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환이론에 대하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환이론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교환이론의 등장배경

Ⅲ. 교환이론의 주요 학자들

Ⅳ. 교환이론의 주요 가정 및 개념

Ⅴ. 사회복지학에의 적용

Ⅵ. 교환이론의 한계점

Ⅶ. 결론

본문내용

터 나온다. 개인 행위자들 간의 미시적 과정은 집합적인 혹은 단체 행위자들 간의 거시적인 과정에 어떻게 연결되며, 후자는 전자에 어떻게 관련되는가? 호만스는 설명체계를 세울 때 거시적 사회조직화에 의해 도입되는 복잡성들은 대부분 주어진 것으로 규정해버리거나 혹은 복합적인 사회적 형태가 어떻게 정교화 되는가에 대한 개념적 시도를 할 때 자신의 원리들을 사용하려는 체계적인 시도를 포기해 버린다. 블라우는 호만스보다는 조금 더 정확하지만 원리들을 일일이 들지 않고 개념적인 서론만을 제시하려 했기 때문에 집합적 또는 단체적 행위자들 간의 복합적 교환을 그려보기 위한 일련의 범주들을 발전시킬 뿐이다. 호만스와 블라우는 동어반복의 문제나 사회구조를 비은유적으로 정의하고 분석하는 문제를 논하지 않았다.
그리고 인간본성에 관한 교환론적 개념틀의 가정에 대한 비판은 실용주의와 행동주의에 대한 비판과 유사하다. Turner는 사회적 행동을 설명하는 실용주의자들의 합리성 가정이 적절한지에 대해서 회의를 가졌다. 즉 모든 인간이 행동을 할 때 보상과 비용을 합리적으로 계산하는가? 하는 것이다.
또한 행동주의의 근본적인 문제점, 즉 동어반복, 예측 대 사전추론의 문제, 그리고 환원주의의 문제들도 해결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들은 개인의 행동을 분석단위로 할 때 발생하는 것으로 사람들이 가치를 부여하는 것과 그들이 보상이라고 지각하는 것, 그리고 그들이 행동하는 방식을 조작적으로 구분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특히 분석단위가 개인의 행동일 때) 문제가 된다. 보상, 가치, 행동은 서로에 의해서 정의된다. 이처럼 어떠한 사람이 보상을 얻을 수 있는 방식으로 행동하지 않는 경우를 발견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는 교환론적 시각의 초점이 교환관계와 상호작용의 속성으로 전환될 때에는 감소될 것이다. 이러한 시각에서 볼 때 행동은 개인의 강화 역사에 의하여 결정되기보다는 경험하는 매력과 만족의 수준, 경험하는 공정성과 호혜성의 수준, 그리고 경험하는 권력 역동성과 의존성의 수준 등 관계가 어떻게 경험되느냐에 따라서 결정된다.
Ⅶ. 결론
신기하게도 19세기 아담 스미스의 사회학 이론에 대한 영향과 초기 사회심리학에 대한 행동주의자들의 강한 영향력에도 불구하고 교환이론에 대한 명확한 사회학적 접근법은 1960년대까지 출현하지 않았다. 1960년대와 1970년대 동안 성숙화 되면서 교환이론이 최종적으로 도래했을 때 이러한 접근법은 금세기 중반 이래 사회학의 고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오늘날 교환이론은 사회학적 이론화에서 가장 중요한 관점 중 하나가 되었다.
사회학에서의 교환이론은 두 가지 중요한 형태를 가진다. 첫째, 호만스의 이론은 사회현상을 보상과 처벌의 교환이란 관점에서 공식화된 기본적인 심리학적 명제들을 통해 설명하려고 한다. 블라우에서 발전된 두 번째 이론에서는 기능주의적, 변증법적, 상징적 상호작용론적 접근법과 교환이론을 결합시킨다.
교환이론은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같이 면접적인 상호작용 상황을 강조한다. 호만스에 의해 발전된 형태들에서 기본명제들은 배타적으로 이런 미시적 수준만을 언급한다. 대규모의 형식화된 사회구조들은 면접적 상황들에서 발전된 유형들의 복합적인 정교화나 상호작용에서 개인들의 행동을 지배하는 심리학적 원리들에 의해 설명될 수 있는 정교화로서 간주된다. 이런 형태의 교환이론에 대한 비판자들은 제도화된 거시적 수준의 사회조직은 단순한 심리학적 원리들에 의해 적절하게 설명될 수 없으며 사회학적 차원에서의 개념화가 이런 복합적인 현상을 이해하는데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블라우의 교환이론체계는 사회현상의 출현적 속성을 인지함으로써 이런 비판에 대처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그러나 거시수준을 취급할 때에 따르는 호만스적 전망의 한계를 극복하려고 시도하는 가운데 블라우는 교환이론을 상당히 변형시켜서 이것이 하나의 독특한 종합적 시각이 될 정도로 다른 이론적 전망들을 통합시킨다. 이는 교환이론이 제한된 범위의 사회현상에만 적합할 뿐 그 자체로서 사회학이론에 적합한 기반을 제공할 수 없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이상으로 교환이론의 발달을 이루는 역사적 배경 및 주요 이론가들, 개념, 사회복지 분야의 적용성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교환이론은 모든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는데 있어 거의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개인주의를 바탕으로 한 미국사회에서 발전된 교환이론이 사회문화적 배경이 상이한 우리나라에 타당하게 적용될 수 있을 지의 여부는 좀 더 많은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검증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서도 가치의식이 다분히 개인주의적이고 합리주의의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교환이론의 적용가능성은 커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박재묵이정옥 역.1985. 『사회학사』. Nicholas S. Thimasheff and George A. Theodorson. Sociological Theory. 서울:풀빛.
유계숙최연실성미애 역. 1999. 『가족학 이론』. Ronald M. Sabatelli and Constance L. Shehan. 1993. Sourcebook of Family and Methods. 서울: 문음사.
윤경자Waiter R. Schuman. 1993. \"교환이론적 관점에서 본 결혼관계에서의 비교 수준과 대안에 대한 비교수준의 측정“. 《대한가정학회지》. 제31권4호. PP.133-140.
정기원. 2001. “노부모와 별거 성인자녀와의 가족유대 : 정서적 지원에 대한 교환 이론적 접근”. 《한국인구학》. 제24권제1호. PP.124-148.
정태환한상근정일준김윤태송영민 역, 2001.『현대사회학 이론』.Jonathan Turner. 1997. The Structure of Sociological Theory. 서울:나남출판.
조병은신화용. 1992. “사회교환이론적 관점에서 본 맞벌이 가족의 성인 딸/며느리 와 노모의 관계”.《한국노년학》. 제12권2호 pp.83-98.
최혜지. 2004. “손자녀 양육형태가 노부모와 성인자녀의 세대관계에 미치는 영 향”. 《한국노년학》. 제24권3호. 31-49.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5.06.06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06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