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Ⅱ. 본론
◉ 진단검사 및 기준
◉ 운동요법
◉ 수술
◉ 진단검사 및 기준
◉ 운동요법
◉ 수술
본문내용
제 1형 당뇨병 환자는 수술의 위험을 감소시키고 상태를 안정시키기 위해 수수 전 며 칠 혹은 몇 주 동안 철저히 조사 할 필요가 있음
→ 환자에게 응급수술이 필요 할 수 있음
→ 이 상황에선 외과의사가 당뇨병이 조절 될 때 까지 응급수술을 연기 할 것인지 고혈 당이나 저혈당 상태에서 수술을 할 것인지에 대해 결정을 해야 함
- 어떤 경우이든 계속적인 V/S과 임상검사 및 BST를 자주 측정해야함
- 제2형 당뇨병 환자는 일반 사람보다 약간의 위험 부담만 있음
당뇨병 환자의 수술 전 준비
① 공복시 혈당
② 당화 혈색소
③ 전해질, BUN, creatinine
④ CBC
⑤ ECG 및 심장효소
⑥ 흉부 X-선 검사
아침 일찍 수술을 시도하여 가능한 식이나 인슐린 요법의 정규 스케줄을 최소로 변경
수술 당일 아침에 음식, 수분, 혈당강하제는 투여 ×
장시간형인 혈당강하제인 chlorpropamide는 약물의 긴 반감기 때문에 수술 1~ 2일
전에 끊어야 함
인슐린 의존성이거나 인슐린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는 IV로 인슐린의 주입을 시작 하
고 5% 포도당도 저혈당을 방지 하기 위해 투여하고 마취의사는 수술 중 혈당을 측정
수술 중에 저혈당에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수술 시작 1시간 이내에 외과의사에게
혈당치를 보고함
일단 수술실에 도착 하면 당뇨병의 중증도와 수술의범위에 따라 중재는 달라짐
환자의 혈당치에 따라 regular인슐린을 IV로 투여 할 수 있고 피하로 주는 인슐린은
체온이나 순환혈액량, 마취제의 종류에 의해 영향 받을 수 있으므로 수술 중에 투여해
서는 ×
(2) 수술 후 간호
- 수술 후 간호의 목적
→ 환자의 상태를 안정시키고 당뇨병의 조절을 재확인 하며 상처감염을 막고 상처 치유를 증진시키기 위함
수술 후 중요한 임상간호
환자가 구강으로 섭취 할 수 있을 때 까지 5%포도당 용액과 regular인슐린을 IV 투여
환자가 일단 식사를 할 수 있는 상태이면 혈당조절을 위하여 하루에 3회 식사를 하게
하고 식사 사이에 스넥을 줌
Regular 인슐린은 소변검사에 기초를 두고 투여 하며 수술 전구상태의 인슐린 형(NPH
나 Lente 등) 으로 다시 환원 할 수 있으나 용량은 재확인
수술 후 저혈당 징후를 관찰
방광 감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가능한 도뇨는 피함
상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수술 부위 드레싱을 철저한 소독 방법으로 교환
말초혈관 질환이 있거나 신경병증이 있는 경우 특히 피부손상의 징후가 있는지 관찰
수술 부위에 감염의 징후가 있는지 잘 관찰함
→ 수술부위에서의 배설량이나 나쁜 냄새에 특히 신경을 씀
(3) 아팠을 때의 지침
- 당뇨병이 있는 환자가 급하게 아플 때 인슐린이나 경구용 혈당강하제를 끊어서는 ×
- 메스껍거나 열이 있을 때는 아프기 전에 치료계획을 그대로 수행해야함
- 어떤 사람은 아프기 전에 인슐린이 필요 없었으나 속효형 인슐린이 필요 할 수도 있음
- 음식을 먹을 수 없다면 오렌지 쥬스나 고기국물 등을 섭취해야 하고 영양사와 의논함
→ 환자에게 응급수술이 필요 할 수 있음
→ 이 상황에선 외과의사가 당뇨병이 조절 될 때 까지 응급수술을 연기 할 것인지 고혈 당이나 저혈당 상태에서 수술을 할 것인지에 대해 결정을 해야 함
- 어떤 경우이든 계속적인 V/S과 임상검사 및 BST를 자주 측정해야함
- 제2형 당뇨병 환자는 일반 사람보다 약간의 위험 부담만 있음
당뇨병 환자의 수술 전 준비
① 공복시 혈당
② 당화 혈색소
③ 전해질, BUN, creatinine
④ CBC
⑤ ECG 및 심장효소
⑥ 흉부 X-선 검사
아침 일찍 수술을 시도하여 가능한 식이나 인슐린 요법의 정규 스케줄을 최소로 변경
수술 당일 아침에 음식, 수분, 혈당강하제는 투여 ×
장시간형인 혈당강하제인 chlorpropamide는 약물의 긴 반감기 때문에 수술 1~ 2일
전에 끊어야 함
인슐린 의존성이거나 인슐린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는 IV로 인슐린의 주입을 시작 하
고 5% 포도당도 저혈당을 방지 하기 위해 투여하고 마취의사는 수술 중 혈당을 측정
수술 중에 저혈당에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수술 시작 1시간 이내에 외과의사에게
혈당치를 보고함
일단 수술실에 도착 하면 당뇨병의 중증도와 수술의범위에 따라 중재는 달라짐
환자의 혈당치에 따라 regular인슐린을 IV로 투여 할 수 있고 피하로 주는 인슐린은
체온이나 순환혈액량, 마취제의 종류에 의해 영향 받을 수 있으므로 수술 중에 투여해
서는 ×
(2) 수술 후 간호
- 수술 후 간호의 목적
→ 환자의 상태를 안정시키고 당뇨병의 조절을 재확인 하며 상처감염을 막고 상처 치유를 증진시키기 위함
수술 후 중요한 임상간호
환자가 구강으로 섭취 할 수 있을 때 까지 5%포도당 용액과 regular인슐린을 IV 투여
환자가 일단 식사를 할 수 있는 상태이면 혈당조절을 위하여 하루에 3회 식사를 하게
하고 식사 사이에 스넥을 줌
Regular 인슐린은 소변검사에 기초를 두고 투여 하며 수술 전구상태의 인슐린 형(NPH
나 Lente 등) 으로 다시 환원 할 수 있으나 용량은 재확인
수술 후 저혈당 징후를 관찰
방광 감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가능한 도뇨는 피함
상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수술 부위 드레싱을 철저한 소독 방법으로 교환
말초혈관 질환이 있거나 신경병증이 있는 경우 특히 피부손상의 징후가 있는지 관찰
수술 부위에 감염의 징후가 있는지 잘 관찰함
→ 수술부위에서의 배설량이나 나쁜 냄새에 특히 신경을 씀
(3) 아팠을 때의 지침
- 당뇨병이 있는 환자가 급하게 아플 때 인슐린이나 경구용 혈당강하제를 끊어서는 ×
- 메스껍거나 열이 있을 때는 아프기 전에 치료계획을 그대로 수행해야함
- 어떤 사람은 아프기 전에 인슐린이 필요 없었으나 속효형 인슐린이 필요 할 수도 있음
- 음식을 먹을 수 없다면 오렌지 쥬스나 고기국물 등을 섭취해야 하고 영양사와 의논함
추천자료
[공중보건학]당뇨병/당뇨병의 원인/당뇨병의 진단과 검사/당뇨병의 종류/당뇨병의 증상/당뇨...
간호학, 당뇨병문헌고찰연구사례,당뇨병, 당뇨병케이스,당뇨병케이스스터디,당뇨,DM
당뇨병 환자 및 당뇨 관련 교육자를 위한 PPT (당뇨 길라잡이, 당뇨병! 바로 알고 이겨내자!)
당뇨병 식이요법(당뇨병증상, 당뇨환자식이원칙, 당뇨병식사요법, 당뇨환자식단, 요리만들기)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당뇨병증상, 당뇨환자식이요법, 당뇨병식이치료, 당뇨환자금지식품,...
[아동간호학 실습 (PED)] 당뇨병성 케톤산증 (DKA : Diabetic ketoacidosis) dka, 당뇨병, dm...
[당뇨병 치료] 당뇨병의 관리 - 당뇨병 식이요법(식사요법), 운동요법, 약물요법
[당뇨병의 운동요법] 당뇨환자의 운동효과, 당뇨병과 운동의 적용, 운동요법의 종류, 운동계...
[당뇨병] 당뇨병의 병태생리, 당뇨병의 원인과 증상, 당뇨병의 종류(분류), 당뇨병 치료를 위...
[당뇨병] 당뇨병의 병리, 당뇨병의 원인(요인) - 당뇨병이 생기는 이유
[당뇨병] 당뇨병의 개념(정의)과 역사, 당뇨병의 원인(발병인자, 당뇨병요인), 당뇨병의 종류...
[당뇨병] 당뇨병의 정의 및 종류(진성당뇨병, 손상된 당내성, 임신당뇨병), 당뇨병의 병태생...
[당뇨병의 치료와 관리] 당뇨병 치료방법 - 당뇨병 약물요법(경구혈당강하제, 인슐린요법), ...
당뇨환자를 위한 식사요법 - 당뇨병 정의, 당뇨병 원인,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당뇨병 진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