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갈등과 지역주의에 대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갈등과 지역주의에 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971년의 대선부터 나타났으며 1987년과 1992년 대선으로 가면서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 반면에 영남지역은 1967년부터 이미 지역주의적 투표성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즉 영남은 이미 박정희 정권이 탄생한 1960년대부터 지역주의가 등장하였지만, 호남은 김대중 후보가 나선 1971년에 지역성향이 나타나기 시작해서 1980년대에 이르러 급격히 강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1980년대 이전까지는 지역주의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된 것은 아니다. 이것이 본격적으로 사회적 논의의 대상이 된 것은 1980년 518 이후이다(남영신, 1991; 김종철, 1991). 그리고 이것이 대중적 행동으로 표출된 것은 1987년 대선과 이듬해의 총선이다. 그 전에는 막연한 한(恨)이나 심리적 박탈감의 형태로 존재하던 것이 시민들의 투표행위를 통해 정치적 의사표시의 형태를 띄기 시작한 것이다. 이 때부터 특정당에 대한 일방적 지지가 등장하기 시작한다. 특히, 518의 상처를 받은 광주 및 호남지역에서는 김대중과 평민당, 민주당에 대한 무조건적인 지지가 지역 몰표의 형태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후 이러한 지역적 편향은 영호남뿐만 아니라 충청도까지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거의 모든 선거에서 후보의 지역성은 당락을 결정짓는 중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지역주의가 이처럼 팽배하면서 지역적 편견은 이제 지역갈등의 양상을 띄게 된다. 과거의 지역감정은 기득권을 가진 한 집단이 그렇지 못한 타 집단을 무시하고 차별하는 일방적 측면이 강했던 반면, 1980년대 이후의 지역감정은 쌍 방향적 또는 다 방향적 성격을 지닌다. 한 지역(혹은 지배집단)이 타 지역(들)을 차별하는 일방적 관계를 떠나 둘 또는 그 이상의 지역들이 서로를 경원하는 쌍 방향적 지역감정, 다시 말해서 막연한 지역감정의 단계를 떠나 구체적인 지역갈등의 양상을 띄기 시작했던 것이다.
지역갈등의 심화된 원인중 하나를 특정 지역 출신의 인사가 장기집권을 하고 지역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상당히 소외지역이 있다는 현상적인 인식 차원에서 생각할 수 있지만 한 지역에 편중된 장기집권 및 개발주체 세력에 대한 불신이 더 큰 증폭 역할을 하였고 이러한 것들이 정치체제 유지 및 정책 수행 과정에서 눈에 띄게 표출 되면서 구체적인 양상을 띄게 되었다는 차원으로 보는 것이 더 바람직 할 듯 보인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정치체제를 구축하고 정부를 운용하는 과정에서 지역주의가 대두될 수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6.12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20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