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저 산업] 스키 산업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레저 산업] 스키 산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개요

2. 역사

3. 스키장 사업의 특성

4. 스키장에 따른 효과

5. 스키장의 종류

6. 국내 스키산업의 현황

7. 일본 스키산업 현황

8. 운영사례

9. 기사자료로 본 스키산업의 변화

10. 스키관련 자격증

11. 미래의 스키산업

본문내용

우려가 있다.
(표) 스키장 개발에 따른 영향 분석
긍정적 효과 부정적 효과
직접적
-겨울철의 고용기회 확대
-지역내의 소비확대에 의한 소득 증대
-대규모 개발에 따른 환경파괴
-교통량 증가 등에 따른 생활환경 악화
간접적
-현지산업의 진흥 및 새로운 현지산업
(특산품 제조업 등)의 창출
-지역공동화 방지
-인프라의 정비, 확충(도로, 수도 등)
-경제구조 및 교용관계 변화에 따른 왜곡 발생(물가상승, 인력부족 등)
-새로운 주민의 출현에 따른 지역관계
희박화 및 풍속, 관습 파괴
한편 스키장의 경제효과는 건설에 따른 경제효과와 운영에 따른 경제효과로 나눌 수 있다. 건설에 따른 경제효과로는 스키장 용지취득효과, 건설공사효과, 도로 상수도 등의 관련시설정비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다. 운영에 따른 경제효과로는 스키장 운영에 따른 유지 관리비 광고선전비 등의 지출교과, 리프트 이용 음식 특산물 구입등의 스키장내 소비효과 및 숙박, 연료, 교통 등의 스키장외 소비효과 등을 얻을 수 있다
(그림) 스키장의 경제적 효과
스키장외 소비효과
용지취득효과
건설에 따른 스키장 건설공사효과
경제효과
관련시설 정비효과
스키장의
경제효과
운영에 따른 지출효과
운영에 따른
경제효과 스키장내 소비효과
5. 스키장의 종류
스키장은 입지에 따라 당일형과 숙박형 스키장으로 분류 할수 있다. 우선 당일형 스키장은 대도시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데 , 우리나라에는 파인리조트, 서울리조트, 천마장 스키장, 지산포레스트 등을 들 수 있다. 당일형 스키는 가벼운 마음으로 스키만을 즐기기 편리한 스키장을 선택해 단시간에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당일형 스키장에서는 대부분 야간설비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젊은 직장인이나 학생들 사이에 인기가 높다. 숙박형 스키장은 여행감각그로 스키장을 선택하기 때문에 지역 전체의 매력, 시설에 중점을 두게 된다. 구체적으로 지역 전체의 분위기, 며칠 동안 즐길 수 있는 스키장 규모, 상급자로부터 추급자까지 즐길 수 있는 게렌데, 스키 이외에 즐길거리의 다양성과 우수함, 깔끔하고 세련된 숙박시설 등을 들 수 있다. 우리나라에는 강원도 산간지역에 위치하고 있는데, 용평리조트, 보광 위닉스 파크, 현대 성우리조트, 대면 비발디파크 등이 숙박형 스키장에 속한다.
(표) 당일형· 숙박형 스키장의 특징
당일형 스키장
숙박형 스키장
·일상생활의 스키활동
·휴일이나 주말 또는 야간에 즐기면서
시간이나 비용이 적게 들고 회수가 많음
·왕복시간이 적게 걸리는 편리한 장소를 선호함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대중형 게렌데가 주된 시설임
·휴일, 주말에 집중되면서 많은 스키어들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함
·생활권 속에서 행동하기 때문에 시장의규모가 스키장의 규모를 결정함
·비일상의 스키활동
·숙박을 수반하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회수가 적음.
·다소 멀더라도 매력이 있는 스키장을 선호함
·모든 사람들이 즐길 수 있는 다양한 게렌데와 환경이 필요함.
·비일상권이기 때문에 숙박시설이 필수적임
(숙박시설의 수용력에 따라 스키장의 규모가 결정됨)
6. 국내 스키산업의 현황
1) 스키장수
현재 국내에서 운영중인 스키장은 14개소인데 , 스키장의 대부분이 경기도, 강원도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이들 지역이 눈이 많이 내리고 눈의 질이 좋은데다. 수도권의 스키어들을 유치하는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겨울철 스포츠인 스키는 90년대 중반 이후 국민소득 수준의 향상, 여가시간의 증가 등으로 빠르게 보급되고 있다. 우선1995/96 스키시즌은 양적, 질적으로 국내 스키의 눈부신 성장을 가져왔다. 즉 대기업의 리조트 건설붐을 타고 현대성우리조트, 휘닉스파크가 각각 1995년12월에 개장한으로써 전국 스키장이 11개소로 늘었났다.
(표) 운영중인 국내 스키장 현황
스키장명
운영업체
위치
개장년월
슬로프(면)
리프트(기)
슬로프면적(천m2)
용평리조트
파인리조트
천마산스키장
알프스리조트
베어스타운
(주)용평리조트
(주)파인리조트
선진종합(주)
(주)우민
(주)베어스타운
강원 평창군
경기 용인군
경기 남양주
강원 고성군
경기 포천군
1975.12
1982.12
1982.12
1984.12
1985.12
28
6
3
6
7
15
5
7
5
10
3.436.9
364.3
502.4
437.1
698.2
사조블루밸리
무주리조트
비발디파크
휘닉스파크
현대성우리조트
(주)사조마을
(주)무주리조트
(주)대명레저산업
(주)보광
현대시멘트(주)
충북 충주시
전북 무주군
강원 홍천군
강원 평창군
강원 횡성군
1990.12
1990.12
1993.12
1995.12
1995.12
7
31
10
11
12
4
14
10
9
9
657.0
4.307.6
1.140.1
2.026.9
1.368.7
지산포레스트
한국콘도스키장
서울리조트
강촌리조트
지산리조트(주)
(주)아시아나개발
(주)서울리조트
LG건설(주)
경기 이천군
강원 평창군
경기 남양주시
강원 춘천시
1996.12
1998.12
1992.12
2002.12
6
3
4
10
4
2
4
6
506.6
115.5
278.2
608.0
연도별로는 1989년 이전까지는 용평, 파인 베어스타운 등 5개소에 불과했으나 90년에 무주리조트와 사조 블루밸 리가 개장해 총 7개소로 늘어났다. 그후 1992년에는 서울, 93년에 대명 비발디파크가, 95년에는 현대성우, 휘닉스파크 등이 문을 열어 총 11개소로 늘어났다. 그리고 지산 포레스트가 1996년12월, 한국콘도스키장이 98년 12월, 강촌스키장이 2002년 12월에 각각 개장함으로써 전국에서 운영중인 스키장은 14개소에 달하고 있다
2) 스키장 이용객수
국내 스키장 이용객(리프트 탑승객) 수는2003/04시즌에 439만3.9100명(통계가 잡히지 않은 서울리조트· 한국콘도스키장 제외) 으로 전 시즌보다 1.2%증가하는데 그쳤다. 이처럼 성장률이 낮은 것은 심야·철야스키 등 영업시간 확대에도 불구하고, 국내경기 침체로 소비심리가 위축되었고 11월 중순과2월 중순 이후의 기상여건이 악화되면서 영업기간이 단축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스키장 이용객수 통계에는 잡히지 낳는 스키동호인들이나 대학생들의 스키회원권·시즌

추천자료

  • 가격1,9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5.06.08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12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