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4강의 권력역학관계에 대한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북아 4강의 권력역학관계에 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 동북아관계의 중요성과 4개국의 권력역학관계 규명의 중요성

2. 본론
1. 동북아 4개국의 국가별 분석
A. 중국
B. 일본
C. 미국
D. 러시아
2. 동북아관계의 세력전이 시나리오- 변수가 개입
A. 중국으로 힘이 전이 될 때 - 동북아관계의 최고변수
1. 미국이 적극적으로 개입 - 남, 북방 삼각동맹관계는 현상유지
2. 미국이 소극적으로 개입 - 새로운 동맹형성-미. 북. 일 VS 중.남. 러의 관계로 현상유지
B. 러시아로 힘이 전이 될 때 - 남방, 북방 삼각체제가 굳건해짐 ⇒구(舊) 냉전으로의 회귀, 전쟁가능성 최대(最大)
C. 미국이외의 힘의 전이가 없을 때 -북한의 체제붕괴를 위한 미국의 노력과 이를 통한 동북아 패권 획득 및 신세계질서의 확립

3. 결론- 동북아의 권력역학관계는 세력균형이론의 틀 속에서 세력 전이가 발생한다.

본문내용

-북한의 체제붕괴를 위한 미국 의 노력과 이를 통한 동북아 패권 획득 및 신세계질서의 확립
3. 결론- 동북아의 권력역학관계는 세력균형이론의 틀 속에서 세 력 전이가 발생한다.
Ⅰ. 서론
미. 소 냉전체제의 붕괴는 동북아지역에서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간의 대결구조에 변화를 불러 일으켰다. 한. 러 수교, 한. 중 수교 등 탈냉전적 양자관계의 재조정과 다자간협력에 대한 논의가 진전되고 있음에도 불고하고, 동북아지역에는 분단국문제, 영토분쟁, 군비 경쟁 등의 냉전적 요소가 여전히 남아 있다. 새로운 동북아질서는 현재 강대국간 세력관계의 유동성과 냉전 및 탈냉전적 요소의 공존이라는 특징을 보이며 재편되고 있는 과정에 있다. 새로운 동북아질서와 한반도, 정진위 외 지음, 법문사. 1998.10.10 PP. 1:1~6
<그림 1-1>의 지도에서 보다시피, 동북아의 문제는 국가적인 국익 영토, 자원, 역사문제
과 결부되어있다. 그렇기 때문에 동북아관계는 쉽게 해결 될 수 없는 부분인 동시에, 동북아 문제의 해결점에 위치한 국가는 향후 동북아시아의 패권국가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패권다툼이 자칫 걷잡을 수 없는 혼란을 야기시킬수 있다. 미국의 신세계질서 확립을 마무리 짓는 결정타가 될 것인지, 현 아시아의 강대국 일본이 미국이란 우산을 버리게 될 것인지, 떠오르는 샛별 중국이 동북아시아의 상국(上國)이 될 것인지, 병들어 있는 호랑이 러시아가 다시 회생 할 것인가? 이들 4개국 중 누가 패권을 잡을 것인가는 현 동북아시아의 최대의 관심사이다. 그러면 과연 이들 나라중 어떤 나라가 패권을 잡을 것인가?
<그림1-1> 2004동북아전략균형. 한국전략문제연구소. 한국양서원 2004.2.28
<그림1-2 위와 동일
>
<그림1-2>를 참고해서 보면 현재 동북아의 4개국 중 군사력은 중국이 우세하다. 하지만 중국을 제외한 3개국의 잠재전력은 그에 버금간다는 것을 한눈에 알 수 있다. 만약 이 4개국이 전쟁을 한다면 제 3차 대전이라 부를 수 있을 정도의 세계 대전이 펼쳐 질 것은 불 보듯 뻔하다. 그들은 전쟁을 피할 것이다. 대신 경제적인 압박과 국제관계의 지위란 카드를 꺼내들고 도박을 시작 할 것이다. 그들은 모든 것을 걸 준비는 되어있다. 나는 그들의 경제적 수준을 파악하고, 만약 힘이 4개국 중 일국으로 전이될 때 어떠한 현상이 발생되는지를 연구함으로서, 동북아시아를 둘러싼 4개국의 권력역학관계를 규명하겠다.
Ⅱ. 본론
이제 게임은 시작 되었다. 중국의 이름난 병법가 손무는 “지피지기(知彼知己)면 백전백승(百戰百勝)”이라 했다. 이에 입각하여 게임에 참가한 4개국의 경제적 전력을 분석해보도록하겠다.
1. 중국
중국의 정식이름은 중화인민공화국이다. 즉, 사회주의 국가임을 나타낸다. 그들의 경제는 자유주의 체제보다 탄력성과 발전성이 매우 느렸다. 그들은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고 강화시키기 위해 경제개혁 시작하였다. 경제체제 개혁은 현대화 추진에 걸림돌이 되는 각종 장애요인을 극복하여 사회주의를 완성하려는 필요에서 출발하였다. 즉, 생산력발전에 방해가 되는 각종 요인들을 제거하여 생산력을 높여 이를 통하여 사회주의의 완성-공산주의를 실현하려는 배경에서 시작된 것이다. 크게 볼 때, 경제체제개혁은 내용별 혹은 시기별로 3단계로 나눌 수 있다. 제 1단계(1978-1984)는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제2단계(1984-1987)는 도시부문의 경제개혁을 중점으로 진행되었으며 이 단계에서는 기업의 자율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가격, 세제, 금융개혁 및 대외무역 활성화 등이 추진되었다. 제 3단계(1987-)는 연안지역을 중심으로 대외개방정책이 적극적으로 실시되었다 http://www.ptuniv.ac.kr , 옮긴이 가우리 블로그 정보센터
http://blog.naver.com/uuuau.do?Redirect=Log&logNo=40009797176
. 이를 통해 중국은 경제적 효율성은 극대로 하면서, 정치는 사회주의를 취하는 소위 WIN-WIN 전략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 대단히 성공적 이였다고 평가된다. 그것의 증거로 꾸준히 성장하는 중국의 경제를 보면 알 수 있다. <그림1-3 2004세계경제연감. 해외경제정책연구소 2004.2.25 pp. 53
>은 중국의 경제 지표를 보여준다. 중국의 GDP를 살펴보면 매년 꾸준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볼 수 있다. 또한 경제정책의 성공은 1차
산업이 확실히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 저(低)임금, 다(多)인력을 바탕으로 2,3차 산업에 의 성장은 중국의 성장이 앞으로도 계속 유지될 것임을 보여준다. 또한 3차 개혁을 이어 4차 개혁(:연안에서 대륙으로의 투자를 유치)을 함으로서 중국의 경제가 크게 성장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충분히 보여준다. 경제정책의 성장 외에도 중국은 풍부한 천연자원과, 광활한 대륙을 소유한 국가이다. 동북아시아의 전통 3강 한국. 일본. 중국을 지칭함
중 유일하게 자원의 제약을 받지 않는 나라이다. 꾸준한 교육수준의 향상과, 기술력 축적, 12억의 인구는 중국의 무한한 가능성을 그대로 보여준다. 중국은 이번 게임에서 폭풍의 눈으로서, 그의 행보에 따라, 미국, 일본, 러시아의 행보가 결정 될 것이다.
2. 일본.
일본은 아시아의 국가 중 유일하게 근대화에 성공한 나라이다. 일본은 그 성공을 바탕으로 세계 1차 대전의 승전국으로 참전, 일찍부터 강대국의 위치에 선나라인 동시에 제2차 대전의 동맹군으로 참전, 패전함으로써 전범국이라는 인식이 붙은 나라이기도 하다. 일본은 패전에도 불구하고 고도의 경제성장을 단기간에 이루어 냈다. 한국전과 베트남전의 미국의 군수기지로서의 역할과, 일본인의 특성이 결합되어, 일본은 다시금 경제적 대국으로 국제사회에 합류하게 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일어난 버블경제 거품경제[Bubble Economy], 경제성장이나 경기호황은 실물부분의 정상적인 움직임을 반영하는 것이 보통인 데, 특수한 조건하에서 경기 국민이 실물부분의 움직임과 괴리되어 실제보다 과대 팽창되는 경기상태
http://100.naver.com/100.php?id=7773
는 미국의 경제력의 턱까지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06.02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99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