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지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민족지학은 일정 문화 내에 사람들이 공유하는 의미의 조사에 중점을 둔다. 예를 들어, 이는 지역사회의 생활에 참여적 관찰자(상징적 상호작용자)의 접근법이다. 우리는 이미 조직환경에서 이루어진 민족지학적 연구의 결과를 보았다. W.L.Gore&Associates의 독특한 기업환경에 관한 Pacnowsky의 분석은 인류학자(Clifford Geertz)의 ‘민족지학은 법을 추구하는 경험적 과학이 아니라 의미를 추구하는 분석적 과학이다’라는 주장을 조명한다.
Northwestern에 있는 동안 필립슨은 버지니아 대학에 인류학자 겸 언어학자인 Dell Hymes이 기술한 아티클(‘말하기의 민족지학; The Ethnography of Speaking’)을 읽었다. Hymes는 세계 전역에 다양한 의사소통의 관행에 관한 좀 더 근본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논하였다. 필립슨은 자신이 일하던 시카고 지역사회에서 연구를 시작하기로 결정했다.
트럭운전이 이 지역사회에 남성들에게 전형적인 직업이었기 때문에 필립슨은 이 지역을 ‘팀스터빌(트럭운전사마을)’이라 명했다. 3년 동안 필립슨은 거리에 아이들, 현관 앞에 여성들, 술집에 남성들 그리고 지역주문들의 스피치코드의 해석을 위해 일했던 인보관에 모든 사람들과 이야기 하였다. 필립슨은 용어, 의미, 전제, 의사소통적 행위를 담은 규칙 등의 역사적, 사회적으로 구조화된 시스템을 스피치코드를 통해 설명한다.
심지어 팀스터빌의 사람들은 영어로 말하지만, 필립슨은 이들의 전체적 말하기 형태가 자신의 가족, 학교 친구, TV와 라디오에 토크쇼를 통해 듣고 알고 있는 음성코드와 상당히 다르다는 것을 인식했다. 이는 두 번째 수년간의 민족지학 연구를 시행하게한 동기가 되었다. 연구는 캘리포니아에 있는 산타바바라 대학에서 스피치 커뮤니케이션(speech communication)을 가르치는 중 시작되었으며, 워싱턴 대학으로 갔을 때도 지속되었다. 대부분의 ‘문화적 정보제공자’들이 산타바바라 또는 시애틀 출신이었지만 스피치코드 지역사회는 미국의 서부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어사용의 방식이 대다수 미국인이 사용하고 의미가 명료하였기 때문에 이들을 ‘인국미(미국인의 역 발음)’라 명했다. 전형적 인국미의 언어는 TV토크쇼에 일반사람들 수준에서 직접적 상호작용으로 대인적으로 이루어지는 일반 미국인의 대화이다. 필립슨과 필자 그리고 이 글을 읽는 대부분의 독자들는 인국미이다.
  • 가격9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6.03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3000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