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의 남녀관계 성(姓) 결혼 문화에 관하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인의 남녀관계 성(姓) 결혼 문화에 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물다. 보통 가족이나 친척은 35∼40명 정도, 친구나 은사, 회사동료는 30명 정도, 부모님 친구나 아는 사람을 10명 이내로 해서 75∼80명 정도를 초대한다고 한다. 이때 신랑 신부가 보내는 초대장에는 참석 여부를 표시하는 반송용 엽서가 들어있다. 초대장을 받은 사람은 참석 여부를 반드시 연락해주어야 한다. 이때 전화가 편리하기는 하나 예의는 아니라고 한다. 정확한 참석 인원을 체크한 후 식장 예약이나 음식을 준비하게 되므로 연락 없이 불참하는 것은 굉장한 실례가 된다. 또한 가능한 한 불참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만약 참석 의사를 밝히지 않고 식장에 갔을 경우에는 본인의 이름이 쓰여진 지정 좌석이 없기 때문에 달리 앉을 곳이 없게 된다.
일본 사람으로부터 결혼식에 초대장을 받는다면 그 사람과의 신뢰관계가 상당한 수준이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우리는 청첩장을 받지 못했더라도 다른 사람을 통해 결혼사실을 알게 되면 \'아! 그 친구 결혼식에 가야 할 텐데\'라고 생각하고 참석하게 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③예식
일본에는 결혼식 ‘예식장’이 따로 없다. 취향에 따라 호텔, 교회, 성당, 신사 또는 해외 등지에서 올린다. 즉, 음식점이나 호텔의 식당을 예약해서 그 자리에서 결혼식과 함께 이른바 ‘연회장’으로서 피로연에 사용한다. 그렇게 때문에 한국에서처럼 예식장 얻느라 애쓰지 않는다.
-호텔-
우아하고 근사한 호텔 연회장을 빌려 결혼식을 하는 경우가 많다. 보통 호텔에서 결혼식을 올리는 경우는 피로연회장에서 결혼식이 함께 거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객들은 맛있는 음식을 즐기면서 아주 느긋하게 신랑 신부 두 사람을 축복해준다. 보통 초대되는 손님은 50∼60명 정도인데 드레스, 음향, 조명, 음식, 식장대여비 등을 합해 약 100∼200만엔정도의 비용이 든다. 초대받은 손님은 축의금으로 보통 3 ∼5만엔 이상을 내는데, 친구인 경우는 1∼3만엔 정도를 내고 이외에도 피로연 참석회비로 5천엔∼1만엔을 내야한다. 음식은 전통일식에서 서양식, 중화요리까지 다양한데, 이는 신랑 신부의 취향에 따라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교회 및 성당-
일본문화를 빗대는 말 중에 \'아기가 태어나면 신사에, 결혼식은 교회에서, 장례식은 불교식으로\'라는 말이 있다. 보통 신랑, 신부가 모두 크리스찬이어야 교회에서 결혼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일본에서는 종교에 관계없이 교회에서 결혼식을 올리는 커플이 부쩍 늘고 있다. 아주 정숙하고 신비스러운 분위기 속에서 일생을 약속하는 신랑, 신부는 영화에서처럼 낭만적인 결혼식을 기대할 수 있다고 한다.
원래 기독교식으로 결혼식을 올릴 경우, 가족들만 모여서 결혼식을 올린 뒤 피로연에서 초대받은 손님들과 축복을 나누는 분위기였으나 최근에는 결혼식에도 손님들을 함께 참석해 축하해 주기도 하고 야외에서 올리는 경우도 많이 있다.
-신사-
가장 일본다운 결혼식은 전통결혼식인 신도식 결혼식이다. 하지만 엄격한 분위기와 엄숙함, 복잡한 의식 때문인지 요즘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인기가 없다고 한다. 하얗고 뽀얗게 화장을 하고 빨갛게 바른 립스틱이 인상적인 신부와 턱시도 차림보다 더 늠름해 보이는 신랑은 주말 오후쯤 하라주쿠에 있는 메이지신궁에 가면 운 좋은 날에 흔 구경할 수 있다고 한다.
-인전(人前) 결혼식-
인전 결혼식은 사람들 앞에서 친형제나 친척, 친구들을 증인으로 하여 식을 올리는 것으로 비용도 저렴하고 번거롭지 않다는 이점이 있다. 이 결혼식은 공민관과 같은 공적인 집회장을 주로 이용하기 때문에 공민관 결혼식이라고도 불린다.
<예식순서>
양가 가족, 친지들이 가운데 통로를 두고 서로 마주 보고 앉는다. 신랑가족은 통로의 왼쪽, 신부 가족은 통로의 오른쪽에 위치하며, 가슴에는 하얀색과 빨강 색의 꽃을 꼽고 있다. (하얀색은 신랑 측이고, 빨강 색은 신부 측이다.)
사회자의 사회에 따라 주례가 자리를 하고 난 뒤 신랑, 신부가 동시에 입장을 하게 되는데, 기모노의 복장으로 뒤쪽에서부터 양가 가족, 친지들이 마주보고 있는 통로를 따라 강단 앞으로 걸어 나간다.
주례에게 혼인서약을 하고 난 다음 혼주들로 하여금 자기 가족, 친지들을 상대가족에게 소개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신랑, 신부의 행진으로 결혼예식을 모두 마친 후 가족들의 기념촬영이 있다. 일본의 예식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약 20~ 30분 정도 소요된다.
예식 후 친척, 친구, 회사 동료 등이 모여 피로연이 열린다.
신랑신부는 대기실로 돌아가 대기를 하고, 입구에서는 하객들이 부조를 한다. 그 후 하객들을 배치표를 받아 자기 좌석에 앉게 된다. 예식에 참가했던 가족, 친지들도 준비된 좌석에 앉게 된다. 이때의 복장은 기모노가 가장 정식복장이고, 아니면, 여성은 원피스나 정정, 남성은 반드시 하얀 넥타이를 매야한다.
다시 사회자의 사회에 따라 신랑, 신부는 동시에 입장을 하게 된다. 복장은 기모노 복장이다. 피로연 중간 중간에, 신랑, 신부는 턱시도와 웨딩드레스 차림으로 갈아입었다가, 다시 연회복으로 갈아입는 등 의상을 바꿔 입는다. (피로연 도중에 신랑, 신부는 의상을 여러 번 갈아입는데 이를 \'오이나오시\'라 하며 수백 년 전부터 내려오는 관습이다. 최근에는 그 횟수가 줄었지만 그래도 평균 2.8벌의 의상을 입는다고 한다.)
지방에 따라 조금의 차이가 있으나 피로연은 2~3시간 진행되고, 피로연이 끝나고 나올 때는 引出物라는 결혼기념품을 참석한 모든 사람들에게 나눠준다.
④피로연
결혼식의 본식은 그다지 길지 않지만 결혼식의 연장이라 할 수 있는 피로연은 대개 2∼3시간 정도가 소요되며 그만큼 여유 있게 진행된다. 일본에서의 피로연은 신랑, 신부와 초대받은 손님들이 함께 맛있는 음식을 먹으며 신랑, 신부의 축복을 나누는 자리이다.
피로연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먼저 피로연 준비를 하는 동안 신랑, 신부는 대기실로 돌아가 대기하고, 입구에서는 하객들이 부조를 하고 좌석 배치표를 받아 자기 좌석에 앉게 된다. 예식에 참석했던 가족들과 친지들도 준비된 좌석에 앉게 된다. 사회자의 사회에 따라 신랑신부가 동시에 입장하고 신랑, 신부와 주빈의 소개가 끝나면 신랑 신부가 웨딩 케
  • 가격1,0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05.06.15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25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