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현대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의 현대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중국공산당의 성립과 1차 국공합작
1. 5.4 운동
2. 중국공산당의 창당
3. 제 1 차 국공합작

모택동사상의 형성과정
1.남창(南昌)봉기와 추수(秋收)봉기
2.농촌 혁명근거지 형성

본문내용

0% 좌우, 부농이 5%, 지주 5%, 그러나 부농과 지주가 차지하고 있는 경지면적은 70%-80%나 되었다.
1928년 12월에 제정된 정강산토지법(井崗山土地法)은 모든 토지를 일괄 몰수하여 인구수에 따라서 획일적으로 분배하고, 토지의 소유권은 정부에 속한 것으로 규정되었다. 이러한 규정은 농민들이 원래 경작하고 있던 토지를 빼앗기고 타인의 토지에서 그것도 소유권이 없이 경작하는 것이 불만이었다. 모택동은 정강산을 내려와 흥국(興國)에 근거지를 건립한 뒤, 중공 제6차 전국대표대회의 정신에 근거하여, 1929년 4월 흥국토지법(興國土地法)을 제정하였다. 이 법은 정강산토지법을 개정하여 지주계급의 토지를 몰수하고, 부농의 농지 중에 부농들의 양식을 지을 수 있는 농지 외의 여분의 농지는 빈농 군중의 요구가 있을 때에 몰수한다고 규정하였다. 일반 경작자는 초과 부분만 몰수하고, 부족한 부분은 보충하였다. 모택동은 부농을 적으로 돌리면 혁명의 확대에 장애가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1931년 2월 모택동은 중앙혁명군사위원회 총 정치부 주임의 명의로 강서성 소비에트정부에 보낸 편지에서, 농지의 임대차와 매매는 자유롭게 하여야 하며, 재산은 토지세로 징수하는 것 외에는 농민의 소유로 해야한다고 지적했다.
모택동은 농민을 혁명의 주체세력으로 동원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토지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야 한다고 생각하여, 정강산 토지법의 비현실적이고 급진적인 정책을 점차적으로 수정하여 갔다. 1928년 7월 코미테른 제6차 대회에서, 세계적으로 소자산계급을 기초로 한 중간세력이 반혁명으로 전환한다고 인식하여, 이를 응용한 중공 중앙에서도 혁명의 주체를 노농대중에 한정하여 중간계층을 적대시하는 중간세력 타격론을 제시하였다. 이에 부농도 중간세력으로 간주하여, 모택동의 토지정책을 "부농노선"이라 칭하면서 비판하였다.
모택동이 정강산에 근거지를 마련한 후에 우수한 장비와 많은 병력을 가진 국민당군과의 전투에서 16자전법 등의 유격전술의 원칙을 확립하였다. "적이 공격해 오면 우리는 물러서고, 적이 주둔하면 우리는 교란하고, 적이 피로하면 우리는 공격하고, 적이 물러서면 우리는 추격한다〔敵進我退, 敵駐我擾, 敵疲我打, 敵退我追〕"는 원칙으로, 군사력의 열세를 우세로 전환시켜 군민당군을 격퇴시킨 것이다.
모택동의 유격전술은 이립삼과 유소파에게 게릴라주의라고 비난당했다. 홍군도 몇십만을 가진 상태에서 국민당군과 전투에서 정규전을 피하고 유격전술을 쓴다는 것은 도피주의로 생각했다. 따라서 그들은 모택동의 유격전술을 반대하고 "주요도시의 점령"과 "모든 전선의 공격" 등을 주장했다.
각주 / 미주
1) 1919년 당시 북경의 군벌정부와 손문선생이 이끄는 광동정부가 대치하고 있었지만, 외국의 승인을 받는 정부는 북경군벌정부였다.
2)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자, 1915년 일본은 원세개에게 "21개조"를 요구하였다. 그 내용은 제1항목은 모두 4개조로 산동성의 권익에 관하여 일본이 독일과 협정을 맺는 경우 중국정부는 모두 승인. 제2항목은 7개조로 남만주와 동부 내몽고에 있는 이권을 요구. 제3항목은 2개조로 한야평공사(漢治萍公司)의 합작경영. 제4항목은 1개조로 중국의 연해에 있는 도서와 항만은 타국에 양도하거나 조차할 수 없다. 제5항목은 7개조로 중국정부에 일본인 정치 군사 재정고문을 둘 것 등등이다. 원세개는 5월7일 제5항목을 삭제하고 나머지 부분을 수락하였다. 이에 중국 국민은 격분하여 5월 7일을 국치일(國恥日)로 삼았다.
3) 조여림은 21개조 조약체결 시 외무총장, 장종상은 당시 주일공사, 육종여는 21개조 체결 시 주일공사로서 모두 친일파이다.
4) 코민테른은 Communist international의 합성어이고, 제3국제(The third international)이라고도 한다. 중국에서는 공산국제라 한다. 코민테른은 1919년 3월 20여개 국가의 대표 52명이 모스크바에서 레닌의 주도하에 결성되었다.
5) 중국공산당의 창당일자에 대해서는 많은 설이 있다. 7월 1일, 7월 20일, 7월 23일. 현재 중국공산당에서는 7월 23일로 본다. 7월 20일은 제1차 전국대표회의에 참석한 진공박(陳公博)이 1924년 미국 Columbia대학에서 제출한 석사논문의 자료에 의한 것으로, 1960년에야 Columbia대학 도서관에서 발견되었다.
6) 민주집중제란 공산당의 근본적인 조직원칙이다.
기본원칙은, ① 당원 개인은 조직에게 복종하고
② 소수는 다수에게 복종하고
③ 하급조직은 상급에게 복종하고
④ 전당의 각 조직과 전체 당원은 당의 전국대표대회와 중앙위원회에
복종해야 한다.
7) 사인(私人)이 소유하는 토지는 소유주가 평가하여 국가에 신고하고, 국가는 그 가격을 근거로 징세하며, 또한 신고가격에 의거하여 이를 매수할 수 있다. 이것은 소유의 균등을 이루고, 지가상승으로 불로 소득을 막기 위한 정책.
8) 기업의 자본독점을 제한하는 정책으로 대규모의 산업은 모두 국유화시킨다.
9) 서산회의는 1925년 11월 23일 북경 서산 벽운사(碧雲寺)의 손문영전에서 국민당의 우파들이 모여 중앙위원회를 열어 공산당 당원의 국민당 당적취소, 보르딘의 고문직해제, 왕정위의 탄핵 등을 결의하였다. 이 회의에 참석한 자를 서산회의파라 한다.
10) 전적위원회란 어떤 지역에서 무장봉기 내지 중대한 전투의 집중되고 통일된 지도를 강화하기 위해 설립된 당의 고급지도기관.
11) 8월 1일은 공산당이 처음 독립적으로 군대를 동원하여 남창봉기를 일으킨 것을 기념하기 위해 중국인민해방군의 건군기념일로 지정했다.
12) 공사(公社)란 코뮌의 의역(意譯).
13) 소비에트의 뜻은 회의 혹은 대표회의. 소비에트가 최초로 출현한 것은 러시아에서 1905 1907년 혁명시기에 무산자 계급이 군중을 지도하여 혁명투쟁을 수행한 조직형식. 1927년 소련공산당 전체회의에서 트로츠키가 중국에서 즉각 소비에트의 건립을 요구했을 때 스탈린이 반박하기를, 소비에트는 아무 때나 건립하는 것이 아니라 혁명의 분위기가 무르익을 때 건립해야 하고, 현정권에 투쟁하는 기관이며 현정권을 탈취하는 기관으로 성립하여야한다고 주장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06.19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32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