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본문내용
간에 경기도 서해안에서는 1년의 강수량과 거의 맞먹는 1,000㎜가 넘는 비를 불 19일 만에 쏟아 붓기도 했다. 이어 99년에는 경기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7월31일부터 8월4일까지 5일간 강수량이 평년의 10배100가 넘는 800㎜ 이상의 호우로 홍수가 발생, 64명의 인명피해와 2만5,000여명의 이재민 을을 발생시켰다. 2000년 이후에도 기상악화로 피해가 속출, 2002년 8월말 제15호 태풍 루사로 로 강릉에 하루 870㎜의 비가 내려 일최다강수량 기록을 경신하면서 사망 213명, 실종33명 등 인명피해 246명, 농경지 3만여ha 침수 등 5조원이 넘는 재산피해를 냈다. 2003년에도 태풍 매미로 전국에서 130명의 인명피해와 4조7,800여억원의 재산피해가 났다. 박과장은 이상기후와 관련 “특히 겨울철 기온의 상승 경향이 뚜렷해 1986년 이후부터 지속적인 적인 난동현상을 보여 최근에는 한강이 두껍게 언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다”며 “이상기후 대책을 책을 국가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박과장은 또 정부간기후 패널패널(IPCC)의 3차 보고서를 인용, “온실기체가 현재와 같은 수준으로 방출된다면 향후 100년이내에 지구기온이 1.4∼5.8℃ 정도 상승해 더 많은 기상 이변과 재해를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농업, 산림, 식생에도 큰영향을 미치고 해수면 상승에 따른 해안선 변형과 해류 염분변화는 해양 생태계에도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국립방재연구소 이양수 연구관은 `우리나라 자연재난 발생추이 및 향후전망\'이라는 주제발 표에서 “하천변 저지대 인구밀집과 공장시설 집중과 같은 도시화현상도 풍수해 피해증가의 원인”이라며 라며“최근 추세로 볼 때 국지적인 집중호우에 따른 피해는 계속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연구관은 이에 따라 △주요하천 비상대처계획 수립 △홍수·가뭄 등 위기관리정책 개발 △하천 유역단위 기상·수문학적 관측강화 △실시간 현장대응체제 구축 △조기경보체제 구축 등이 절실하다고 주문했다. 김근영 강남대학 교수와 이영재 동국대 교수도 각각 `기후변화에 대대비한 자연재난관리 정책\'과 `IT기술을 접목한 자연재난대응 기술개발 방안\'이라는 발표를 통해 이상기상기후에 따른 국가적인 대처수준을 높이고 정보과학(IT)을 재난관리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결 론
『 환경문제를 생각해보며... 』
쓰레기 배출량표를 만들어서 사용해보니 내가 평상시에 전혀 몰랐던 낭비들에 대해 보이기 시작했다. 우선 가장 큰 것이 물의 사용이다. 우리는 물의 소중함에 대해서 잘 모르는 것 같다. 내가 옛날 군복무 하던 시절 배타면 물 한 바가지 가지고 다할수 있었다. 처음에 세수를 하고, 그다음 양치질을 하고, 머리감고, 발을 씻고, 마지막으로 걸레를 빨았다. 이 모든 것을 물 한 바가지로 했지만 다시 옛 생활로 돌아와보니, 너무 쓸데 없는 낭비를 많이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이번 기회를 맞아서 샤워하면서 머리를 감거나 비누를 사용할 땐 수도꼭지를 잠궈 놓는 좋은 습관도 생겼고, 양치질, 설거지 할 때 등 물의 사용이 필요 없을 때 역시도 수도를 꼭 잠궈 놓게 되었다. 그러다보니 역시나 불필요한 물 사용이 눈에 띄게 적어졌고, 항상 신경써서 조심을 하게 되는 나의 모습을 느낄 수 있었다. 특히 분리수거를 하며 재활용이 안되는 비닐이나 플라스틱 등의 구입은 줄이게 되며 되며 주로 종이 재질 봉투로 포장된 것을 구입하거나 수퍼 갈때에도 집에서 가방을 챙겨서 비닐의 사용을 최대한도로 줄이게 됐다. 음식물 쓰레기도 딱 내가 먹을 양만 퍼서 남기지 않을려고 많은 노력을 했게 되었다. 다른 쓰레기들이야 그냥 쓰레기통에 버리면 그만이지만 음식물쓰레기는 놔두면 냄새며, 벌레들 이며 여러모로 불편한 점이 많다는 것을 새삼스레 느끼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음식물 쓰레기를 안 남기도록 제일 신중을 기했다. 하지만 노력을 해도 잘 안되는 것이 변기 사용과 세탁기 사용이었다. 그렇지만, 자연적 생리현상에서는 절약이 힘들지만 노력하면 그나마 줄일수 있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되어 뜻깊었던 실천이었던 것 같다.
이렇듯 서로가 조금씩 주의를 가져주면 쓸데없는 낭비를 매우 많이 줄일 수 있다. 이 생활을 하다보니 쓰레기 말고도 우리 생활에 전반적인 절약이 많이 보이게 되었다. 화장실 갔다 나오면서 불을 꼭 끄는 습관, 불필요 한 곳에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것은 아닌지, 불필요한 전화량, 운동하고 음료수 먹는 습관 대신에 물을 먹게 되니 많은 돈을 절약할 수가 있었다. 이는 개인의 경제적 절약 뿐만아니라, 곧 환경보호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자신에게 뿌듯한 점도 느낄 수 있게 되었다.
결국에는 다같이 깨끗한 사회를 만들자고 줄이는 쓰레기 운동에 나 개인에게도 엄청난 이익이 되어 돌아온다는 깨달음을 가지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런 자세를 항상 가지고 실천함으로써, 우리 모두 생활속에 환경보호에 관심을 가지고 노력하는 자세로 쓸데없는 낭비를 없애며 그에 따른 환경보호를 실천하여야 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참고자료」
http://100.naver.com - 대기오염의 정의
http://naver.com
http://mydreamwiz.com/ kkj1119
http://hyekhang.co.kr - 토양오염
www.kasa.or.kr/upload - 독일 재활용 기술탐방
http://maparam.net/environ/water - 수질오염
www.waste21.or.kr - 쓰레기 문제해결을 위한 시민운동 협의회
농촌진흥원(네이버)
환경부(다음)
환경과 삶 (한국외국어대학교)
목 차
서론
……………………
1
본론
……………………
1
오염의 종류
……………………
1
쓰레기 배출량 조사
……………………
31
제품에 따른
생산시
/ 폐기시 환경에 미치는 영향
……………………
34
독일 VS 한국
……………………
40
오염의 해결방안
……………………
41
환경오염에 따른 현상
- 지구온난화
……………………
50
결론
……………………
54
환경문제를
돌아보며...
……………………
54
일상속의 우리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 생활속의 환경오염 -
국립방재연구소 이양수 연구관은 `우리나라 자연재난 발생추이 및 향후전망\'이라는 주제발 표에서 “하천변 저지대 인구밀집과 공장시설 집중과 같은 도시화현상도 풍수해 피해증가의 원인”이라며 라며“최근 추세로 볼 때 국지적인 집중호우에 따른 피해는 계속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연구관은 이에 따라 △주요하천 비상대처계획 수립 △홍수·가뭄 등 위기관리정책 개발 △하천 유역단위 기상·수문학적 관측강화 △실시간 현장대응체제 구축 △조기경보체제 구축 등이 절실하다고 주문했다. 김근영 강남대학 교수와 이영재 동국대 교수도 각각 `기후변화에 대대비한 자연재난관리 정책\'과 `IT기술을 접목한 자연재난대응 기술개발 방안\'이라는 발표를 통해 이상기상기후에 따른 국가적인 대처수준을 높이고 정보과학(IT)을 재난관리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결 론
『 환경문제를 생각해보며... 』
쓰레기 배출량표를 만들어서 사용해보니 내가 평상시에 전혀 몰랐던 낭비들에 대해 보이기 시작했다. 우선 가장 큰 것이 물의 사용이다. 우리는 물의 소중함에 대해서 잘 모르는 것 같다. 내가 옛날 군복무 하던 시절 배타면 물 한 바가지 가지고 다할수 있었다. 처음에 세수를 하고, 그다음 양치질을 하고, 머리감고, 발을 씻고, 마지막으로 걸레를 빨았다. 이 모든 것을 물 한 바가지로 했지만 다시 옛 생활로 돌아와보니, 너무 쓸데 없는 낭비를 많이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이번 기회를 맞아서 샤워하면서 머리를 감거나 비누를 사용할 땐 수도꼭지를 잠궈 놓는 좋은 습관도 생겼고, 양치질, 설거지 할 때 등 물의 사용이 필요 없을 때 역시도 수도를 꼭 잠궈 놓게 되었다. 그러다보니 역시나 불필요한 물 사용이 눈에 띄게 적어졌고, 항상 신경써서 조심을 하게 되는 나의 모습을 느낄 수 있었다. 특히 분리수거를 하며 재활용이 안되는 비닐이나 플라스틱 등의 구입은 줄이게 되며 되며 주로 종이 재질 봉투로 포장된 것을 구입하거나 수퍼 갈때에도 집에서 가방을 챙겨서 비닐의 사용을 최대한도로 줄이게 됐다. 음식물 쓰레기도 딱 내가 먹을 양만 퍼서 남기지 않을려고 많은 노력을 했게 되었다. 다른 쓰레기들이야 그냥 쓰레기통에 버리면 그만이지만 음식물쓰레기는 놔두면 냄새며, 벌레들 이며 여러모로 불편한 점이 많다는 것을 새삼스레 느끼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음식물 쓰레기를 안 남기도록 제일 신중을 기했다. 하지만 노력을 해도 잘 안되는 것이 변기 사용과 세탁기 사용이었다. 그렇지만, 자연적 생리현상에서는 절약이 힘들지만 노력하면 그나마 줄일수 있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되어 뜻깊었던 실천이었던 것 같다.
이렇듯 서로가 조금씩 주의를 가져주면 쓸데없는 낭비를 매우 많이 줄일 수 있다. 이 생활을 하다보니 쓰레기 말고도 우리 생활에 전반적인 절약이 많이 보이게 되었다. 화장실 갔다 나오면서 불을 꼭 끄는 습관, 불필요 한 곳에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것은 아닌지, 불필요한 전화량, 운동하고 음료수 먹는 습관 대신에 물을 먹게 되니 많은 돈을 절약할 수가 있었다. 이는 개인의 경제적 절약 뿐만아니라, 곧 환경보호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자신에게 뿌듯한 점도 느낄 수 있게 되었다.
결국에는 다같이 깨끗한 사회를 만들자고 줄이는 쓰레기 운동에 나 개인에게도 엄청난 이익이 되어 돌아온다는 깨달음을 가지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런 자세를 항상 가지고 실천함으로써, 우리 모두 생활속에 환경보호에 관심을 가지고 노력하는 자세로 쓸데없는 낭비를 없애며 그에 따른 환경보호를 실천하여야 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참고자료」
http://100.naver.com - 대기오염의 정의
http://naver.com
http://mydreamwiz.com/ kkj1119
http://hyekhang.co.kr - 토양오염
www.kasa.or.kr/upload - 독일 재활용 기술탐방
http://maparam.net/environ/water - 수질오염
www.waste21.or.kr - 쓰레기 문제해결을 위한 시민운동 협의회
농촌진흥원(네이버)
환경부(다음)
환경과 삶 (한국외국어대학교)
목 차
서론
……………………
1
본론
……………………
1
오염의 종류
……………………
1
쓰레기 배출량 조사
……………………
31
제품에 따른
생산시
/ 폐기시 환경에 미치는 영향
……………………
34
독일 VS 한국
……………………
40
오염의 해결방안
……………………
41
환경오염에 따른 현상
- 지구온난화
……………………
50
결론
……………………
54
환경문제를
돌아보며...
……………………
54
일상속의 우리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 생활속의 환경오염 -
추천자료
환경과 삶- 환경오염과 질병
인간과 환경 스크랩<환경오염>
인간과 환경 - 환경오염
[환경오염]대기오염의 영향
(환경오염) 환경문제의 실태와 문제점 및 범 세계적 해결방안 (NGO와 GO의 활동을 중심으로)
(환경경영) 환경오염의 원인과 대책 그리고 무역장벽
[환경과철학] 환경오염 사막화 관련 기사를 읽고 평론
(환경과학)환경오염의종류과 실태조사
[환경 ] 환경오염의 원인과 종류 발생요인
환경의 변화에 따른 생태계의 변화와 환경오염의 관계
[중국환경오염] 중국 대기오염 문제의 심각성과 해결방안 보고서
[중국환경오염] 중국 대기오염 문제의 심각성과 해결방안.PPT자료
환경오염에 대한 환경윤리학.ppt
환경오염 - 4대강사업에 관한 환경문제 및 나의견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