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제 동기 및 조사 방법
2. 국어의 특징
3. 결론
4. 참고문헌
2. 국어의 특징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서 발음되는 소리이다. 그 예로는 ‘ㄱ, ㅋ, ㅇ’이 있다. 마지막으로 후음은 성문에서 두 성대에 의해 만들어 지는 자음으로 ‘ㅎ’가 있다. 조음 방식에 따라서는 폐쇄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이 있다. 폐쇄음은 숨이 한번 막혔다가 파열되어 내는 자음 파열음이라고도 한다. ‘ㄱ, ㄷ, ㅂ’가 있고 중세 국어에서 여린히읗(ㆆ)이 이에 해당된다. 마찰음은 발음이 좁은 통로 사이를 빠져 나가면서 마찰을 일으키며 나는 자음으로 ‘ㅅ, ㅆ’가 있다. 파찰음은 폐쇄음과 마찰음의 두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어 일단 폐쇄되는 과정을 가지나 파열음처럼 한 번에 터지지 않고 마찰을 일으키는 자음을 말하며 ‘ㅈ, ㅊ, ㅉ’가 있다. 위의 발음은 구강을 통해서 나는 소리이며 이 밖에도 비강을 이용하여 내는 자음으로 유음과 비음이 있다. 유음은 ‘ㄹ’과 같이 혀끝을 윗잇몸에 대면서 가운데 쪽의 통로는 막고 혀의 양쪽으로 기류를 보내는 소리이다. 그러나 유음은 ‘달, 활동’과 같이 그 상태를 유지하는 자음을 설측음, ‘다리, 얼음’과 같이 한 번 대었다 떼는 자음을 설타음, 그리고 [r]과 같은 발음은 설전음으로 나뉜다. 비음은 ‘ㅁ,ㄴ,ㅇ’과 같이 폐쇄음과 같은 방식으로 발음하나 비강으로 숨이 어느 정도 들어가기 때문에 파열 정도가 크지 않다. 모음으로는 혀의 위치(혀의 높낮이, 혀의 전후)와 입술모양에 따라 나뉜다. 먼저 혀의 높낮이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으로 나누고 혀의 전후로는 전설모음과 후설모음으로, 입술 모양으로 평순모음과 원순모음으로 나뉜다. 또한 모음은 단모음과 이중모음체계로 나뉘는데 모음의 체계는 다음과 같다.
<표 1>
j계
ㅑ, ㅕ, ㅛ, ㅠ, ㅒ, ㅖ
w계
ㅘ, ㅝ, ㅙ, ㅞ
계
ㅢ
<단모음 체계> <이중모음 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ㅣ
ㅟ
ㅡ
ㅜ
중모음
ㅔ
ㅚ
ㅓ
ㅗ
저모음
ㅐ
ㅏ
국어에는 일정한 음운 규칙이 있다. 먼저 어두 및 음절 초에는 어느 정도 제약이 있는데 이것을 두음법칙이라고 한다. 국어에는 ng로 시작되는 단어가 없다. 또한 라디오, 로케트 같은 외래어나 라면 같은 신조어를 제외하고는 어두에 ‘ㄹ’이 오기 어렵다. ‘ㄴ’도 뒤에 ‘ㅣ, ㅑ, ㅕ, ㅛ’ 등이 올 때 어두에 오기 어려워 주로 ‘ㅇ’을 쓴다. 음절 말에 오는 자음도 ‘ㄱ, ㄴ, ㄷ, ㄹ, ㅁ, ㅂ, ㅇ’으로 한정되어 있는데 이것을 중화 현상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옷, 꽃’의 경우 발음을 하면 ‘
<표 1>
j계
ㅑ, ㅕ, ㅛ, ㅠ, ㅒ, ㅖ
w계
ㅘ, ㅝ, ㅙ, ㅞ
계
ㅢ
<단모음 체계> <이중모음 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ㅣ
ㅟ
ㅡ
ㅜ
중모음
ㅔ
ㅚ
ㅓ
ㅗ
저모음
ㅐ
ㅏ
국어에는 일정한 음운 규칙이 있다. 먼저 어두 및 음절 초에는 어느 정도 제약이 있는데 이것을 두음법칙이라고 한다. 국어에는 ng로 시작되는 단어가 없다. 또한 라디오, 로케트 같은 외래어나 라면 같은 신조어를 제외하고는 어두에 ‘ㄹ’이 오기 어렵다. ‘ㄴ’도 뒤에 ‘ㅣ, ㅑ, ㅕ, ㅛ’ 등이 올 때 어두에 오기 어려워 주로 ‘ㅇ’을 쓴다. 음절 말에 오는 자음도 ‘ㄱ, ㄴ, ㄷ, ㄹ, ㅁ, ㅂ, ㅇ’으로 한정되어 있는데 이것을 중화 현상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옷, 꽃’의 경우 발음을 하면 ‘
추천자료
중세국어의 자료 및 특징
중세국어 피·사동의 용례 및 특징
드라마 '궁'에 나타난 국어표현의 특징
[한어][중국어][상고한어][상고중국어]한어(중국어)의 특징, 한어(중국어)의 실사와 실형태소...
정신지체아교육의 특징, 정신지체아교육의 목적, 정신지체아교육의 국어교육과 지역사회중심...
EBS교육방송의 의의, EBS교육방송의 특징, EBS교육방송의 공익적기능, EBS교육방송과 국어교...
[국어] 문법과 언어 (한국어문법1) - 문법, 언어의 특징
용비어천가 제123장에 나타난 15세기 국어의 특징 분석
용비어천가 제120장에 나타난 15세기 국어의 특징 분석
3)국어-차근차근 하나씩-안내문과 설명서의 특징(세안)
[국어국문학과 공통] 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를 직접 수집, ...
국어국문학과=언어와생활=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를 직접 수집ㆍ...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