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식의 정의
2. 식단 작성
3. 음식을 만드는 방법
고찰
참고 자료
2. 식단 작성
3. 음식을 만드는 방법
고찰
참고 자료
본문내용
쌀과 쇠고기를 넣어 달달 볶는다. 쌀이 투명하게 익으면 피 망과 당근을 넣어 볶다가 물을 붓고 뚜껑을 덮은 후 충분히 무르도록 끓인다. 중간에 수시로 뚜껑을 열어보아 물이 모자란 듯하면 물을 조금씩 더 넣어 부드럽게 끓인다.
4. ③을 불에서 내리기 전에 소금을 넣어 약하게 간한다. 진간장에 다진 마늘과 파, 참기 름 등을 넣어 만든 양념장을 곁들여도 좋다
@ 무나물
1. 무는 길게 채썰어 놓는다.
2. 냄비에 참기름을 두르고 무를 볶은 후, 뚜껑을 덮고 물은 1/2정도 넣는다.
3. 어느정도 무가 무르면 파, 마늘, 생강, 소금을 넣는다.
4. 깨, 참기름을 넣고 마무리 한다.
@ 오이무침
1. 오이는 소금으로 비벼 깨끗이 씻는다.
2. 오이를 동글게 얇게 썰어 소금에 살짝 절인다.
3. 절인 오이를 씻어 물기를 꽉 짠다.
4. 오이에 다진마늘, 다진파, 실고추, 통깨, 참기름으로 간한다
@ 도라지나물
도라지를 다듬은 다음 5 cm 길이로 잘라 끓는 물에 살짝 데쳐 물기를 꼭 짜서 프라이팬에 기름을 두르고 볶는다. 다진 파 마늘과 깨소금 설탕 참기름으로 양념하고 소금으로 간을 맞춘다. 생채로 만들 때는 가늘게 찢어서 소금을 넣어 주무른 다음 재운 후에 양념을 한다.
@ 연근조림
1. 연근은 흙을 털고 깨끗하게 씻는다. 길이로 껍질을 얇게 벗기고, 0.5cm 두께로 동글썰 기 하여 심심한 식초물에 담가 색이 변하는 것을 막는다.
2. 끓는 물에 연근을 넣고 식초를 몇 방울 떨어뜨려 반쯤 익으면 찬물에 헹궈 물기를 뺀 다.
3. 냄비에 삶은 연근과 조림장을 넣고 물을 부어 서서히 조린다. 조림장이 반쯤 줄면 물 엿을 넣고 조려 통깨를 뿌려낸다
@ 깻잎무침
1. 끓는 소금물에 깻잎을 데쳐 찬물에 재빨리 헹궈낸다. 차게 식으면 마른 행주에 싸서 물 기를 살짝 눌러 짠다.
2. 깻잎을 제외한 나머지 재료를 모두 섞어 양념장을 준비한다.
3. 깻잎에 양념장을 넣고 조물조물 손으로 무친 다음 접시에 놓는다.
@ 토스트
① 양배추,오이,당근을 잘게 채썬다.
② 달걀 후라이를 만든다
③ 식빵위에 케첩을 바른후 양배추를 얻는다. 그리고 그 양배추위에 달걀 후라이를 얹고
그 위에 마요네즈를 뿌린 후 오이,당근등을 얹는다.다시 빵으로 덮는다.
위에 음식 만드는 과정은 일반인 들이 섭취하는 음식을 만들 때의 과정입니다. 연식을 먹는 환자인 경우는 질병의 양상과, 건강상태를 고려해서 만들어야 할 것입니다.
고찰
전체적으로 1800kcal에서 20kcal모자란 1780kcal가 나왔습니다. 탄수화물, 단백질양 이 다소 모자라게 나왔고 지방의 섭취량은 거의 맞게 나왔습니다.
처음에는 식단을 짜는게 어려웠는데 차츰 횟수를 거듭 할수록 자신감이 생기고 생소하기만 했던 식단 작성이 쉽게 느껴졌습니다.
참고 자료
식사요법 , 모수미 외 7인, 교문사, 2004
식사요법 , 강정옥 외 2인, 형설출판사, 2001
식품교환표 , 김정남, 대한영양사협회, 1995
목차
1. 연식의 정의
2. 식단 작성
3. 음식을 만드는 방법
4. 고찰
5. 참고 자료
4. ③을 불에서 내리기 전에 소금을 넣어 약하게 간한다. 진간장에 다진 마늘과 파, 참기 름 등을 넣어 만든 양념장을 곁들여도 좋다
@ 무나물
1. 무는 길게 채썰어 놓는다.
2. 냄비에 참기름을 두르고 무를 볶은 후, 뚜껑을 덮고 물은 1/2정도 넣는다.
3. 어느정도 무가 무르면 파, 마늘, 생강, 소금을 넣는다.
4. 깨, 참기름을 넣고 마무리 한다.
@ 오이무침
1. 오이는 소금으로 비벼 깨끗이 씻는다.
2. 오이를 동글게 얇게 썰어 소금에 살짝 절인다.
3. 절인 오이를 씻어 물기를 꽉 짠다.
4. 오이에 다진마늘, 다진파, 실고추, 통깨, 참기름으로 간한다
@ 도라지나물
도라지를 다듬은 다음 5 cm 길이로 잘라 끓는 물에 살짝 데쳐 물기를 꼭 짜서 프라이팬에 기름을 두르고 볶는다. 다진 파 마늘과 깨소금 설탕 참기름으로 양념하고 소금으로 간을 맞춘다. 생채로 만들 때는 가늘게 찢어서 소금을 넣어 주무른 다음 재운 후에 양념을 한다.
@ 연근조림
1. 연근은 흙을 털고 깨끗하게 씻는다. 길이로 껍질을 얇게 벗기고, 0.5cm 두께로 동글썰 기 하여 심심한 식초물에 담가 색이 변하는 것을 막는다.
2. 끓는 물에 연근을 넣고 식초를 몇 방울 떨어뜨려 반쯤 익으면 찬물에 헹궈 물기를 뺀 다.
3. 냄비에 삶은 연근과 조림장을 넣고 물을 부어 서서히 조린다. 조림장이 반쯤 줄면 물 엿을 넣고 조려 통깨를 뿌려낸다
@ 깻잎무침
1. 끓는 소금물에 깻잎을 데쳐 찬물에 재빨리 헹궈낸다. 차게 식으면 마른 행주에 싸서 물 기를 살짝 눌러 짠다.
2. 깻잎을 제외한 나머지 재료를 모두 섞어 양념장을 준비한다.
3. 깻잎에 양념장을 넣고 조물조물 손으로 무친 다음 접시에 놓는다.
@ 토스트
① 양배추,오이,당근을 잘게 채썬다.
② 달걀 후라이를 만든다
③ 식빵위에 케첩을 바른후 양배추를 얻는다. 그리고 그 양배추위에 달걀 후라이를 얹고
그 위에 마요네즈를 뿌린 후 오이,당근등을 얹는다.다시 빵으로 덮는다.
위에 음식 만드는 과정은 일반인 들이 섭취하는 음식을 만들 때의 과정입니다. 연식을 먹는 환자인 경우는 질병의 양상과, 건강상태를 고려해서 만들어야 할 것입니다.
고찰
전체적으로 1800kcal에서 20kcal모자란 1780kcal가 나왔습니다. 탄수화물, 단백질양 이 다소 모자라게 나왔고 지방의 섭취량은 거의 맞게 나왔습니다.
처음에는 식단을 짜는게 어려웠는데 차츰 횟수를 거듭 할수록 자신감이 생기고 생소하기만 했던 식단 작성이 쉽게 느껴졌습니다.
참고 자료
식사요법 , 모수미 외 7인, 교문사, 2004
식사요법 , 강정옥 외 2인, 형설출판사, 2001
식품교환표 , 김정남, 대한영양사협회, 1995
목차
1. 연식의 정의
2. 식단 작성
3. 음식을 만드는 방법
4. 고찰
5. 참고 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