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웃범죄예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1)이웃범죄예방
(2)이웃범죄예방 대책
(3)이웃범죄예방 효과

3.결론

본문내용

동에 대한 다양한 연구
① 초기 연구 경향
지역사회에 대한 인지도가 높을수록 구역 모임과 사회적 이벤트에 대한 참여도가 높다( 볼콤. 1981)
② 최근 연구 경향 ∨∨
ㄱ. 베넷(1990)은 런던 지역에 따른 사회적 결속의 증감 현상 발견
- 이웃프로그램이 지역사회 결속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ㄴ. 반-약물 프로그램(루리지오와 데이비스. 1992)의 연구
사회적 결속 증가
③ 종합 의견 : 과거 범죄예방프로그램은 대개 재산 범죄에 한정.
최근엔 약물문제 등 갱, 폭력, 대인 범죄 문제로 접근하여 시민 참여도 증가 추세
3. 범죄에 대한 효과 ( 범죄예방프로그램 평가 )
(1) 대상 범죄에 따른 효과의 차이 ( 지역사회 범죄 예방 기법 )
절도, 강도와 같은 재산 범죄의 경우 → 외지인에 의한 범죄는 감소
폭행 등 대인 범죄의 효과 → 주로 합법적 이용자들에 의해 이루 어지는 이 같은 범죄는 변동 없음
(2) 이웃 감시의 효과
감시를 보다 강하게 하는 지역은 대체적으로 범죄 감소
그린버그(1982)의 연구 : 신원 확인이 쉽고, 안정되어 있고, 주거 지역이 낮은 범죄율을 보이지만 감시의 강도는 범죄율이 높은 지 역이 더 크다.
감시의 강화 → 높은 신고율 → 공식적 범죄수준 증가 경향
- 즉, 범죄의 감소는 신고율의 증가 때문이지 감시의 실제 효과 의문
결국 범죄예방프로그램은 시민신고율의 변화, 공식적 범죄통계, 피해수준 모두 고려할 사항
(3) 범죄예방프로그램의 평가
① 공식적 범죄 통계 수준
ㄱ. 긍정적 효과
대부분의 이웃감시 프로그램이 긍정적 효과(특히 절도 등 재산범죄)
피기(1983)의 디트로이트 지역 연구 :
침입절도 58%, 소매치기 61% 감소
페리(1984)의 덴버 지역 연구 :
15개 지역중 11개 지역에서 공식적 범죄 통계의 감소
래테사와 트래비스(1987)의 연구 :
신시네티 지역의 프로그램 시행 이후 절도 등 감소되었으나, 폭 행강도 등 대인 범죄는 종전 그대로
코펠드(1981)의 연구 : 재산범죄 25%, 폭력범죄 55%감소
결국 범죄예방프로그램의 조직 수준이 높을수록 이웃지역 범죄 율 감소
ㄴ. 부정적 효과
래스무센(1979)의 연구 : 미니애나 폴리스 지역의 평가 결과, 일 부 지역에서 오히려 범죄 증가 결과
ㄷ. 상충되는 결과에 대한 설명
(ㄱ) “회귀효과”의 측면
이웃감시 프로그램에 의한 범죄수준의 감소보다는 프로그램 시행이 에 높은 범죄율이 보다 자연스러운 상태로 돌아가려는 회귀효과 때문
(ㄴ) 경찰에의 신고율 수준 미고려
낮은 범죄율 탓이 아니라 낮은 신고율 때문일 가능성
실제 범죄는 감소하면서 높은 신고율 때문일 가능성
- 볼콤(1981)의 연구 : 프로그램 시행 후 범죄 수준은 감소하였 으나 범죄 신고는 증가
결국 범죄 신고와 실제의 범죄 수준을 모두 고려
② 범죄 피해 수준 (피해조사 수치)
ㄱ. 범죄 피해자 조사시 위에서 상충되는 신고율 문제 해결
ㄴ. 시애틀 지역사회 범죄예방 프로그램
평가 기준을 범죄피해조사와 경찰에 대한 범죄신고율 두 측면 고려
낮은 절도 범죄율, 높은 신고율 결과
이러한 현상은 12~14개월의 단기간의 효과. 18개월 후 이전상태
주기적 재검토의 필요성 대두
ㄷ. 쿡과 로엘(1983)의 시카고 북서이웃연맹 프로그램의 연구
이웃감시, 전화 정보네트워크, 재물표시 프로그램 동시 진행
범죄수준이 12%감소되었으나 다른 지역은 오히려 증가
ㄹ. 특정 연령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지역사회 범죄예방운동
피해수준 감소
디트로이트 지역의 노인 피해 수준이 45%에서 11%로 감소
(폭행은 감소되었으나 절도 증가)
※ 이웃감시는 명백히 지역사회 범죄에 영향
단, 변화의 수준은 연구마다 다른 결론
이웃범죄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는 범죄의 실제수준 감소에 의해서만 평가되는 것이 아니라 범죄의 두려움과 고려 측면
4. 이웃범죄예방과 범죄의 두려움
(1) 피해조사를 통한 상관관계
피해조사를 통한 이웃범죄예방프로그램은 대부분 범죄의 두려움 감소 효과( 지역사회의 안전감과 미래의 피해위험에 대한 질문)
피기(1983)의 연구 - 매우 공포를 느낀다의 75%감소, 전체적으로 는 40% → 12% 감소
브로디와 쉐파드(1977)연구 : 덴버 지역 평가 결과, 절도의 공포는 감소하였으나 외출시 대인범죄의 공포감은 오히려 증가
결국 범죄 두려움에 대한 범죄예방프로그램의 실제 효과는 불분명
(2) 실제 효과에 대한 분석
① 상충되는 결과들은 프로그램 참여로 인한 경계심에 의해 좌우
( 참여하여 범죄의 논의의 증가는 많은 공포와 걱정 생산)
② 실제 두려움의 양적 수치 측정의 불가능
모든 연구 결과는 백분율로만 평가
약간의 변화도 백분율에 악 영향
③ 범죄의 두려움 측정의 다양한 수단 존재 :
연구 결과 들간의 비교의 어려움
④ 분석 대상자의 다양성
⑤ 범죄율이 높은 지역에 대한 연구 대상의 편중
5. 추가적인 평가의 쟁점
이웃 범죄 예방 프로그램의 효율성과 평가를 방해하는 다른 쟁점 존재
본 프로그램이 다른 예방 활동으로부터 고립되어 수행되지 않는 다는 사실
프로그램 시행에 대해 적절한 평가 수단
시민 참여와 지지 (시민 참여의 측면에서 이웃프로그램 평가)
1. 참여 주체 문제
① 참가자에 대한 인구학적 분석
베넷(1989)연구 : 주로 남성, 중상류층, 주택소유자, 고학력자, 백 인 등이 참여율이 높았다
② 다른 단체에의 참여수준과 범죄의 두려움
범죄예방 단체에의 참여와 활동이 또 다른 단체에의 참여수준과 범죄의 두려움과의 관련성
그린버그(1985)연구 : 범죄예방운동 참여자들이 종종 다양한 지역 사회 단체의 구성원
범죄예방이 다른 단체 활동의 이차적 연장선
③ 범죄의 두려움과 프로그램 참여와의 관련성
ㄱ. 긍정적인 견해
메나드와 코베이(1987)의 연구
ㄴ. 부정적인 견해
래브래커스와 헤르쯔(1982)의 연구
ㄷ. 상충되는 견해에 대한 논쟁 ( 랩. 1990)
같은 집단의 조사 대상자들을 조사하는 연구는 없다
같은 방식으로 주요 변수를 측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하는 연구는 없다
- 두려움은 귀가 후, 외출시 구분 측정
- 범죄예방 기법은 시민순찰에서 재물표시 까지 다양성
- 연구방법의 다양성은 다양한 결과의 원인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5.05.10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65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