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릿말
Ⅱ. 영미법의 개념
Ⅲ. 영미법의 특징
Ⅳ. 영미법의 발전과정
Ⅴ. 영미법의 법원(法源)
Ⅱ. 영미법의 개념
Ⅲ. 영미법의 특징
Ⅳ. 영미법의 발전과정
Ⅴ. 영미법의 법원(法源)
본문내용
통법 또는 제정법의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점에서 영미법의 관습법은 법원이 관습법의 존재를 인정하는 경우에도 일반법으로 전환되지 않고 관습법의 형태로 계속 존재하는 대륙법의 법체계와 구별된다.
(4) 기타
그 외 영국에서 1차 법원으로 인정되는 자료들로는 ①12세기 토지법과 형법에 관한 Glanvill의 De Legisbus et Consuetudinibus Angliae, c.1189, ②소송의 형식에 관한 Bracton의 De Legisbus et Consuetudinibus Angliae, c. 1251, ③ 토지법 연구서인 Littleton의 Tenures, c. 1841, ④ 영장목록에 관한 주석서인 Fitzherbert의 Natura Brevium, c. 1534, ⑤ 영국법을 4부로 나누어 설명하려고 한 Coke판사의 Institutes of the Laws of England 1628, ⑥ 최초의 형법사인 Hale의 History of the Pleas of the Crown 1736, ⑦ 형법과 형사절차의 개론서인 Hawkins의 Pleas of the Crown 1716, ⑧ 형법에 관한 권위서인 Foster의 Crown Cases 1762, ⑨ 18세기 중반의 영국법원칙의 개론서인 Blackstone의 Commentaries on the Laws of England 1765 등이 있으며, 이후에 나온 법서들은 대부분 2차 법원으로 간주된다.
2. 2차 법원
2차 법원은 1차 법원을 보충하는 논문, 사전, 교과서, 잡지 등을 말하며 1차 법원과는 달리 법률적 구속력을 갖지 아니한다.
(4) 기타
그 외 영국에서 1차 법원으로 인정되는 자료들로는 ①12세기 토지법과 형법에 관한 Glanvill의 De Legisbus et Consuetudinibus Angliae, c.1189, ②소송의 형식에 관한 Bracton의 De Legisbus et Consuetudinibus Angliae, c. 1251, ③ 토지법 연구서인 Littleton의 Tenures, c. 1841, ④ 영장목록에 관한 주석서인 Fitzherbert의 Natura Brevium, c. 1534, ⑤ 영국법을 4부로 나누어 설명하려고 한 Coke판사의 Institutes of the Laws of England 1628, ⑥ 최초의 형법사인 Hale의 History of the Pleas of the Crown 1736, ⑦ 형법과 형사절차의 개론서인 Hawkins의 Pleas of the Crown 1716, ⑧ 형법에 관한 권위서인 Foster의 Crown Cases 1762, ⑨ 18세기 중반의 영국법원칙의 개론서인 Blackstone의 Commentaries on the Laws of England 1765 등이 있으며, 이후에 나온 법서들은 대부분 2차 법원으로 간주된다.
2. 2차 법원
2차 법원은 1차 법원을 보충하는 논문, 사전, 교과서, 잡지 등을 말하며 1차 법원과는 달리 법률적 구속력을 갖지 아니한다.
추천자료
아동복지 발달과정
사회복지관의 발달과정
진화론과 발달과정
원격교육의 발달과정
사이버커뮤니케이션의 발달과정, 특징, 사례, 단점 및 우리가 나아갈 방향
색채인지 발달과정
E-Business의 발달과정
장애인복지의 발달과정
아동의 발달과정에서 유전 혹은 환경이 미치는 영향과 사례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성인기의 발달과정, 정신건강상태에 대한 설명을 자신의 기준에 맞추어서 작성
인간행동과사회환경-본인의 발달과정에서 영아기의 부모와의 관계, 애착관계가 유아기, 아동...
인간행동과사회환경-본인의 발달과정에있어서 환경이 큰 영향을 미쳤던 사건 3가지를 생각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