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배드민턴의 기원 및 발전
2. 우리나라에서의 배드민턴
3. 배드민턴의 특징
4. 세계 선수권 대회
5. 용구
6. 시설
7. 그립(Grip)
무산소운동과 유산소운동운동
2. 우리나라에서의 배드민턴
3. 배드민턴의 특징
4. 세계 선수권 대회
5. 용구
6. 시설
7. 그립(Grip)
무산소운동과 유산소운동운동
본문내용
① 근육의 발달 유지
② 관절의 자율성
③ 심장과 혈관의 보유력
④ 신경계의 발달
⑤ 호흡순환계의 발달
⑥ 전신지구력 향상 및 유지
2) 정신적 건강의 유지 및 증진
①파괴적 욕구의 해소
② 정신적인 스트레스 해소
③ 사회적 건강유지 및 증진
3) 네트를 가운데 두고 신체적인 접촉 없이 행하여지는 운동으로
① 신사적인 인간성의 함양에 도움을 주며,
② 가족, 직장 등의 집단 속에서 언제 어디서나 쉽게 할 수 있다.
4) 고령자도 손쉽게 행할 수 있고 또 위험성도 적다.
5) 레크리에이션으로써 적합한 운동량이다.
6) 실내경기이기 때문에 계절에 구애됨이 없이 행할 수 있다.
7) 좁은 장소에서도 여러 사람이 함께 즐길 수 있다.
8) 개인의 신체적 특성에 따라 운동량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9) 시설과 용구에 큰비용이 들지 않는다.
4. 세계 선수권 대회
1939년에는 국제 배드민턴 규칙이 제정되고 세계선수권을 위해서 \"토마스 컵\"이 기증되면서 전 세계적인 대회의 준비가 진행되었으나 제2차 선수권 대회때부터 본격적으로 실현되기 시작하였다.
1) 세계 남자 선수권 대회
\"토마스 컵\"의 쟁탈을 목표로 실시했던 세계 남자 선수권 대회는 처음에는 4년마다 개최하도록 규정되었으나 1948년에 3년 간격으로 실시하도록 규정을 개정함으로써 현재에도 3년 마다 개최되고 있다.
세계 남자 선수권 대회의 우승팀에게 수여되는 \"토마스 컵(Tomas Cup)\"은 테니스의 \"데이비스 컵(Davis Cup)\"과 같은 의미를 갖고 있으며 이 컵은 국제 배드민턴연매의 초대 회장인 \"죠지 토마스\"경이 1939년에 기증한 것이다.
2) 세계 여자 선수권 대회
남자의 토마스 컵 쟁탈 선수권 대회에 맞먹는 것으로 \"우버 컵(Uber Cup)\" 쟁탈 세계 여자 선수권 대회가 있다. 이 대회는 H. S Uber여사에 의해서 제안된 것으로 1957년에 제 1회가 개최되었고 3년 간격으로 개최되고 있다. 세계 여자 선수권 대회의 우승팀에게 수여되는 \"우버 컵(Uber Cup)\"은 1965년 H. S Uber여사가 기증한 것이다.
5. 용구
1) 셔틀(셔틀콕 : Shuttle-cock)
①셔틀의 구조와 종류
셔틀은 배드민턴에서 사용하는 새털로 만든 공으로써, 일명 셔틀콕(Shuttle Cock)이라고 부르며 버드(Bird)라고도 한다. 새털로 만든 셔틀과 이를 모조하여 만든 모조 셔틀의 두 가지가 있다.
⑴새털로 만든 셔틀
날개와 날개가 달린 대로 만들어지며, 대는 반구형의 콜크 위에 좋은 가죽을 씌웠으며,날개 부분은 새의 깃털을 하나씩 콜크에 꽂아 접착시킨다. 닭털을 사용한 \"닭털 셔틀(육조)\"과 물새털로 만든 \"물새털 셔틀(수조)\"이 있다.
닭털은 깃털에 막이 없어 셔틀이 날아갈 때 공기를 그대로 통과하기 때문에 회전이 물새털에 비하여 많지 않다.여기서 반털과 온털 두 가지로 다시 분류된다. 그 이유는 두 가지 모두 나름대로 특징이 있는데 반털은 깃털을 수직으로 잘라 공기의 흐름을 그대로 통과하여 온털보다 회전이 상대적으로 적고 셔틀의 스피드가 나질 않느다. 온털은 반털보다 스피드가 약간 있지만 수명이 짧다. 닭털은 단점인 스피드를 보완하기 위해서 콜크에 나사못을 박아 콜크의 무게를 무겁게 하여 셔틀의 스피드를 많이 높여 물새털과 비슷한 속도를 내는 제품도 있다.
⑵ 모조 셔틀 4
날개의 부분이 나일론과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두 종류가 있다. 나일론으로 만들어진 셔틀이 대표적인 것으로서 영국의 칼톤사 제품은 나르는 형태가 \"물새털 셔틀\"과 비슷하며 견고하여 내구성이 강하기 때문에 초심자의 연습 및 일반 체육 수업용으로 적합하다.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셔틀은 옥외용으로 많이 사용하며 대의 반구형 부분은 고무로 되어 있다. 약한 바람에는 영향을 받지 않으며, 나르는 형태가 단조로워 셔틀 특유의 느낌을 갖지 못하는 것이 결함이다. 그러나 레크리에이션용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그 외
② 셔틀의 규격
반구형의 콜크에 물새의 깃털을 꽂아서 만든다.
⑴무게 : 4.74-5.50g
⑵콕의 지름 : 2.5-2.8cm
⑶깃털의 길이 : 깃털 끝에서 콜크대까지 6.2~7.0
⑷날개의 지름 : 5.4~6.4
⑸깃털 : 16개
⑹비행성 : 셔틀이 제대로의 비행성을 갖추었는지 알아보려면 다음과 같은 시험을 해 보아야 한다.
ⓐ발이 백 바운더리 라인 바로 위에 위치하면서 스트로크 해야 한다.
ⓑ선수가 백 바운더리 라인에 서서 상대편 백 바운더리 라인을 향해서
ⓒ사이드 라인에 나란하게
ⓓ언더핸드 스트로크로 앞쪽 위를 향해 셔틀을 쳤을 때
ⓔ반대편 백 바운더리 라인 앞 53~99cm 사이에 떨어져야 한다.
2) 라켓(Racket) ①라켓의 규격
라켓의 형태, 무게, 재질같은 것에 대한 공식적인 규정은 없으나, 길이가 66cm, 무게는 110-140g 정도이며 라켓의 각부분 명칭은 다음 그림과 같다
② 라켓의 동향 및 구입 요령
라켓은 내구성과 탄력이 뛰어난 그라파이트, 카본 그라파이트, 보론 등의 신소재로 만들어진 라켓을 주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티타늄 소재가 각광을 받고 있다. 그리고 선수들의 신장이 점점 커지고 있고 또한 그것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라켓의 길이도 조금씩 길어지고 있는 추세인데 지금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라켓들을 보면 모델명 뒤에 \"Long\"이 붙는 모델이 있기도 한데 보통 라켓보다 1~1.5cm 길다. 라켓의 길이가 길어지면 타점이 종전보다 높게 잡을 수 있기 때문에 그렇게 눈에 띄질 않지만 파워가 강해지고 스매싱의 각이 깊어지는 등의 여러 장점이 있다.
라켓의 무게가 같아도 밸런스가 틀리면 전혀 다른 라켓같은 느낌이 든다. 무게의 중심이 헤드 쪽에 있는 톱 헤비의 경우는 휘두르기는 힘들지만 강력한 스매시를 칠 때는 적당하다. YONEX, RSL의 제품들이 대부분 톱 헤비 제품이 많은 데 잘 골라야 한다.
단 초보자나 여성들은 톱 라이트 즉, 무게 중심이 그립 쪽에 있는 라켓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모아(MOA)의 제품들이 대부분 톱라이트 제품이 많다.
③ 라켓
⑴ 거트(gut)
컷은 라켓 헤드(Racket Head)에 팽팽하게 친 실을 말한다. 이것을 스트링(String)이라고도 하며,
② 관절의 자율성
③ 심장과 혈관의 보유력
④ 신경계의 발달
⑤ 호흡순환계의 발달
⑥ 전신지구력 향상 및 유지
2) 정신적 건강의 유지 및 증진
①파괴적 욕구의 해소
② 정신적인 스트레스 해소
③ 사회적 건강유지 및 증진
3) 네트를 가운데 두고 신체적인 접촉 없이 행하여지는 운동으로
① 신사적인 인간성의 함양에 도움을 주며,
② 가족, 직장 등의 집단 속에서 언제 어디서나 쉽게 할 수 있다.
4) 고령자도 손쉽게 행할 수 있고 또 위험성도 적다.
5) 레크리에이션으로써 적합한 운동량이다.
6) 실내경기이기 때문에 계절에 구애됨이 없이 행할 수 있다.
7) 좁은 장소에서도 여러 사람이 함께 즐길 수 있다.
8) 개인의 신체적 특성에 따라 운동량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9) 시설과 용구에 큰비용이 들지 않는다.
4. 세계 선수권 대회
1939년에는 국제 배드민턴 규칙이 제정되고 세계선수권을 위해서 \"토마스 컵\"이 기증되면서 전 세계적인 대회의 준비가 진행되었으나 제2차 선수권 대회때부터 본격적으로 실현되기 시작하였다.
1) 세계 남자 선수권 대회
\"토마스 컵\"의 쟁탈을 목표로 실시했던 세계 남자 선수권 대회는 처음에는 4년마다 개최하도록 규정되었으나 1948년에 3년 간격으로 실시하도록 규정을 개정함으로써 현재에도 3년 마다 개최되고 있다.
세계 남자 선수권 대회의 우승팀에게 수여되는 \"토마스 컵(Tomas Cup)\"은 테니스의 \"데이비스 컵(Davis Cup)\"과 같은 의미를 갖고 있으며 이 컵은 국제 배드민턴연매의 초대 회장인 \"죠지 토마스\"경이 1939년에 기증한 것이다.
2) 세계 여자 선수권 대회
남자의 토마스 컵 쟁탈 선수권 대회에 맞먹는 것으로 \"우버 컵(Uber Cup)\" 쟁탈 세계 여자 선수권 대회가 있다. 이 대회는 H. S Uber여사에 의해서 제안된 것으로 1957년에 제 1회가 개최되었고 3년 간격으로 개최되고 있다. 세계 여자 선수권 대회의 우승팀에게 수여되는 \"우버 컵(Uber Cup)\"은 1965년 H. S Uber여사가 기증한 것이다.
5. 용구
1) 셔틀(셔틀콕 : Shuttle-cock)
①셔틀의 구조와 종류
셔틀은 배드민턴에서 사용하는 새털로 만든 공으로써, 일명 셔틀콕(Shuttle Cock)이라고 부르며 버드(Bird)라고도 한다. 새털로 만든 셔틀과 이를 모조하여 만든 모조 셔틀의 두 가지가 있다.
⑴새털로 만든 셔틀
날개와 날개가 달린 대로 만들어지며, 대는 반구형의 콜크 위에 좋은 가죽을 씌웠으며,날개 부분은 새의 깃털을 하나씩 콜크에 꽂아 접착시킨다. 닭털을 사용한 \"닭털 셔틀(육조)\"과 물새털로 만든 \"물새털 셔틀(수조)\"이 있다.
닭털은 깃털에 막이 없어 셔틀이 날아갈 때 공기를 그대로 통과하기 때문에 회전이 물새털에 비하여 많지 않다.여기서 반털과 온털 두 가지로 다시 분류된다. 그 이유는 두 가지 모두 나름대로 특징이 있는데 반털은 깃털을 수직으로 잘라 공기의 흐름을 그대로 통과하여 온털보다 회전이 상대적으로 적고 셔틀의 스피드가 나질 않느다. 온털은 반털보다 스피드가 약간 있지만 수명이 짧다. 닭털은 단점인 스피드를 보완하기 위해서 콜크에 나사못을 박아 콜크의 무게를 무겁게 하여 셔틀의 스피드를 많이 높여 물새털과 비슷한 속도를 내는 제품도 있다.
⑵ 모조 셔틀 4
날개의 부분이 나일론과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두 종류가 있다. 나일론으로 만들어진 셔틀이 대표적인 것으로서 영국의 칼톤사 제품은 나르는 형태가 \"물새털 셔틀\"과 비슷하며 견고하여 내구성이 강하기 때문에 초심자의 연습 및 일반 체육 수업용으로 적합하다.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셔틀은 옥외용으로 많이 사용하며 대의 반구형 부분은 고무로 되어 있다. 약한 바람에는 영향을 받지 않으며, 나르는 형태가 단조로워 셔틀 특유의 느낌을 갖지 못하는 것이 결함이다. 그러나 레크리에이션용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그 외
② 셔틀의 규격
반구형의 콜크에 물새의 깃털을 꽂아서 만든다.
⑴무게 : 4.74-5.50g
⑵콕의 지름 : 2.5-2.8cm
⑶깃털의 길이 : 깃털 끝에서 콜크대까지 6.2~7.0
⑷날개의 지름 : 5.4~6.4
⑸깃털 : 16개
⑹비행성 : 셔틀이 제대로의 비행성을 갖추었는지 알아보려면 다음과 같은 시험을 해 보아야 한다.
ⓐ발이 백 바운더리 라인 바로 위에 위치하면서 스트로크 해야 한다.
ⓑ선수가 백 바운더리 라인에 서서 상대편 백 바운더리 라인을 향해서
ⓒ사이드 라인에 나란하게
ⓓ언더핸드 스트로크로 앞쪽 위를 향해 셔틀을 쳤을 때
ⓔ반대편 백 바운더리 라인 앞 53~99cm 사이에 떨어져야 한다.
2) 라켓(Racket) ①라켓의 규격
라켓의 형태, 무게, 재질같은 것에 대한 공식적인 규정은 없으나, 길이가 66cm, 무게는 110-140g 정도이며 라켓의 각부분 명칭은 다음 그림과 같다
② 라켓의 동향 및 구입 요령
라켓은 내구성과 탄력이 뛰어난 그라파이트, 카본 그라파이트, 보론 등의 신소재로 만들어진 라켓을 주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티타늄 소재가 각광을 받고 있다. 그리고 선수들의 신장이 점점 커지고 있고 또한 그것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라켓의 길이도 조금씩 길어지고 있는 추세인데 지금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라켓들을 보면 모델명 뒤에 \"Long\"이 붙는 모델이 있기도 한데 보통 라켓보다 1~1.5cm 길다. 라켓의 길이가 길어지면 타점이 종전보다 높게 잡을 수 있기 때문에 그렇게 눈에 띄질 않지만 파워가 강해지고 스매싱의 각이 깊어지는 등의 여러 장점이 있다.
라켓의 무게가 같아도 밸런스가 틀리면 전혀 다른 라켓같은 느낌이 든다. 무게의 중심이 헤드 쪽에 있는 톱 헤비의 경우는 휘두르기는 힘들지만 강력한 스매시를 칠 때는 적당하다. YONEX, RSL의 제품들이 대부분 톱 헤비 제품이 많은 데 잘 골라야 한다.
단 초보자나 여성들은 톱 라이트 즉, 무게 중심이 그립 쪽에 있는 라켓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모아(MOA)의 제품들이 대부분 톱라이트 제품이 많다.
③ 라켓
⑴ 거트(gut)
컷은 라켓 헤드(Racket Head)에 팽팽하게 친 실을 말한다. 이것을 스트링(String)이라고도 하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