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MRP의 의의
2. MRP의 기본구조
3. MRP의 유형
4. MRP의 목적 및 효과
5. MRP의 성공요인
6. MRP와 주문점시스템의 비교
7. MRP의 예
2. MRP의 기본구조
3. MRP의 유형
4. MRP의 목적 및 효과
5. MRP의 성공요인
6. MRP와 주문점시스템의 비교
7. MRP의 예
본문내용
. 또한 MRP의 범위를 더욱 확장하여 자금, 인력, 시설을 포함하는 모든 제조자원을 통합적으로 계획하고 통제하는 관리시스템이 등장하게 되었는데 이를 MRP의 확장된 시스템이라는 의미로 MRP II 혹은 제조자원계획(manufacturing resource planning)이라 한다.
2. MRP의 기본구조
MRP는 주일정계획(master production schedule), 자재명세서(bill of materials file), 재고기록철(inventory records file) 및 출력보고서(out-put record)와 긴밀하게 상호작용한다. 아래의 그림은 MRP의 기본적인 구조를 보여 주고 있다.
위의 그림에서 MRP시스템은 본질적으로 다음과 같이 움직인다. 제품수요의 예측과 고객의 확정된 주문에 의해 특정 기간 동안 생산되어야 하는 각 최종제품의 소요량과 소요시기를 나타내는 주일정계획을 수립한다. 자재명세서는 각 모품목의 생산에 소요되는 자재명과 단위당 소요량을 보여 준다. 재고기록철은 현보유재고량 및 발주되어 있는 양과 재고에 관한 자료를 제공한다. 주일정계획, 자재명세서 및 재고기록철은 MRP프로그램의 3대 입력자료가 되며, MRP프로그램은 이들을 처리하여 전체 생산과정에 대한 상세한 주문일정 계획을 출력한다.
(1) 주일정계획
총괄생산계획은 다음 단계에서 다시 세부 제품별, 기간별로 나뉘어져서 각 제품이 언제 얼마만큼 생산되어야 하는가를 나타내는 주일정계획(MPS : master production schedule)으로 분해된다. 따라서 주일정게획은 최종제품이 정확하게 언제 얼마만큼 생산되어야 하는가를 나타낸다. 그리고 주일정계획의 시간단위는 보통 주로 표시된다.
(2) 자재명세서
자재명세서(BOM : bill of materials file)는 제품이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를 보여 주기 때문에 흔히 제품구조철(product structure file) 또는 제품구조나무(product structure tree)라고 불기도 한다. 자재명세서는 최종제품으로부터 시작하여 각 상위품목 한 단위를 만드는 데 필요한 자재명과 소요량을 보여준다.
(3) 재고기록철
MRP시스템의 산출물인 구성품의 주문량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각 구성품의 재고현황을 파악하고 있어야 하는데 이 정보는 재고기록철에서 관리한다. 재고기록철에는 각 구성품의 보유량뿐만 아니라 등록번호, 기주문 구성품의 주문량과 납품기일, 럿크기 그리고 각 구성품의 리드타임 등이 포함된다.
3. MRP의 유형
(1) 재고통제시스템
주일정계획을 충족시키도록 재조주문과 구매주문을 적정한 시기에 발령하는 일종의 재고통제시스템(inventory control system)이다. 이 시스템은 적정한 시기에 주문을 함으로써 재공품과 원자재의 재고를 통제한다. 그러나 이 유형의 MRP시스템은 생산능력계획(capacity planning)은 포함하지 않는다.
(2) 폐쇄순환MRP시스템
제조기업의 재고와 생산능력을 계획하고 통제하는 일종의 정보시스템(information system)이다. 이 시스템에서는 부품전개(Parts explosion)의 결과 비롯되는 발주계획이 생산능력과 부합하는지를 검토하낟. 만약 생산능력이 충분하지 않다면 생산능력이나 주일정계획을 변경한다. 즉, 이 시스템에서는 생산능력에 맞도록 발주계획과 주일정계획 상호간에 피드백 과정이 일어난다. 이러한 시스템을 폐쇄순환MRP시스템이라 하며, 이 시스템은 재고와 생산능력 양쪽 모두를 통제한다.
(3) 제조자원계획(MRP II)
재고, 생산능력, 현금, 인력, 설비, 각종자본재 등 모든 제조자원을 계획하고 통제하는 데 사용한다. 이 경우 제조기업의 모든 자원
2. MRP의 기본구조
MRP는 주일정계획(master production schedule), 자재명세서(bill of materials file), 재고기록철(inventory records file) 및 출력보고서(out-put record)와 긴밀하게 상호작용한다. 아래의 그림은 MRP의 기본적인 구조를 보여 주고 있다.
위의 그림에서 MRP시스템은 본질적으로 다음과 같이 움직인다. 제품수요의 예측과 고객의 확정된 주문에 의해 특정 기간 동안 생산되어야 하는 각 최종제품의 소요량과 소요시기를 나타내는 주일정계획을 수립한다. 자재명세서는 각 모품목의 생산에 소요되는 자재명과 단위당 소요량을 보여 준다. 재고기록철은 현보유재고량 및 발주되어 있는 양과 재고에 관한 자료를 제공한다. 주일정계획, 자재명세서 및 재고기록철은 MRP프로그램의 3대 입력자료가 되며, MRP프로그램은 이들을 처리하여 전체 생산과정에 대한 상세한 주문일정 계획을 출력한다.
(1) 주일정계획
총괄생산계획은 다음 단계에서 다시 세부 제품별, 기간별로 나뉘어져서 각 제품이 언제 얼마만큼 생산되어야 하는가를 나타내는 주일정계획(MPS : master production schedule)으로 분해된다. 따라서 주일정게획은 최종제품이 정확하게 언제 얼마만큼 생산되어야 하는가를 나타낸다. 그리고 주일정계획의 시간단위는 보통 주로 표시된다.
(2) 자재명세서
자재명세서(BOM : bill of materials file)는 제품이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를 보여 주기 때문에 흔히 제품구조철(product structure file) 또는 제품구조나무(product structure tree)라고 불기도 한다. 자재명세서는 최종제품으로부터 시작하여 각 상위품목 한 단위를 만드는 데 필요한 자재명과 소요량을 보여준다.
(3) 재고기록철
MRP시스템의 산출물인 구성품의 주문량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각 구성품의 재고현황을 파악하고 있어야 하는데 이 정보는 재고기록철에서 관리한다. 재고기록철에는 각 구성품의 보유량뿐만 아니라 등록번호, 기주문 구성품의 주문량과 납품기일, 럿크기 그리고 각 구성품의 리드타임 등이 포함된다.
3. MRP의 유형
(1) 재고통제시스템
주일정계획을 충족시키도록 재조주문과 구매주문을 적정한 시기에 발령하는 일종의 재고통제시스템(inventory control system)이다. 이 시스템은 적정한 시기에 주문을 함으로써 재공품과 원자재의 재고를 통제한다. 그러나 이 유형의 MRP시스템은 생산능력계획(capacity planning)은 포함하지 않는다.
(2) 폐쇄순환MRP시스템
제조기업의 재고와 생산능력을 계획하고 통제하는 일종의 정보시스템(information system)이다. 이 시스템에서는 부품전개(Parts explosion)의 결과 비롯되는 발주계획이 생산능력과 부합하는지를 검토하낟. 만약 생산능력이 충분하지 않다면 생산능력이나 주일정계획을 변경한다. 즉, 이 시스템에서는 생산능력에 맞도록 발주계획과 주일정계획 상호간에 피드백 과정이 일어난다. 이러한 시스템을 폐쇄순환MRP시스템이라 하며, 이 시스템은 재고와 생산능력 양쪽 모두를 통제한다.
(3) 제조자원계획(MRP II)
재고, 생산능력, 현금, 인력, 설비, 각종자본재 등 모든 제조자원을 계획하고 통제하는 데 사용한다. 이 경우 제조기업의 모든 자원
추천자료
자재관리를 위한 수요예측
생산관리 - MRP ERP CALS EDI JIT
[A+평가 레포트]동두천시 관광자원 및 소요단풍문화제 현황
독일통일 사례에 기초한 통일후 북한지역 주택투자소요 추정
외식사업 식자재관리
BPR, ERP, SCM, CRM, KMS, MIS, MRP Ⅱ, IT, EC (전사적 자원관리 용어)
고려아연의 원자재 가격 변화에 따른 생산전략
창업 소요자금
[건축][건축 정의][건축 현실][건축 시공][건축 구조설계][건축 허가][건축 자재][건축 변화...
유아 생명 과학교육, 가을 곡식인 옥수수 알을 이용하여 팝콘을 만들어요(모의 수업 교육 활...
SNS통합 사진관리,포토북제작,개인메모 어플리케이션 제작업체 창업 사업계획서
자재관리에 대해서
초등학교 오케스트라 창단 적용 MRP
구매자재관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