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비만이란
1. 비만의 판단 기준(측정법)
2. 비만의 원인
Ⅲ. 비만의 건강에 대한 위험성
1. 어린이 성인병
2. 합병증
Ⅳ. 비만의 치료방법
1. 식이요법
2. 운동요법
3. 행동수정요법
Ⅴ. 결 론
<참 고 문 헌>
Ⅱ. 비만이란
1. 비만의 판단 기준(측정법)
2. 비만의 원인
Ⅲ. 비만의 건강에 대한 위험성
1. 어린이 성인병
2. 합병증
Ⅳ. 비만의 치료방법
1. 식이요법
2. 운동요법
3. 행동수정요법
Ⅴ. 결 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더 줄이는 것은 체중조절에 오히려 역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즉 체중을 줄이려고 할 때 중요한 것은 몇㎏을 빼느냐가 아니라 어떤 조직이 빠져나가는가 하는 것이다. 목표는 지방 체중만을 줄이고 "제지방(除脂肪)체중", 다시 말해 근육 체중은 보존해야 하는 것이다. 식이 요법만으로는 근육 손실을 피할 수 없지만 운동을 병행하면 근육조직을 보존하면서 원하는 지방만을 주로 뺄 수 있다.
또 한가지, 운동의 중요한 가치는 조절된 체중을 유지하는데 있다. 운동 없이 식이 조절만 시행하면 요요현상으로 결국 원래 체중으로 돌아가기가 쉽다. 실제적으로 감량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과 운동과의 관계를 연구한 결과에서 성공적으로 체중이 유지된 그룹에서는 92%가 정기적인 운동을 했었던 반면, 다시 체중이 불어난 그룹에서는 34%만이 정기적인 운동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공적으로 감량한 체중을 유지하는 방법은 체중관리를 처음 시작할 때 정신자세를 늘 간직하며 꾸준히 운동을 해주는 것이다.
3. 행동수정요법
비만해지는 것은 잘못된 생활 습관으로 인해 생기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비만의 치료에 있어서도 행동요법이 근본이 되며, 식사요법이나 운동요법을 실천하게끔 하는 것도 결국 행동요법의 일부에 속하게 된다. 이는 1970년대 초부터 시작되었는데 일상의 습관 또는 행동을 변화시킴으로써 체중 감소를 유도하는 것이며, 먹게 되는 동기, 태도, 행위, 영양, 운동, 사회적 배경 등 체중과 관련된 모든 것을 포함하게 된다. 다른 방법에 비해 1년 후 감량한 체중을 가장 오랫동안 유지시킬 수 있으며 도중 탈락률도 다른 방법에 비해 낮다. 행동요법시에 감정적인 면을 고려하여 우울, 불안, 과민 반응 등의 치료도 적절하게 해주어야 한다. 행동요법은 개별적으로 상담을 통해서 이루어지기도 하고 집단으로 일정 프로그램에 의해 시행되기도 한다.
1) 자극 조절(Stimulus control)
먹는 행위는 여러 가지 외부적인 자극들에 의해 촉진되므로 이러한 자극을 조절함으로써 음식에의 노출과 먹는 기회를 줄이도록 한다. 비만한 사람은 내부적으로 스스로 조절하는 능력보다 외부적인 자극이 의해 쉽게 영향을 받게 되므로 식이 섭취를 자극하는 모든 요소들을 차단함으로써 음식 섭취의 기회를 줄이는 것이다. 음식 구매시 에도 반드시 필요한 품목만 미리 정해서 산다든지 음식을 눈에 뜨이지 않게 하며, 음식을 다루거나 조리할 기회, 먹는 기회 등을 줄이도록 한다. 일종의 먹이 사슬을 끊음으로써 과식을 피하게 할 수도 있다.
2) 자가 관찰(Self-monitoring)
비만인 스스로 치료에 대해 어느 정도 책임을 가지고 자기가 관찰하고 조절하는 것이다. 식사, 운동, 생활 일지 등을 통해 자신의 행동, 생각들을 기록함으로써 자기 반성의 기회도 가질 수 있다. 식사 섭취와 먹게 되는 상황에 대해 기록을 하는데 먹는 장소, 먹는 시각, 식사의 속도, 식사에 걸린 시간, 공복감의 정도, 감정 상태, 동행자, 식사중 태도 등을 기록한다. 이를 통해 목표가 되는 행동들을 수정했는지 되먹이기를 통해 올바른 행동들을 습득할 수 있다.
3) 포상 제도(Reward system)
행동 교정시 긍정적인 강화요법은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포상제도는 자기 자신, 가족, 친지들과의 계약을 통해 구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체중 감량을 했을 때 칭찬을 많이 해 주고, 환자가 좋아하는 물건들을 계약을 통해 얻도록 하는데, 체중 감량에 따른 결과보다는 행동교정 그 자체에 따라 포상을 해 주도록 한다. 주위 사람들의 관심과 협조가 치료에 많은 도움이 된다.
4) 인식 재구성(Cognitive reconstruction)
비만인들은 갖고 있던 인식을 새롭게 해야 하는데, 예를 들면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폭식하는 것으로 해소했던 사람은 폭식 하는 대신 운동을 한다든지, 친구와의 대화 등을 통해 풀어나갈 수 있다. 또한 비만 환자들이 갖고 있는 자신의 신체에 대한 부정적인 신념, 과거 체중 감량에 대한 실패, 자신의 의지 부족 등을 교정하여 인식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Ⅴ. 결 론
지금까지 비만이란 무엇인지, 또 왜 체중조절을 해야하는지 등에 대하여 여러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현대인들에게 가장 흔히 나타나고 있는 이 비만증은 단지 비만아라는 이유로 보기에 좋지 않아서 체중조절을 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그로 인해 유발되는 다양한 성인병 등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해결되어야 한다. 그리고 비만해지고난 후에 이를 치료하려고 노력하는 것 보다 가능한 지금 현재부터 비만을 예방할 수 있는 생활 습관을 길러 나가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현대라는 생활 공간은 우리가 노력하지 않으면 무기력하게 비만해 질 수 밖에 없는 환경을 가지고 있다. 리모콘 문화와 자동차 문화는 우리가 더 몸을 움직이지 않고 편리하게 생활 하도록 하기 때문에 자칫 잘못하면 운동부족으로 인한 질병을 얻게되기 쉬운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살펴본 여러 가지 방법들을 토대로 체중조절을 해 나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 모든 일들이 그러하듯이 체중조절을 하는 데에도 무엇보다 자신의 마음가짐이 중요하다. 긍정적인 사고를 가지고 즐거운 마음으로 생활 패턴을 바꾸어 나간다면 비만 뿐 아니라 다른 질병들도 예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참 고 문 헌>
강재헌, 일차의료에서 비만의 진단과 관리, 가정의학회지, 1997, p.882-897
김기영 이복환 공저, 생활건강, 선학사, 1998, p108-118
김삼현 박석건 엮음, 현대인의 건강, 단국대학교출판부, 1999, p83-88
김수근 정동혁 공저, 사이버시대의 건강관리, 대경북스, p57-66
김태형 임규환 외2명 공저, 건강관리, 도서출판 태경, p71-94
대한가정의학회, 한국인의 건강증진, 고려의학, 1996, p.141-197
박현아 엮음, 건강과 생활, 홍익대학교출판부, 1999, p85-97
조남진 최덕구 외2명 공저, 인간과 건강, 도서출판 홍경, 1996, p 146-15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인의 보건의식행태, 1995, p.104-108
http://www.hospital.co.kr/diet/lifr.html.
또 한가지, 운동의 중요한 가치는 조절된 체중을 유지하는데 있다. 운동 없이 식이 조절만 시행하면 요요현상으로 결국 원래 체중으로 돌아가기가 쉽다. 실제적으로 감량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과 운동과의 관계를 연구한 결과에서 성공적으로 체중이 유지된 그룹에서는 92%가 정기적인 운동을 했었던 반면, 다시 체중이 불어난 그룹에서는 34%만이 정기적인 운동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공적으로 감량한 체중을 유지하는 방법은 체중관리를 처음 시작할 때 정신자세를 늘 간직하며 꾸준히 운동을 해주는 것이다.
3. 행동수정요법
비만해지는 것은 잘못된 생활 습관으로 인해 생기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비만의 치료에 있어서도 행동요법이 근본이 되며, 식사요법이나 운동요법을 실천하게끔 하는 것도 결국 행동요법의 일부에 속하게 된다. 이는 1970년대 초부터 시작되었는데 일상의 습관 또는 행동을 변화시킴으로써 체중 감소를 유도하는 것이며, 먹게 되는 동기, 태도, 행위, 영양, 운동, 사회적 배경 등 체중과 관련된 모든 것을 포함하게 된다. 다른 방법에 비해 1년 후 감량한 체중을 가장 오랫동안 유지시킬 수 있으며 도중 탈락률도 다른 방법에 비해 낮다. 행동요법시에 감정적인 면을 고려하여 우울, 불안, 과민 반응 등의 치료도 적절하게 해주어야 한다. 행동요법은 개별적으로 상담을 통해서 이루어지기도 하고 집단으로 일정 프로그램에 의해 시행되기도 한다.
1) 자극 조절(Stimulus control)
먹는 행위는 여러 가지 외부적인 자극들에 의해 촉진되므로 이러한 자극을 조절함으로써 음식에의 노출과 먹는 기회를 줄이도록 한다. 비만한 사람은 내부적으로 스스로 조절하는 능력보다 외부적인 자극이 의해 쉽게 영향을 받게 되므로 식이 섭취를 자극하는 모든 요소들을 차단함으로써 음식 섭취의 기회를 줄이는 것이다. 음식 구매시 에도 반드시 필요한 품목만 미리 정해서 산다든지 음식을 눈에 뜨이지 않게 하며, 음식을 다루거나 조리할 기회, 먹는 기회 등을 줄이도록 한다. 일종의 먹이 사슬을 끊음으로써 과식을 피하게 할 수도 있다.
2) 자가 관찰(Self-monitoring)
비만인 스스로 치료에 대해 어느 정도 책임을 가지고 자기가 관찰하고 조절하는 것이다. 식사, 운동, 생활 일지 등을 통해 자신의 행동, 생각들을 기록함으로써 자기 반성의 기회도 가질 수 있다. 식사 섭취와 먹게 되는 상황에 대해 기록을 하는데 먹는 장소, 먹는 시각, 식사의 속도, 식사에 걸린 시간, 공복감의 정도, 감정 상태, 동행자, 식사중 태도 등을 기록한다. 이를 통해 목표가 되는 행동들을 수정했는지 되먹이기를 통해 올바른 행동들을 습득할 수 있다.
3) 포상 제도(Reward system)
행동 교정시 긍정적인 강화요법은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포상제도는 자기 자신, 가족, 친지들과의 계약을 통해 구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체중 감량을 했을 때 칭찬을 많이 해 주고, 환자가 좋아하는 물건들을 계약을 통해 얻도록 하는데, 체중 감량에 따른 결과보다는 행동교정 그 자체에 따라 포상을 해 주도록 한다. 주위 사람들의 관심과 협조가 치료에 많은 도움이 된다.
4) 인식 재구성(Cognitive reconstruction)
비만인들은 갖고 있던 인식을 새롭게 해야 하는데, 예를 들면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폭식하는 것으로 해소했던 사람은 폭식 하는 대신 운동을 한다든지, 친구와의 대화 등을 통해 풀어나갈 수 있다. 또한 비만 환자들이 갖고 있는 자신의 신체에 대한 부정적인 신념, 과거 체중 감량에 대한 실패, 자신의 의지 부족 등을 교정하여 인식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Ⅴ. 결 론
지금까지 비만이란 무엇인지, 또 왜 체중조절을 해야하는지 등에 대하여 여러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현대인들에게 가장 흔히 나타나고 있는 이 비만증은 단지 비만아라는 이유로 보기에 좋지 않아서 체중조절을 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그로 인해 유발되는 다양한 성인병 등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해결되어야 한다. 그리고 비만해지고난 후에 이를 치료하려고 노력하는 것 보다 가능한 지금 현재부터 비만을 예방할 수 있는 생활 습관을 길러 나가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현대라는 생활 공간은 우리가 노력하지 않으면 무기력하게 비만해 질 수 밖에 없는 환경을 가지고 있다. 리모콘 문화와 자동차 문화는 우리가 더 몸을 움직이지 않고 편리하게 생활 하도록 하기 때문에 자칫 잘못하면 운동부족으로 인한 질병을 얻게되기 쉬운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살펴본 여러 가지 방법들을 토대로 체중조절을 해 나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 모든 일들이 그러하듯이 체중조절을 하는 데에도 무엇보다 자신의 마음가짐이 중요하다. 긍정적인 사고를 가지고 즐거운 마음으로 생활 패턴을 바꾸어 나간다면 비만 뿐 아니라 다른 질병들도 예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참 고 문 헌>
강재헌, 일차의료에서 비만의 진단과 관리, 가정의학회지, 1997, p.882-897
김기영 이복환 공저, 생활건강, 선학사, 1998, p108-118
김삼현 박석건 엮음, 현대인의 건강, 단국대학교출판부, 1999, p83-88
김수근 정동혁 공저, 사이버시대의 건강관리, 대경북스, p57-66
김태형 임규환 외2명 공저, 건강관리, 도서출판 태경, p71-94
대한가정의학회, 한국인의 건강증진, 고려의학, 1996, p.141-197
박현아 엮음, 건강과 생활, 홍익대학교출판부, 1999, p85-97
조남진 최덕구 외2명 공저, 인간과 건강, 도서출판 홍경, 1996, p 146-15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인의 보건의식행태, 1995, p.104-108
http://www.hospital.co.kr/diet/lifr.html.
추천자료
주장행동요법과 나메세지
만성피로 운동 요법
[흡연][금연]담배의 유해 물질, 흡연을 통한 질병 발생, 간접흡연, 여성흡연, 담배소송, 국내...
당뇨병의 진단검사 기준 및 운동 요법과 수술
사상체질에 따른 운동법과 식이요법
성인병과 노인 운동처방 및 식이요법
[나의 운동방법 레포트] 나에게 맞는 운동방법 및 식이요법 방안[2012년 평가우수자료★★★★★]
산후조리의 의미와 산후 음식과 산후운동 및 보완대체요법에 대해서
당뇨병에 대하여 기술하고 개선방법(운동과 식이요법)에 대해
[논문 서론 쓰기 과제] 고혈압 중년남성의 운동프로그램과 식이요법이 혈압과 BMI, 스트레스...
OS 재활요법(운동 및 보조기 이용 포함)
영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정의 및 요인과 지도전략, 그리고 현장에서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대사증후군의 정의, 원인, 치료예방법 (운동과 식이요법 포함)에 대해 자료조사를 하신 후 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