지 않기 위해서다. 예배와 각종 모임에서 앞장 서 있는 사람이 모든 일을 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교회의 현재가 사람으로 인한 것처럼 잘 못 보일 수 있다. 성만찬을 통해서 지체의식을 찾을 수 있게 한다.
2. 토의 주제
(1) 한국 교회의 예배가 설교 중심이 된 원인은 무엇인가?
(2) 지금 일반적으로 행하고 있는 성만찬의 의식 내용은 주의 만찬과 비교 할 때 어떤 면에 서 바르고, 그른가?
(3) 우리의 성만찬이 부활의 경축보다는 죽음의 기념으로 흐르는 현상은 무엇 때문인가?
- 끝 -
2) 카부라는 필요를 느낄 때마다 동반된 친구들에 의해 가진 하나의 종교적 규례로 행해진 유대인 식사였다. 이스라엘의 모든 식사는 '종교적 의식'을 가지고 있다. 이스라엘의 모든 종교적 만찬은 '교제'의 성격을 띠고 있다. 이 카부라 만찬은 원래부터 친교를 위하여 가진 만찬이었다. 그러므로 카부라 만찬은 최후의 만찬이 될 수 없다.(반박/Jeremias)
- 요한복음의 증거에 근거하면 최후의 만찬은 의미심장한 친교의 행위였으며, 제자들과의 새로운 관계를 상징하였다. 식사 중에 제자들의 발을 씻기시었다(요 13장). 이 행위는 주님과의 새로운 관계를 상징하며, 주님과의 교제는 두 가지 요소, 즉 주의 명령에 대한 순종과 주의 마음을 헤아리는 삶이 포함되어 있다. 이런 의미에서 주님과의 교제가 주님에 의해 시작된 것이고, 주님과의 계속적인 교제와 주님께 대한 계속적인 충성은 주님의 선물인 성령에 의하여 유지되었다.
(4) 부활 후 만찬 / 없음
Ⅲ. 종합의견
1. 발표자 소견
- 이 글을 정리하고 이제 소견을 쓰고자 하는데 전혀 생각이 나지 않는다. 나름대로 열심히 정리하기는 했지만, 무엇을 읽고 배웠는지 모르겠다. 각 기원에 대한 내용들이 근거가 다 있고, 주장이 바르기 때문에 어느 이론이나 다 옳다고 생각한다. 모두가 하나님의 말씀을 근거로 주장하려고 했으며, 각기 주장에는 그만한 비판과 평가와 연구의 결과였다.
-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내가 왜 이 배움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이번 학기에 기대하고 있는지를 다시 생각하고자 한다.
첫째, 하나님의 말씀이 전하는데 사용되는 것은 음성뿐만 아니라 시각과 청각과 미각과 후각과 촉각 등이 다 동원되는 것이다. 성만찬은 바로 이런 말씀을 전하는 통합적인 길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둘째, 오늘날 예배의 중심이 되어버린 설교에서 벗어나고 싶기 때문이다. 한 사람의 연구와 노력으로 얻어진 진리의 말씀을 단지 귀로만 듣는 성도의 자세가 하나님의 사람으로서 살아가는데 얼마나 그 영향이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다. 설교와 성만찬이 함께 예배의 중심이 될 때 보다 성도의 길을 명확하게 전하여 줄 것임을 확신한다.
셋째, 하나님의 구속 사역의 은혜가 정지된 것이 아니라 항상 우리와 함께 있음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다. 자주 성만찬을 체험하여 그 은혜의 의미를 생각나게 한다.
넷째, 교회의 일들이 한 사람 또는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몇 사람에 의하여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지 않기 위해서다. 예배와 각종 모임에서 앞장 서 있는 사람이 모든 일을 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교회의 현재가 사람으로 인한 것처럼 잘 못 보일 수 있다. 성만찬을 통해서 지체의식을 찾을 수 있게 한다.
2. 토의 주제
(1) 한국 교회의 예배가 설교 중심이 된 원인은 무엇인가?
(2) 지금 일반적으로 행하고 있는 성만찬의 의식 내용은 주의 만찬과 비교 할 때 어떤 면에 서 바르고, 그른가?
(3) 우리의 성만찬이 부활의 경축보다는 죽음의 기념으로 흐르는 현상은 무엇 때문인가?
- 끝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