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신조어의 특성
2. 한국과 중국의 사회문화현상에 따른 신조어
(1) IMF 및 동남아 지역의 금융위기와 그로 인한 고용의 불안정현
◎ 한국의 사회문화현상에 따른 신조어 ◎
◎ 중국의 사회문화현상에 따른 신조어 ◎
(2) 인터넷의 발달과 통신언어의 발달
◎ 한국의 사회문화현상에 따른 신조어 ◎
◎ 중국의 사회문화현상에 따른 신조어 ◎
(3) 휴대폰
◎ 한국의 사회문화현상에 따른 신조어 ◎
◎ 중국의 사회문화현상에 따른 신조어 ◎
(4) 한류문화
◎ 한국의 사회문화현상에 따른 신조어 ◎
◎ 중국의 사회문화현상에 따른 신조어 ◎
(5) 2002년 한ㆍ일 월드컵
◎ 한국의 사회문화현상에 따른 신조어 ◎
◎ 중국의 사회문화현상에 따른 신조어 ◎
(6) 노인문제
◎ 한국의 사회문화현상에 따른 신조어 ◎
◎ 중국의 사회문화현상에 따른 신조어 ◎
(7) 그 이외의 새로운 말, 말, 말
Ⅲ 결론
참고문헌
참고사이트
참고자료 첨부 - 2003년, 2004년 신어
Ⅱ본론
1. 신조어의 특성
2. 한국과 중국의 사회문화현상에 따른 신조어
(1) IMF 및 동남아 지역의 금융위기와 그로 인한 고용의 불안정현
◎ 한국의 사회문화현상에 따른 신조어 ◎
◎ 중국의 사회문화현상에 따른 신조어 ◎
(2) 인터넷의 발달과 통신언어의 발달
◎ 한국의 사회문화현상에 따른 신조어 ◎
◎ 중국의 사회문화현상에 따른 신조어 ◎
(3) 휴대폰
◎ 한국의 사회문화현상에 따른 신조어 ◎
◎ 중국의 사회문화현상에 따른 신조어 ◎
(4) 한류문화
◎ 한국의 사회문화현상에 따른 신조어 ◎
◎ 중국의 사회문화현상에 따른 신조어 ◎
(5) 2002년 한ㆍ일 월드컵
◎ 한국의 사회문화현상에 따른 신조어 ◎
◎ 중국의 사회문화현상에 따른 신조어 ◎
(6) 노인문제
◎ 한국의 사회문화현상에 따른 신조어 ◎
◎ 중국의 사회문화현상에 따른 신조어 ◎
(7) 그 이외의 새로운 말, 말, 말
Ⅲ 결론
참고문헌
참고사이트
참고자료 첨부 - 2003년, 2004년 신어
본문내용
도, 육이오 등 경기 침체에 따른 취업난과 높은 실업률을 반영하는 말이 특히 많았다. 너무나 당연하게도 \'말이 사회 현상을 반영\' 하고 있음을 여실히 증명한 셈이다.
656개 신어 중 가비네이터 로또 팰리스 폰카 블로거 등 외래어 외국어가 56.1%나 차지했고, 귀차니즘처럼 우리말에 영어 접사를 결합한 것도 많아 무분별한 외국어 선호 현상이 드러났다. 그런가하면 딸녀 즐감 등 우리말 어법에는 어긋나거나 부자연스러운 말도 지적됐다.
보고서는 \"신어는 사회 현상을 그대로 보여주는 거울이며 우리말 역사의 살아 있는 기록\"이라면서 \'월드컵이 열렸던 2002년의 신어가 밝은 분위기였던 데 반해, 2003년의 신어엔 어두운 색의 말이 많다\'고 밝혔다.
지난 해 월별로 선정된 대표 \'신어\'는 다음과 같다.
부시즘(1월), 로또공화국(2월), 검사스럽다(3월), 사스(4월), 산소방(5월), 더피족(6월), 플래시몹(7월), 네타티즘(8월), 웰빙족(9월), 딸녀(10월), 스와핑(11월), 몸짱(12월)등이다.
2003년에 새로 만들어져 쓰인 신조어를 어원과 뜻풀이, 출전 등을 밝힌 이 보고서는 경기 침체를 비롯해 지난 한해 우리 사회의 변화와 주된 관심사를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면 \'샐러던트\'라는 말은 샐러리맨(직장인)과 스튜던트(학생)의 합성어로 지난해 12월 우리 사회에서 처음 쓰인 말이다. 그런데 이 말은 \'공부하는 직장인\'이란 긍정적 의미보다는 직장에서 쫓겨날까 봐 걱정하는 샐러리맨들의 애환이 더 짙게 담겨 있다. 취업이 안된 대학생들을 가리킨\'대오\'(대학 오학년), \'캠퍼스 모라토리엄\'(졸업 유예) 같은 말도 같은 맥락이다.
총 656개의 신어에서 일반어와 전문어는 각각 448개(68.3%)와 208개(31.7%)이다. 이 가운데 전문어는 전문 분야별로 살펴봤을 때 사회, 운동 오락, 경제, 의학, 컴퓨터, 음악, 연극 영화 순으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정치, 법률 따위에 지대한 관심을 가졌던 이전과 달리 현대 사회의 일반인이 문화 일반과 경제에 대하여 더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실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2004년 여러 분야별 신조어>
사회 분야
\'기러기 엄마\', \'로또 공화국(lotto共和國)\', \'메뚜기 가족(---家族)\', \'묻지마 재수(---再修)\', \'삼육구 증후군(三六九症候群)\', \'일하기싫어병(-----病)\', \'캠퍼스 모라토리엄족(campus moratorium族)\', \'트렌드 워처(trend watcher)\', \'페트 신드롬(pet syndrome)\', \'피 세대(P世代)\', \'호모 테인스(Homo tains)\' 따위처럼 사회의 이러저러한 현상을 반영하는 각종 신드롬(증후군)과 관련된 신어가 여럿 생겨났다.
운동 오락 분야
\'리권( rhythm+跆拳)\', \'마운틴보드(mountain board)\', \'보디 보딩(body boarding)\', \'세레나 슬램( Serena Williams+grand slam)\', \'슛 온 골(shoot on goal)\', \'스카이서핑(sky surfing)\', \'야마카시(yamakasi)\', \'엑스게임(Xgame)\', \'태보( 跆拳道+boxing)\', \'펀약킹( fun+kayaking)\', \'헬기스키( helicopter機 ski)\', \'헬리보드( helicopter+board)\' 따위처럼 새로운 스포츠나 레저를 가리키는 신어가 생겨났다. 이러한 신종 스포츠나 레저는 격주 토요 휴무제나 주 5일 근무제의 실시로 \'신주말(新週末)\'의 개념이 생성된 것과 관련이 있다. 왜냐하면 여가 시간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여가를 즐길 수 있는 대상이 더 많이 필요해지게 되었기 때문이다.
경제 분야
\'금테크(金tech)/노테크(老tech)\', \'트리플딥(tripledip)/멀티딥(multidip)\', \'스마트 소비(smart消費)\', \'일 퍼센트 마케팅(一percent marketing)\', \'임금 피크제(賃金peak制)\', \'체리 피커(cherry picker)\', \'커리어 코치(career coach)\', \'퍼널리스트( fundmanager+analyst)\', \'펀듀랑스( fund+assurance)\' 따위의 신어가 생겨났다. 이는 경제적 사고 방식이나 활동이 기업가뿐만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무척 중요해진 데 따른 것이다.
의학 분야
\'리마 증후군(Lima症候群)/스톡홀름 증후군(Stockholm症候群)\', \'사스(SARS)\', \'사십견(四十肩)/삼십견(三十肩)\', \'슈퍼전파자(super傳播者)\', \'아쿠아 치료(aqua治療)\' 따위의 신어가 생겨났다. 지난 2003년 상반기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가 \'사스(SARS)\' 공포에 휩싸인 데다가 현대인이 \'웰빙(wellbeing)\' 생활을 제대로 영위하기 위한 요건의 하나로 건강이 중요하게 인식된 데 따른 것이다.
컴퓨터 분야
\'블로그( web+log)/모블로그( mobile+blog)\', \'베이퍼웨어(vaporware)\', \'욕티즌( 辱+netizen)\',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 \'이스터에그(Easter egg)\' 따위처럼 1990년대 중반 이후 본격적으로 보급되어 이용되기 시작한 인터넷과 관련된 신어가 여럿 생겨났다. 컴퓨터와 인터넷은 현대인이라면 필수적으로 익혀서 이용해야 하는 대상이 된 지 이미 오래다.
음악 연극 영화 분야
\'비르투오시티(virtuosita)\', \'스윙커페이션( swing+syncopation)\', \'아프로킹( Afrobeat+king)\', \'에스에이시디(SACD)\', \'유니버설 플레이어(universal player)\' 따위와 \'멀티메이션( multilayered animation)\', \'사이콤( psycho+sitcom)\', \'요신(-scene)\', \'커팅콜(cutting call)\', \'티에이치엑스(THX)\' 따위와 같은 신어가 생겨났다. 이 또한 여가 시간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여가를 즐길 수 있는 대상이 더 많이 필요해지게 된 것과 관련된다. 게다가 각각의 분야에서 새로운 장르와 기술이 새로이 만들어지거나 개발되어 그것과 관련된 신어가 여러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656개 신어 중 가비네이터 로또 팰리스 폰카 블로거 등 외래어 외국어가 56.1%나 차지했고, 귀차니즘처럼 우리말에 영어 접사를 결합한 것도 많아 무분별한 외국어 선호 현상이 드러났다. 그런가하면 딸녀 즐감 등 우리말 어법에는 어긋나거나 부자연스러운 말도 지적됐다.
보고서는 \"신어는 사회 현상을 그대로 보여주는 거울이며 우리말 역사의 살아 있는 기록\"이라면서 \'월드컵이 열렸던 2002년의 신어가 밝은 분위기였던 데 반해, 2003년의 신어엔 어두운 색의 말이 많다\'고 밝혔다.
지난 해 월별로 선정된 대표 \'신어\'는 다음과 같다.
부시즘(1월), 로또공화국(2월), 검사스럽다(3월), 사스(4월), 산소방(5월), 더피족(6월), 플래시몹(7월), 네타티즘(8월), 웰빙족(9월), 딸녀(10월), 스와핑(11월), 몸짱(12월)등이다.
2003년에 새로 만들어져 쓰인 신조어를 어원과 뜻풀이, 출전 등을 밝힌 이 보고서는 경기 침체를 비롯해 지난 한해 우리 사회의 변화와 주된 관심사를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면 \'샐러던트\'라는 말은 샐러리맨(직장인)과 스튜던트(학생)의 합성어로 지난해 12월 우리 사회에서 처음 쓰인 말이다. 그런데 이 말은 \'공부하는 직장인\'이란 긍정적 의미보다는 직장에서 쫓겨날까 봐 걱정하는 샐러리맨들의 애환이 더 짙게 담겨 있다. 취업이 안된 대학생들을 가리킨\'대오\'(대학 오학년), \'캠퍼스 모라토리엄\'(졸업 유예) 같은 말도 같은 맥락이다.
총 656개의 신어에서 일반어와 전문어는 각각 448개(68.3%)와 208개(31.7%)이다. 이 가운데 전문어는 전문 분야별로 살펴봤을 때 사회, 운동 오락, 경제, 의학, 컴퓨터, 음악, 연극 영화 순으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정치, 법률 따위에 지대한 관심을 가졌던 이전과 달리 현대 사회의 일반인이 문화 일반과 경제에 대하여 더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실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2004년 여러 분야별 신조어>
사회 분야
\'기러기 엄마\', \'로또 공화국(lotto共和國)\', \'메뚜기 가족(---家族)\', \'묻지마 재수(---再修)\', \'삼육구 증후군(三六九症候群)\', \'일하기싫어병(-----病)\', \'캠퍼스 모라토리엄족(campus moratorium族)\', \'트렌드 워처(trend watcher)\', \'페트 신드롬(pet syndrome)\', \'피 세대(P世代)\', \'호모 테인스(Homo tains)\' 따위처럼 사회의 이러저러한 현상을 반영하는 각종 신드롬(증후군)과 관련된 신어가 여럿 생겨났다.
운동 오락 분야
\'리권( rhythm+跆拳)\', \'마운틴보드(mountain board)\', \'보디 보딩(body boarding)\', \'세레나 슬램( Serena Williams+grand slam)\', \'슛 온 골(shoot on goal)\', \'스카이서핑(sky surfing)\', \'야마카시(yamakasi)\', \'엑스게임(Xgame)\', \'태보( 跆拳道+boxing)\', \'펀약킹( fun+kayaking)\', \'헬기스키( helicopter機 ski)\', \'헬리보드( helicopter+board)\' 따위처럼 새로운 스포츠나 레저를 가리키는 신어가 생겨났다. 이러한 신종 스포츠나 레저는 격주 토요 휴무제나 주 5일 근무제의 실시로 \'신주말(新週末)\'의 개념이 생성된 것과 관련이 있다. 왜냐하면 여가 시간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여가를 즐길 수 있는 대상이 더 많이 필요해지게 되었기 때문이다.
경제 분야
\'금테크(金tech)/노테크(老tech)\', \'트리플딥(tripledip)/멀티딥(multidip)\', \'스마트 소비(smart消費)\', \'일 퍼센트 마케팅(一percent marketing)\', \'임금 피크제(賃金peak制)\', \'체리 피커(cherry picker)\', \'커리어 코치(career coach)\', \'퍼널리스트( fundmanager+analyst)\', \'펀듀랑스( fund+assurance)\' 따위의 신어가 생겨났다. 이는 경제적 사고 방식이나 활동이 기업가뿐만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무척 중요해진 데 따른 것이다.
의학 분야
\'리마 증후군(Lima症候群)/스톡홀름 증후군(Stockholm症候群)\', \'사스(SARS)\', \'사십견(四十肩)/삼십견(三十肩)\', \'슈퍼전파자(super傳播者)\', \'아쿠아 치료(aqua治療)\' 따위의 신어가 생겨났다. 지난 2003년 상반기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가 \'사스(SARS)\' 공포에 휩싸인 데다가 현대인이 \'웰빙(wellbeing)\' 생활을 제대로 영위하기 위한 요건의 하나로 건강이 중요하게 인식된 데 따른 것이다.
컴퓨터 분야
\'블로그( web+log)/모블로그( mobile+blog)\', \'베이퍼웨어(vaporware)\', \'욕티즌( 辱+netizen)\',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 \'이스터에그(Easter egg)\' 따위처럼 1990년대 중반 이후 본격적으로 보급되어 이용되기 시작한 인터넷과 관련된 신어가 여럿 생겨났다. 컴퓨터와 인터넷은 현대인이라면 필수적으로 익혀서 이용해야 하는 대상이 된 지 이미 오래다.
음악 연극 영화 분야
\'비르투오시티(virtuosita)\', \'스윙커페이션( swing+syncopation)\', \'아프로킹( Afrobeat+king)\', \'에스에이시디(SACD)\', \'유니버설 플레이어(universal player)\' 따위와 \'멀티메이션( multilayered animation)\', \'사이콤( psycho+sitcom)\', \'요신(-scene)\', \'커팅콜(cutting call)\', \'티에이치엑스(THX)\' 따위와 같은 신어가 생겨났다. 이 또한 여가 시간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여가를 즐길 수 있는 대상이 더 많이 필요해지게 된 것과 관련된다. 게다가 각각의 분야에서 새로운 장르와 기술이 새로이 만들어지거나 개발되어 그것과 관련된 신어가 여러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추천자료
중국의 식문화, 중국음식의 일반적인 특성, 지역적 특성, 지역적 특성, 역사 및 한국 속의 중...
[한중관계][한중경제협력][한중경제교류][한국과 중국의 경제협력]한중관계의 발전과정, 한중...
[신화][일본 신화][이집트 신화][인도 신화][중국 신화][한국 신화][신화 사례]일본의 신화, ...
[자동차보험][보험][한국][중국][일본][한국의 자동차보험][중국의 자동차보험][일본의 자동...
[설화][한국의 설화 사례][일본의 설화 사례][인도의 설화 사례][중국의 설화 사례][한국][일...
한국 중소기업 중국시장 진출 성공사례, 성공요인, 성공전략, 경영전략, 실패사례, 중국투자,...
2001년(2000년대)의 정보화, 2001년(2000년대)의 세계경제, 2001년(2000년대)의 한국경제, 20...
2003년(2000년대)의 산업동향과 세계경제, 2003년(2000년대)의 한국경제와 중국경제, 2003년(...
[관료제, 미국 관료제, 프랑스 관료제, 일본 관료제, 중국 관료제, 한국 관료제, 미국, 프랑...
[IT, 정보기술, 미국, 스웨덴, 중국, 한국, 북한, 싱가포르]미국의 IT(정보기술), 스웨덴의 I...
[기록보존제도, 미국 기록보존제도, 영국 기록보존제도, 프랑스 기록보존제도, 한국, 중국]미...
[복합동사, 복합동사 원리, 한국어 복합동사, 중국어 복합동사, 일본어 복합동사, 한국어, 중...
[관광학원론] 중국 투자자들을 위한 리조트 기획안 (리조트의 정의, 리조트의 유형, 리조트와...
생활속의경제,위안화평가절하,최근 중국은 달러화에 대해 자국의 위안화 가치를 평가절하 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