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경 진풍 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경 진풍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詩經』이란?
1. 『詩經』
2. 『詩經』에 대한 고대의 인식
3. 『詩經』의 예술적 특징
4. 『詩經』이 후대에 미친 영향
5. 『詩經』을 읽어야 하는 이유

Ⅱ. 國風이란?

Ⅲ. 秦과 秦風
1. 秦의 역사
2. 秦風

Ⅳ. 秦風의 시와 풀이
①小戎
②蒹葭
③晨風
④車鄰
⑤終南
⑥無衣
⑦渭陽
⑧駟驖
⑨黃鳥
⑩權輿

Ⅴ. 맺음말

본문내용

남게 앉아 있네.
誰從穆公? 누가 목공을 따라 갔나.
子車鍼虎. 자거씨의 침호라네.
維此鍼虎, 여기 이 침호께선
百夫之禦. 백 사람을 물리치네.
臨其穴, 묘혈에 들어갈 때,
其慄. 두려워서 떨었겠지.
彼蒼者天, 저 푸른 하늘이여,
殲我良人! 저 좋은 분 왜 앗아가.
如可贖兮, 대신할 수 있다면야
人百其身! 交交黃鳥, 止于棘. 誰從穆公? 子車奄息. 維此奄息, 百夫之特. 臨其穴 其慄 彼蒼者天, 殲我良人, 如可贖兮 人百其身.
興. 交交는 날아서 왕래하는 모양이다. 穆公을 따른다는 것은 따라 죽음이다. 子車는 氏요 奄息은 이름이다. 特은 傑出함을 칭한 것이다. 穴은 壙이다. 慄은 두려움이요, 殲은 다함이요, 良은 善함이요, 贖은 바꿈이다. 秦穆公이 卒함에 子車氏의 세 자식을 殉葬하니 무두가 秦나라의 賢良이었다. 國人들이 슬퍼하여 黃鳥를 읊으니 일이 {春秋傳}에 보이니, 바로 이 詩이다. "交交하는 黃鳥는 가시나무에 앉는다. 누가 穆公을 쫓는가. 子車奄息이로다."라 말하였으니, 아마도 본 바를 인하여 興을 일으킨 성싶다. 구덩이에 임하여 두려워함은 산채로 壙안에 넣음이다. 세 사람이 모두 나라의 賢良인데 하루아침에 죽이니, 만약 다른 사람으로 바꿀 수 있을진댄 모두 백번이라도 그 몸을 바꾸기를 원한 것이다.
交交黃鳥 止于桑 誰從穆公 子車仲行 維此仲行 百夫之防 臨其穴 其慄彼蒼者天 殲我良人 如可贖兮 人百其身
興. 防은 감당함이니 한 사람으로 百사람을 감당함을 말한 것이다.
交交黃鳥 止于楚 誰從穆公 子車鍼虎 維此鍼虎 百夫之禦 臨其穴 其慄彼蒼者天 殲我良人 如可贖兮 人百其身
興. 禦는 當과 같다.
백번 죽어 대신하리.
⑩權輿<權輿> 이야기
漢나라 楚元王이 申公과 白公`穆生을 공경되게 禮遇하여 穆生이 술을 좋아하지 않거늘 元王이 매양 술을 둘 적에 일찍이 穆生을 위하여 단 술을 두었는데, 王戊가 즉위함에 항상 베풀다가 나중에 베푸는 것을 잊었다. 穆生이 물러나며 말하기를 "가히 떠남직하다. 醴酒가 없으니 왕의 뜻이 태만한 것이다. 떠나지 않는다면 楚나라 사람들이 장차 나를 시장에서 목사슬을 맬 것이다."라 하고 드디어 질병으로 핑계하였다. 申生과 白公이 강면하며 말하기를 "유독 先王의 덕을 생각지 않는가. 지금 왕이 하루아침에 작은 禮를 잃은 것인데 어찌 족히 이에 이르는가."라 하자, 穆生이 말하기를 "先王이 우리 세 사람을 禮遇한 것은 道가 있었기 때문이니 지금 소홀히 한다면 이는 道를 잃은 것일세. 道를 잊은 사람을 어찌 함께 오래도록 處하면서 區區한 禮를 하겠소."라 하고 드디어 병을 핑계하여 떠나가니, 또한 이 詩의 뜻이다.
새로운 임금으로 바뀌자 구 관료였던 자신들의 위치가 불안해졌다. 이에 대한 불만을 토로한 것이다.
於, 我乎! 아~ 옛날이여!
夏屋渠渠, 옛 임금께서는 우리를 융숭한 대접하셨는데.
今也 지금은
每食無餘. 끼니때마다 남는 게 없네.
于嗟乎! 아아~!
不承權輿! 처음과는 달라지셨네.
於, 我乎! 아~ 옛날이여!
每食四, 옛 임금께서는 우리에게 끼니마다 성찬을 베푸시더니
今也 지금은
每食不飽. 끼니때마나 배부르지도 않네.
于嗟乎! 아아~!
不承權輿!於, 我乎! 夏屋渠渠, 今也 每食無餘. 于嗟乎! 不承權輿!
賦. 夏는 큼이다. 渠渠는 깊고 넓은 모양이다. 承은 이음이다. 權輿는 처음이다. 이것은 그 임금이 처음 넓고 큰 집을 얻어서 현자를 대접하였는데, 그 뒤에 禮意가 점점 쇠하고 供億이 薄해져서 현자에 이르러서도 매양 먹을 적에 남김이 없었다. 이에 탄식하여 능히 그 처음을 잇지 못함을 말한 것이다.
於, 我乎! 每食四, 今也 每食不飽. 于嗟乎! 不承權輿!
賦. 는 질그릇이니, 한 되 2升을 담는다. 모난 것을 라 하고 둥근 것을 라 하는데, 四 는 禮食의 盛함이다.
처음과는 달라지셨네.
Ⅴ. 맺음말.
秦風은 진나라의 노래로 그 노래의 분위기가 통일된 진나라의 모습 또한 담고 있는 듯 하다. 나는 진풍의 시 10수를 살펴보면서 그 노래의 대부분이 왕실을 찬미하거나, 그렇지 않더라고 왕실과 관계된 시들이 대부분이라고 생각했다. 국풍은 민간에서 떠돌던 노래를 모은 것인데 민간에서 떠돌던 노래에 이렇듯 국가 전체적인 일들이 관계된 노래가 많다는 것은 그 나라의 분위기 또한 이러한 분위기가 아니었을까 생각해보게 되었다.
진풍의 시 중에서 약 7편이 왕실에, 혹은 벼슬에 관계된 내용이고, 나머지 3편만이 애정시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한 나라의 민간에서부터 이러한 모습들이 즐비했다는 것으로 보아서 진나라 통일한 것은 어쩌면 이전부터 당연히 그렇게 돌아가게 되었던 것이 아닌가 생각했다.
진풍의 시 중에서 특히 無衣라는 시가 참 마음에 들었다. 이 시는 단결된 모습과, 애국정신을 보여주는데, 마치 우리가 2002년에 붉은 악마가 되어 하나로 뭉쳤을 때의 모습을 보는 것 같아서 꼭 승리할 수 있을 것이라는 느낌과 함께, 그 때의 기분이 생각나서 참 기분이 좋았다.
그리고 黃鳥는 참 마음에 안 들었다. 예전에 배워서 그 내용은 미리 알고 있었지만, 아무리 왕이라고 해도 자신의 신하들을 170명이나 순장을 시키다니, 진 나라의 내세 사상은 진시황제 이전에도 심각하게 존재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병마용을 순장시킨 진시황이나, 사람을 순장시킨 진목공이나 자신의 권력에 대한 욕심이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시경은 단지 문학 작품이기만 할 뿐이지, 그것이 어떻게 역사적으로 사료적인 가치를 가질 수 있을까 생각했는데, 진풍의 시들을 살펴보면서 그것이 충분히 시대적인, 그리고 사회적인 모습을 담을 수 있고, 그로 인해서 우리가 그 시대의 상황을 알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그리고 다른 제후국들의 시들도 자세히 살펴보면 그 나라의 상황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시경을 한 학기동안 배운 지금, 나는 시경에 대해서 누가 산시를 했는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시경에서 우리가 무엇을 볼 수 있고, 그로 인해 무엇을 깨닫고, 그 깨달음을 현세에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를 생각하는 편이 더 시경을 연구하는 데에 올바른 자세가 아닐까 생각한다. 그리고 그동안 연구가 많이 되었다는 핑계로 가볍게만 대하던 시경을 이제는 다시 자세히 봐야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키워드

진풍,   진의 역사,   시경,   국풍,   황조,   종남,   서융,   거린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5.06.18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31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