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실버산업의 등장배경 및 필요성
1. 실버산업의 등장배경
2. 실버산업의 필요성
Ⅲ. 실버산업의 개념 및 분류
1. 실버산업의 개념
2. 실버산업의 분류
Ⅳ. 우리나라 실버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Ⅴ. 우리나라 실버산업의 전망과 발전방향
Ⅵ. 결론
< 참고자료 >
Ⅱ. 실버산업의 등장배경 및 필요성
1. 실버산업의 등장배경
2. 실버산업의 필요성
Ⅲ. 실버산업의 개념 및 분류
1. 실버산업의 개념
2. 실버산업의 분류
Ⅳ. 우리나라 실버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Ⅴ. 우리나라 실버산업의 전망과 발전방향
Ⅵ. 결론
< 참고자료 >
본문내용
서 하나의 필요하고도 유망한 산업으로 발전케 한 촉진제가 되었다. 현외성. “노인복지와 실버산업” 한국사회복지의 선택. 1995. 나남출판. pp 409~410.
이 두가지 관점을 기준으로 하면서 실버산업이 출현할 수 있게 한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몇가지 배경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령인구의 양적ㆍ질적 증가현상이다. 둘째, 핵가족화현상 혹은 노인단신가족이나 노인가구주의 증가현상이다. 셋째, 국민소득의 증대와 사회보장제도의 성숙으로 노인의 경제력이 강화되는 현상이다. 넷째, 복지국가의 위기 이후 민영화와 자조이념의 강조현상이다. 다섯째, 국민들이 보다 높은 삶의 질적 추구와 함께 노인생활의 양질화현상 등으로 지적할 수 있다.
대체로 이러한 요소는 선진 복지국가의 경우 이미 1970년대 후반 이후 활발하게 실버산업이 발달하게 된 배경이 되었으나 우리나라는 1980년대 중반부터 많은 노인들이 비용을 지불하고라도 양질의 서비스를 받으려는 경향을 보이기 시작함에 따라 사적 단체들이 유료서비스의 제공에 관심을 보이면서 실버산업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기 시작하였다. 이로 인해 1933년 12월에 노인복지법을 개정하여 영리단체나 개인도 유료양로시설, 유료요양시설 및 유료재가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허용하였는데 이러한 노인복지법 개정을 계기로 실버산업에 대한 논의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사실 실버산업에 대한 수요는 이미 상당하게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아직도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는 노인복지의 수준과 연관된 사회적 불평 등의 심화라든지, 기존 사회복지정책의 기조로 되어 있는 가족기능의 강화라는 정책기조가 무너지는 것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불안으로 실버산업이 가지는 잠재적인 유망산업에 대한 전망으로 실버산업에 대한 활발한 노력이 중요한 등장배경으로 꼽을 수 있다.
2. 실버산업의 필요성
고령화사회로의 진입을 목전에 둔 우리나라도 퇴직 후 길어진 여생의 삶을 영위해야 하는 많은 노인층에 대한 사회보장적인 정책의 검토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최근 전반적인 국민소득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경제력이 있는 노인인구층에서 “보다 나은 삶”을 영유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대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노인복지정책은 이러한 중산층 이상 노인층의 다양한 욕구충족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시장경제의 원칙에 따라 구매력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실버산업 육성은 불가피하다고 본다.
그리고 선진복지국가와 마찬가지로 노인인구의 증가에 따라 필연적으로 노년층을 상대로 한 이른바 실버산업이 주요한 부분으로서 정착될 것으로 예상되며, 또한 지금의 55세~64세정도의 노인층들은 자신의 노후를 착실히 계획하고 준비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같이 노인들은 사회활동도 적극적일 것이며, 다양한 소비욕구와 소비성향 또한 클 것이다. 따라서 이들을 상대로 한 산업, 즉 “실버산업”의 등장은 필연적일 것이다.
실버산업의 필연성과 관련되는 요인으로는 노인인구의 증가, 평균수명의 연장, 별거노인의 증가, 가족구성형태의 변화 및 사회ㆍ경제적 변화를 들 수 있다.
(1)노인인구의 증가
현대시대는 과학문명의 발달과 고도의 산업화의 진전으로 경제성장을 이룩해 왔고. 생활환경의 개선은 식생활수준의 향상과 의술의 발달로 인하여 인간의 수명연장과 함께 고령화사회를 맞게 되었다.
우리나라에 있어서도 전인구에 대한 고령인구의 비율이 급속도로 높아짐에 따라 <표-1>에서 보는 바와 같이 65세 이상의 노인이 1980년대 145만명이었던 것이 99년도에 320만여명으로 무려 175만명 늘어난 것을 알 수 있으며, 2020년에는 1999년에 비하여 무려 369만여명이 증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표-1 >
연도별
구분
’60
’70
’80
’90
’99
2000
2020
전인구
25,012
32,241
38,124
42,869
46.858
47,275
52,358
65세이상
노인인구(%)
726
(2.9)
991
(3.1)
1,456
(3.8)
2,195
(5.1)
3,204
(6.8)
3,371
(7.1)
6,899
(13.2)
※ 자료 : 장래인구 추계(통계청, 1997.1)
(2) 평균수명의 연장
국민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의술의 혜택으로 우리 국민의 평균수명도 크게 높아져 <표-2>에서 보는 바와 같이 1980년도 65.8세에서 1995년도에는 7.7세가 연장된 73.5세에 이르렀고, 2020년에는 약 5세가 연장된 78.1세로 전망되고 있어 우리사회도 고령화사회로 접어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표-2 >
연도별
구분
’60
’70
’80
’90
’95
2000
2020
평 균
52.4
63.2
65.8
71.6
73.5
74.9
78.1
남
여
51.1
53.7
59.8
66.7
62.7
69.1
67.7
75.7
69.6
77.4
71.0
78.6
74.5
81.7
※자료: 장래인구 추계(통계청, 1997.1)
(3) 별거노인의 증가
고도의 산업사회에서는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핵가족화로 며느리는 시부모를 모시지 않으려 하는 것을 당연히 하고, 아들마저도 결혼을 하게 된 후에는 독립해서 살기를 희망해가는 경향이 점점 늘어가고 있어 종래의 전통적 부양방법은 기대할 수 없게 되었으며, 작금의 산업시대에서는 자본과 기술을 주축으로 한 개인주의, 자유주의, 공리주의가 팽배하여 인간보다는 물질을 인격보다는 능률을 보다 높이 평가하는 비인간화 추세가 가속화되어 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과 산업경제 구조에서 기술산업구조로의 변화로 인한 인구의 도시집중화 현상으로 인구의 대이동과 함께 핵가족화를 더욱 부채질하게 되어 삼세대 가족단위에서 부부중심의 일세대내지 이세대 소가족의 형태로 변형되면서 전통적인 대가족제도가 여지없이 무너지고 있다.
(4) 가족구성 형태의 변화
가족구성 형태나 가족기능도 많이 변화하게 될 것이 예상된다. 지금까지의 가족형태는 소수의 성인과 다수의 연소자들로 구성되는 소위 피라밋 형태의 삼세대 가족이 주류를 이루어 왔지만, 미래사회에서는 다수의 성인과 소수의 연소자들로 구성되는 소위 항아리형 가족형태가 보편화 될 것이며, 인간수명의 연장으로 인해서 증조부모, 조부모, 그리고
이 두가지 관점을 기준으로 하면서 실버산업이 출현할 수 있게 한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몇가지 배경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령인구의 양적ㆍ질적 증가현상이다. 둘째, 핵가족화현상 혹은 노인단신가족이나 노인가구주의 증가현상이다. 셋째, 국민소득의 증대와 사회보장제도의 성숙으로 노인의 경제력이 강화되는 현상이다. 넷째, 복지국가의 위기 이후 민영화와 자조이념의 강조현상이다. 다섯째, 국민들이 보다 높은 삶의 질적 추구와 함께 노인생활의 양질화현상 등으로 지적할 수 있다.
대체로 이러한 요소는 선진 복지국가의 경우 이미 1970년대 후반 이후 활발하게 실버산업이 발달하게 된 배경이 되었으나 우리나라는 1980년대 중반부터 많은 노인들이 비용을 지불하고라도 양질의 서비스를 받으려는 경향을 보이기 시작함에 따라 사적 단체들이 유료서비스의 제공에 관심을 보이면서 실버산업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기 시작하였다. 이로 인해 1933년 12월에 노인복지법을 개정하여 영리단체나 개인도 유료양로시설, 유료요양시설 및 유료재가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허용하였는데 이러한 노인복지법 개정을 계기로 실버산업에 대한 논의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사실 실버산업에 대한 수요는 이미 상당하게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아직도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는 노인복지의 수준과 연관된 사회적 불평 등의 심화라든지, 기존 사회복지정책의 기조로 되어 있는 가족기능의 강화라는 정책기조가 무너지는 것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불안으로 실버산업이 가지는 잠재적인 유망산업에 대한 전망으로 실버산업에 대한 활발한 노력이 중요한 등장배경으로 꼽을 수 있다.
2. 실버산업의 필요성
고령화사회로의 진입을 목전에 둔 우리나라도 퇴직 후 길어진 여생의 삶을 영위해야 하는 많은 노인층에 대한 사회보장적인 정책의 검토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최근 전반적인 국민소득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경제력이 있는 노인인구층에서 “보다 나은 삶”을 영유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대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노인복지정책은 이러한 중산층 이상 노인층의 다양한 욕구충족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시장경제의 원칙에 따라 구매력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실버산업 육성은 불가피하다고 본다.
그리고 선진복지국가와 마찬가지로 노인인구의 증가에 따라 필연적으로 노년층을 상대로 한 이른바 실버산업이 주요한 부분으로서 정착될 것으로 예상되며, 또한 지금의 55세~64세정도의 노인층들은 자신의 노후를 착실히 계획하고 준비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같이 노인들은 사회활동도 적극적일 것이며, 다양한 소비욕구와 소비성향 또한 클 것이다. 따라서 이들을 상대로 한 산업, 즉 “실버산업”의 등장은 필연적일 것이다.
실버산업의 필연성과 관련되는 요인으로는 노인인구의 증가, 평균수명의 연장, 별거노인의 증가, 가족구성형태의 변화 및 사회ㆍ경제적 변화를 들 수 있다.
(1)노인인구의 증가
현대시대는 과학문명의 발달과 고도의 산업화의 진전으로 경제성장을 이룩해 왔고. 생활환경의 개선은 식생활수준의 향상과 의술의 발달로 인하여 인간의 수명연장과 함께 고령화사회를 맞게 되었다.
우리나라에 있어서도 전인구에 대한 고령인구의 비율이 급속도로 높아짐에 따라 <표-1>에서 보는 바와 같이 65세 이상의 노인이 1980년대 145만명이었던 것이 99년도에 320만여명으로 무려 175만명 늘어난 것을 알 수 있으며, 2020년에는 1999년에 비하여 무려 369만여명이 증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표-1 >
연도별
구분
’60
’70
’80
’90
’99
2000
2020
전인구
25,012
32,241
38,124
42,869
46.858
47,275
52,358
65세이상
노인인구(%)
726
(2.9)
991
(3.1)
1,456
(3.8)
2,195
(5.1)
3,204
(6.8)
3,371
(7.1)
6,899
(13.2)
※ 자료 : 장래인구 추계(통계청, 1997.1)
(2) 평균수명의 연장
국민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의술의 혜택으로 우리 국민의 평균수명도 크게 높아져 <표-2>에서 보는 바와 같이 1980년도 65.8세에서 1995년도에는 7.7세가 연장된 73.5세에 이르렀고, 2020년에는 약 5세가 연장된 78.1세로 전망되고 있어 우리사회도 고령화사회로 접어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표-2 >
연도별
구분
’60
’70
’80
’90
’95
2000
2020
평 균
52.4
63.2
65.8
71.6
73.5
74.9
78.1
남
여
51.1
53.7
59.8
66.7
62.7
69.1
67.7
75.7
69.6
77.4
71.0
78.6
74.5
81.7
※자료: 장래인구 추계(통계청, 1997.1)
(3) 별거노인의 증가
고도의 산업사회에서는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핵가족화로 며느리는 시부모를 모시지 않으려 하는 것을 당연히 하고, 아들마저도 결혼을 하게 된 후에는 독립해서 살기를 희망해가는 경향이 점점 늘어가고 있어 종래의 전통적 부양방법은 기대할 수 없게 되었으며, 작금의 산업시대에서는 자본과 기술을 주축으로 한 개인주의, 자유주의, 공리주의가 팽배하여 인간보다는 물질을 인격보다는 능률을 보다 높이 평가하는 비인간화 추세가 가속화되어 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과 산업경제 구조에서 기술산업구조로의 변화로 인한 인구의 도시집중화 현상으로 인구의 대이동과 함께 핵가족화를 더욱 부채질하게 되어 삼세대 가족단위에서 부부중심의 일세대내지 이세대 소가족의 형태로 변형되면서 전통적인 대가족제도가 여지없이 무너지고 있다.
(4) 가족구성 형태의 변화
가족구성 형태나 가족기능도 많이 변화하게 될 것이 예상된다. 지금까지의 가족형태는 소수의 성인과 다수의 연소자들로 구성되는 소위 피라밋 형태의 삼세대 가족이 주류를 이루어 왔지만, 미래사회에서는 다수의 성인과 소수의 연소자들로 구성되는 소위 항아리형 가족형태가 보편화 될 것이며, 인간수명의 연장으로 인해서 증조부모, 조부모, 그리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