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험제목
2.실험날짜
3.실험도구 및 초자
4.실험방법
5이론
6.참고자료
2.실험날짜
3.실험도구 및 초자
4.실험방법
5이론
6.참고자료
본문내용
온으로 전자가 이동된다.
전류의 흐름
1. 아연 산화전극에서 산화 반쪽 반응에 의해 전자가 생성된다.
Zn(s) →Zn2+ (aq)+ 2e-
외부 회로로 전자를 흘려보내고 있는 이 전극은 일반적으로 전지의 (-)극으로 표시되어 있다.
2. 산화전극에서 생성된 전자는 외부 회로를 통하여 구리 환원전극으로 이동한다. 이동된 전자는 환원전극 주위에 모여있는 용액 내의 Cu2+ 이온을 환원시키며 소모된다.
Cu2+(aq)+2e- →Cu(s)
외부 회로로부터 전자들을 끌어당기는 구리 전극은 전지의 (+)극으로 표시된다.
3, 위에서 언급한 반쪽전지 반응이 진행되면 잔여 양이온(Zn2+)은 아연 전극주위에 모이게 된다. 구리 전극 주위에는 Cu2+이온이 소비됨에 따라 양이온이 부족하게 된다. 전기적으로 중성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양이온들은 구리전극 쪽으로 이동되거나 음이온들이 아연 전극 쪽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실제적으로 이러한 이동 현상이 전지 내에서 동시에 일어난다.
전지에서 이온의 움직임은 두 비커를 연결한 염다리를 통해 일어난다. 가장 간단한 형태의 염다리는 양 끝에 유리 섬유로 채워진 뒤집혀진 U자형 관이다. 이 관은 전극 반응에 참여하지 않는 질산칼륨과 같은 염의 용액으로 채워져 잇다. 전지로부터 전류가 흐르게 되면 K+이온은 염다리에서부터 환원전극 반쪽 전지로 움직인다. 동시에 NO3-이오능ㄴ 산화전극 반쪽 전지 쪽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Cu2+ 이온이 아연 전극과 직접으로 접촉하지 않으면서 전기적인 중성상태를 유지한다.
전해질
물에 녹아서 그 용액이 전기 전도성을 가지게 되는 물질. 물 등의 극성용매(極性溶媒)에 녹였을 때 이온화되어 그 용액이 높은 전기전도성을 가지게 되는 물질을 전해질 또는 전해물이라 한다. 전해질용액에 전극을 넣고 적당한 전압하에서 전류를 통하면, 전해질의 성분이온이 전하를 잃고 전극에 석출(析出)되는 현상을 전기분해 또는 전해라고 하는데, 전해질이란 명칭은 이 현상에서 유래하고 있다.
전자, 산화/환원, 환원 전위, 화학 전지, 이온, 전해질
6.참고자료
http://blog.naver.com/elect94.do?Redirect=Log&logNo=60009466375
http://www.bugok.ms.kr/cyberstudy/science/metrial/menu/ja.htm
일반화학. 제5판 일반화학 교재연구회 출판사: 자유아카데미 page 97~98, 532~533
전류의 흐름
1. 아연 산화전극에서 산화 반쪽 반응에 의해 전자가 생성된다.
Zn(s) →Zn2+ (aq)+ 2e-
외부 회로로 전자를 흘려보내고 있는 이 전극은 일반적으로 전지의 (-)극으로 표시되어 있다.
2. 산화전극에서 생성된 전자는 외부 회로를 통하여 구리 환원전극으로 이동한다. 이동된 전자는 환원전극 주위에 모여있는 용액 내의 Cu2+ 이온을 환원시키며 소모된다.
Cu2+(aq)+2e- →Cu(s)
외부 회로로부터 전자들을 끌어당기는 구리 전극은 전지의 (+)극으로 표시된다.
3, 위에서 언급한 반쪽전지 반응이 진행되면 잔여 양이온(Zn2+)은 아연 전극주위에 모이게 된다. 구리 전극 주위에는 Cu2+이온이 소비됨에 따라 양이온이 부족하게 된다. 전기적으로 중성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양이온들은 구리전극 쪽으로 이동되거나 음이온들이 아연 전극 쪽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실제적으로 이러한 이동 현상이 전지 내에서 동시에 일어난다.
전지에서 이온의 움직임은 두 비커를 연결한 염다리를 통해 일어난다. 가장 간단한 형태의 염다리는 양 끝에 유리 섬유로 채워진 뒤집혀진 U자형 관이다. 이 관은 전극 반응에 참여하지 않는 질산칼륨과 같은 염의 용액으로 채워져 잇다. 전지로부터 전류가 흐르게 되면 K+이온은 염다리에서부터 환원전극 반쪽 전지로 움직인다. 동시에 NO3-이오능ㄴ 산화전극 반쪽 전지 쪽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Cu2+ 이온이 아연 전극과 직접으로 접촉하지 않으면서 전기적인 중성상태를 유지한다.
전해질
물에 녹아서 그 용액이 전기 전도성을 가지게 되는 물질. 물 등의 극성용매(極性溶媒)에 녹였을 때 이온화되어 그 용액이 높은 전기전도성을 가지게 되는 물질을 전해질 또는 전해물이라 한다. 전해질용액에 전극을 넣고 적당한 전압하에서 전류를 통하면, 전해질의 성분이온이 전하를 잃고 전극에 석출(析出)되는 현상을 전기분해 또는 전해라고 하는데, 전해질이란 명칭은 이 현상에서 유래하고 있다.
전자, 산화/환원, 환원 전위, 화학 전지, 이온, 전해질
6.참고자료
http://blog.naver.com/elect94.do?Redirect=Log&logNo=60009466375
http://www.bugok.ms.kr/cyberstudy/science/metrial/menu/ja.htm
일반화학. 제5판 일반화학 교재연구회 출판사: 자유아카데미 page 97~98, 532~533
추천자료
PEMFC의 정의와 가습 방법에대한 연구
[과외]중학 과학 3-2학기 중간 예상문제 12
환경 문제에서의 대체 에너지
Fuel cell
『부식(corrosion)의 정의, 3요소, 종류, 사례 및 방지』에 대하여
간극부식(틈새부식)원인과 방지법
황동판 전기 도금
전통문화와 찬양과의 관계에 대한 논의
CV (순환전압전류법), 실험 목적, 실험 기구, 시약, 원리, 방법, 실험 결과, 고찰
PC용 열교환기 설계하기- termproject
ccu 레포트 - CCU란 무엇인가? CCS보다 전망이 있는가, 개발전망, 해결과제
일반 물리학[예비 보고서] - RLC회로에 의한 임피던스 측정
[에너지 절약방안] 재활용의 현황, 재활용 필요성, 폐기물 에너지 재활용
[경영정보론] 스마트 모빌리티와 자이로센서 기술의 정의, 스마트 모빌리티의 종류와 기술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