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 의
2. 유 래(역사)
3. 현 황
-규 모
-성장률
-점유율
-경쟁상황
-매 출
-국내주요 할인점 현황
4. 특 징
5. 장점 및 단점
6. 전 망
7. 경쟁우위를 가질 방안
2. 유 래(역사)
3. 현 황
-규 모
-성장률
-점유율
-경쟁상황
-매 출
-국내주요 할인점 현황
4. 특 징
5. 장점 및 단점
6. 전 망
7. 경쟁우위를 가질 방안
본문내용
주도권을 이루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93년 신세계가 창동에 E-Mart를 출점하면서 본격적인 할인점 시대가 열렸으며, 지난 1996년 유통시장 개방으로 할인점의 신규 출점이 봇물 터지듯 증가하고 있다. 더욱이 최근 경기가 침체하면서, 가격파괴 현상과 할인점 출점이 급증하고 있다. 7년 남짓한 역사를 가진 우리나라의 할인점은 아직까지 업태 개념도 혼란스럽고, 출점에 있어서도 각 점포간 과다한 경쟁상태에 있지만 매우 커다란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3. 현황
- 규모
우리나라의 할인점은 미국의 할인점과 달리 식품부문이 매우 강하며 하이퍼마켓과 유사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현재 운영중인 업체는 신세계백화점의 E-마트가 대표적이며 뉴코아의 뉴마트, 그랜드의 G-마트 등이 있다. 이외에도 롯데백화점, 대구동아백화점, 삼천리그룹, 나산백화점 등 오픈을 하여 성업 중이거나 대규모 계획을 수립하여 본격적인 출점 채비를 하고 있는 업체들이다. 특히 신세계의 E-마트 창동점은 국내에서 최초로 93.11월 오픈 하여 월평균매출 1억8천만원에서 2억원에 이르는 성공을 거두었다.
연도별 할인점 시장규모
(조원) 「경제현황과 유통산업」, 이승
- 성장률 및 점유율
올해(2004년)는 백화점을 추월한 할인점이 명실상부하게 국내 최대 소매업태로 부상한 가운데 그 격차가 더욱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또 지속적인 성장세 속에 출점이 확대되면서 업체간 차별화가 심화될 것으로 예상, 대형점 부지확보가 한계에 이르면서 중소형 도시에도 출점이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할인점시장의 경쟁 양상이 지금까지의 신규 출점이나 부지확보 등 양적 경쟁에서 시스템과 물류 등 질적 경쟁의 시대로 넘어가는 교두보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할인점 업계 시장규모는 23조1천억원으로 전년의 19조7천억원에 비해 17.1% 신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전체적으로는 30개가 넘는 신규점이 오픈하면서 두자릿수의 성장을 뒷받침하지만 기존 점간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유통산업발전법 시행령 개정과 올해 지자체 규제강화 등은 할인점 출점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세계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까르푸, 월마트 등 빅5 할인점들은 올해 신규 점포수(18개)의 2배 수준인 35개 점포를 열기로 했다. 이에 따라 전국의 대형 할인점수도 300개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선두인 신세계이마트는 올해 연간 출점수로는 가장 많은 15개점을 새로 열어 점포수를 75개까지 확대한다. 홈플러스는 지난해와 비슷한 7개 점포를 오픈, 35개 점포망을 구축한다. 서울에선 강서지역에 출점이 예정돼 있으며 시화 청주 순천 등지에도 점포를 낼 예정이다. 홈플러스는 4천평 이상의 대형점 이외에도 영업면적 1천평 안팎인 SSM(수퍼수퍼 마켓) 출점을 검토중이다. 1년 가까이 점포를 내지 않은 롯데마트도 올해는 출점을 본격화한다. 롯데마트는 지난해 하반기 수원 천천점과 천안 성정점, 통영점을 연데 이어 올해엔 8개 점포를 추가로 오픈 할 예정이다. 지난해 월드컵점 유성점 방학점 등 3개 점포를 성공적으로 오픈 한 까르푸는 올해엔 신규점 출점과 기존점 리모델링을
계획하고 있다. 월마트는 올해는 포항에 1개점을 출점할 예정이다.
2003년 6월 기준 국내 대형할인마트 현황
년도
점포명
93
94
95
96
97
98
99
2000
2001
2002
2003
계
이마트
1
1
2
2
3
4
6
8
14
5
2
48
롯데마트
3
4
9
8
4
28
까르푸
3
3
5
9
2
0
2
24
홈플러스
1
1
5
7
2
5
21
월마트
2
2
0
1
1
3
6
15
기타-킴스클럽 -11개, LG유통 -6개, 아람 -6개, 2001아울렛- 6개, 농심가- 5개, 서원유통 탑마트- 7개, 하나로마트- 7개
(2003년 6월기준, 유통산업발전법 제 2조3호의 대형점 3,000m²(909평)기준 )
- 경쟁 상황
1996년 유통 시장 개방에 따른 해외 할인점 업체의 국내 진출이 가속되면서 국내의 대형 할인점 업체인 신세계 이마트, 롯데 마그넷이 공격적으로 다점포화를 하고 있고 2001년에는 이마트, 마그넷, 까르푸, 홈플러스 등 상위 4대 업체를 중심으로 모두 40개가 출점되어 누적 점포수가 총 192개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국내의 할인점 적정 점포수는 점포당 적정 상권 인구를 15~20 만명 정도로 추산할 때 250개 내외로 판단되며 300개 정도가 최대치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산업계의 시각인데 매년 40~50개에 이르는 할인점 업체들의 출점 계획을 감안하면 늦어도 2003~2004년경에는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대형할인마트 현황 표를 보면 2003년이나 늦어도 2004년이면 우리나라의 할인점은 포화상태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이 이후에는 중복 출점 지역을 중심으로 기업간의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시장이 포화되었다는 이같은 전망은 현재 국내 할인점 시장의 왕자로 자리잡고 있는 신세계 이마트의 중국시장 진출로도 알 수 있다. 이마트는 국내시장의 포화를 예상하고 이미 중국으로의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중국시장 탐색을 위해 지난 97년 상하이에 문을 연 이마트는 단일점포로는 드물게 흑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마트는 내년 상반기 상하이에 2,3호점을 추가로 오픈키로 했다. 또 오는 2010년까지 4천억원을 투자해 톈진 베이징 등지에서 모두 40여개의 점포망을 구축한다는 전략이다.
국내 할인점의 수익률 또한 상당히 저조한 편이다. 대한상의가 지난 2000년을 기준으로 국내 할인점들의 경영지표를 분석한 결과 평균 매출 총이익률은 14.8%, 영업이익률은 0.3%로 나타났다. 이와 대조적으로 세계 1위 유통업체인 월마트는 2001년 회계연도에 매출 1천9백32억달러, 영업이익 1백1억달러로 5.2%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때문에 경쟁이 가속화되면서 무리한 가격경쟁 등의 출혈경쟁이 시작되면 상대적으로 튼튼한 자금력과 강력한 상품 소싱 능력이 있는 외자계 기업들에게 유리한 상황이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피할 수 없는 경쟁이라면 수익률을 보장받을 수 있는 쪽으로
3. 현황
- 규모
우리나라의 할인점은 미국의 할인점과 달리 식품부문이 매우 강하며 하이퍼마켓과 유사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현재 운영중인 업체는 신세계백화점의 E-마트가 대표적이며 뉴코아의 뉴마트, 그랜드의 G-마트 등이 있다. 이외에도 롯데백화점, 대구동아백화점, 삼천리그룹, 나산백화점 등 오픈을 하여 성업 중이거나 대규모 계획을 수립하여 본격적인 출점 채비를 하고 있는 업체들이다. 특히 신세계의 E-마트 창동점은 국내에서 최초로 93.11월 오픈 하여 월평균매출 1억8천만원에서 2억원에 이르는 성공을 거두었다.
연도별 할인점 시장규모
(조원) 「경제현황과 유통산업」, 이승
- 성장률 및 점유율
올해(2004년)는 백화점을 추월한 할인점이 명실상부하게 국내 최대 소매업태로 부상한 가운데 그 격차가 더욱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또 지속적인 성장세 속에 출점이 확대되면서 업체간 차별화가 심화될 것으로 예상, 대형점 부지확보가 한계에 이르면서 중소형 도시에도 출점이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할인점시장의 경쟁 양상이 지금까지의 신규 출점이나 부지확보 등 양적 경쟁에서 시스템과 물류 등 질적 경쟁의 시대로 넘어가는 교두보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할인점 업계 시장규모는 23조1천억원으로 전년의 19조7천억원에 비해 17.1% 신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전체적으로는 30개가 넘는 신규점이 오픈하면서 두자릿수의 성장을 뒷받침하지만 기존 점간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유통산업발전법 시행령 개정과 올해 지자체 규제강화 등은 할인점 출점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세계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까르푸, 월마트 등 빅5 할인점들은 올해 신규 점포수(18개)의 2배 수준인 35개 점포를 열기로 했다. 이에 따라 전국의 대형 할인점수도 300개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선두인 신세계이마트는 올해 연간 출점수로는 가장 많은 15개점을 새로 열어 점포수를 75개까지 확대한다. 홈플러스는 지난해와 비슷한 7개 점포를 오픈, 35개 점포망을 구축한다. 서울에선 강서지역에 출점이 예정돼 있으며 시화 청주 순천 등지에도 점포를 낼 예정이다. 홈플러스는 4천평 이상의 대형점 이외에도 영업면적 1천평 안팎인 SSM(수퍼수퍼 마켓) 출점을 검토중이다. 1년 가까이 점포를 내지 않은 롯데마트도 올해는 출점을 본격화한다. 롯데마트는 지난해 하반기 수원 천천점과 천안 성정점, 통영점을 연데 이어 올해엔 8개 점포를 추가로 오픈 할 예정이다. 지난해 월드컵점 유성점 방학점 등 3개 점포를 성공적으로 오픈 한 까르푸는 올해엔 신규점 출점과 기존점 리모델링을
계획하고 있다. 월마트는 올해는 포항에 1개점을 출점할 예정이다.
2003년 6월 기준 국내 대형할인마트 현황
년도
점포명
93
94
95
96
97
98
99
2000
2001
2002
2003
계
이마트
1
1
2
2
3
4
6
8
14
5
2
48
롯데마트
3
4
9
8
4
28
까르푸
3
3
5
9
2
0
2
24
홈플러스
1
1
5
7
2
5
21
월마트
2
2
0
1
1
3
6
15
기타-킴스클럽 -11개, LG유통 -6개, 아람 -6개, 2001아울렛- 6개, 농심가- 5개, 서원유통 탑마트- 7개, 하나로마트- 7개
(2003년 6월기준, 유통산업발전법 제 2조3호의 대형점 3,000m²(909평)기준 )
- 경쟁 상황
1996년 유통 시장 개방에 따른 해외 할인점 업체의 국내 진출이 가속되면서 국내의 대형 할인점 업체인 신세계 이마트, 롯데 마그넷이 공격적으로 다점포화를 하고 있고 2001년에는 이마트, 마그넷, 까르푸, 홈플러스 등 상위 4대 업체를 중심으로 모두 40개가 출점되어 누적 점포수가 총 192개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국내의 할인점 적정 점포수는 점포당 적정 상권 인구를 15~20 만명 정도로 추산할 때 250개 내외로 판단되며 300개 정도가 최대치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산업계의 시각인데 매년 40~50개에 이르는 할인점 업체들의 출점 계획을 감안하면 늦어도 2003~2004년경에는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대형할인마트 현황 표를 보면 2003년이나 늦어도 2004년이면 우리나라의 할인점은 포화상태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이 이후에는 중복 출점 지역을 중심으로 기업간의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시장이 포화되었다는 이같은 전망은 현재 국내 할인점 시장의 왕자로 자리잡고 있는 신세계 이마트의 중국시장 진출로도 알 수 있다. 이마트는 국내시장의 포화를 예상하고 이미 중국으로의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중국시장 탐색을 위해 지난 97년 상하이에 문을 연 이마트는 단일점포로는 드물게 흑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마트는 내년 상반기 상하이에 2,3호점을 추가로 오픈키로 했다. 또 오는 2010년까지 4천억원을 투자해 톈진 베이징 등지에서 모두 40여개의 점포망을 구축한다는 전략이다.
국내 할인점의 수익률 또한 상당히 저조한 편이다. 대한상의가 지난 2000년을 기준으로 국내 할인점들의 경영지표를 분석한 결과 평균 매출 총이익률은 14.8%, 영업이익률은 0.3%로 나타났다. 이와 대조적으로 세계 1위 유통업체인 월마트는 2001년 회계연도에 매출 1천9백32억달러, 영업이익 1백1억달러로 5.2%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때문에 경쟁이 가속화되면서 무리한 가격경쟁 등의 출혈경쟁이 시작되면 상대적으로 튼튼한 자금력과 강력한 상품 소싱 능력이 있는 외자계 기업들에게 유리한 상황이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피할 수 없는 경쟁이라면 수익률을 보장받을 수 있는 쪽으로
추천자료
국내 할인점의 현황과 경쟁력강화 방안
★[A+논문]대형유통업체 Developer화를 통한 지역 중소상인과의 공존방안★
이마트가 세계인의 할인점이 될 수 있을까?
[유통관리]할인점의 PB확대 정책이 유통구조에 미치는 영향 (리포트)
[SSM]SSM(대형슈퍼마켓)의 골목시장 진출 무엇이 문제인가? ssm(기업형슈퍼마켓)과 영세상인 ...
E마트와 월마트의 비교, 분석을 통한 월마트의 실패 원인 분석
[PB 브랜드, 상품 현황 조사] 할인점 의류 PB를 중심으로 하는 Private Brand
[PB상품]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백화점, 편의점 동향
[E마트][이마트]E마트(이마트)의 변천과정, E마트(이마트)의 성공요인, E마트(이마트)의 가격...
[이마트][E마트][마트][쇼핑][물류]이마트(E마트)의 성장, 이마트(E마트)의 쇼핑환경, 이마트...
[해외투자론] 롯데마트 (Lotte Mart) 해외시장 진출 사례분석 (기업소개, 중국시장 환경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