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험 목적
2. 원리
1)CBR의 정의
2)팽창비
3)지지력-관입량곡선의 수정 원정
4)수정 CBR
5)Data sheet 작성 해설
6)CBR값
3. 시험기구 / 시료준비
4. 시험방법
5. Home Work
1. 다음의 CBR 수침시험에서 팽창율을 완성하고 수침시간 팽창율 그래프를 그리시오
2. 수침후의 밀도 변화와 흡수율을 완성하시오
3. 다음 타격수별 관입량에 따른 저항 하중과 지지력 표를 완성하고 관입량-지지력 관계도를 그리시오.
4. 문제 3에서 원점을 수정하여 CBR2.5와 CBR5.0을 구하시오.
2. 원리
1)CBR의 정의
2)팽창비
3)지지력-관입량곡선의 수정 원정
4)수정 CBR
5)Data sheet 작성 해설
6)CBR값
3. 시험기구 / 시료준비
4. 시험방법
5. Home Work
1. 다음의 CBR 수침시험에서 팽창율을 완성하고 수침시간 팽창율 그래프를 그리시오
2. 수침후의 밀도 변화와 흡수율을 완성하시오
3. 다음 타격수별 관입량에 따른 저항 하중과 지지력 표를 완성하고 관입량-지지력 관계도를 그리시오.
4. 문제 3에서 원점을 수정하여 CBR2.5와 CBR5.0을 구하시오.
본문내용
으로 개발되었다. 그 후 2차대전 중에는 미 공병단에서 비행장건설을 휘한 시험으로 이것이 채택되었다. 캘리포니아지지력비(California bearing ratio), 즉 CBR은 실 제조건과 합치되게 만든 공시체에 지름 5㎝의 피스톤을 어떤 깊이까지 관입시키 는 데 소요되는 시험단위하중을 표준단위하중으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 이다. CBR은 포장두께의 설계나 지반의 지지력을 판단하는데 이용된다.
1)CBR의 정의
CBR
=
시험단위하중
×
100(%)
표준단위하중
CBR은 현장조건에 맞도록 제작한 공시체에 피스톤을 어느 깊이까지 관입시키는 데 소요되는 시험단위하중을 표준단위하중으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관입깊이, ㎜(in)
표준단위하중, ㎏/㎠(psi)
2.5 (0.10)
70 (1000)
5.0 (0.20)
105 (1500)
7.5 (0.30)
134 (1900)
10.0 (0.40)
162 (2300)
12.5 (0.50)
183 (2600)
여기서, 표준단위하중은 다음 표에 나타내었다.
2)팽창비
CBR시험을 위해 표준다짐이나 수저다짐으로 최적함수비에서 다진 두개의 동일한 시료를 준비하여 각각 흡수팽창시험과 관입시험을 실시한다. 팽창비는 흡수팽창시 험을 통해 구한다.
팽창비
=
팽창량(다이얼 게이지의 최초와 최종읽음의 차)
×
100(%)
공시체의 최초높이
흡수팽창시험은 설계하중에 해당하는 하중을 올려놓고 96시간(4일간) 침수시켜, 다이얼 게이지의 최초와 최종값을 측정하여, 공시체의 최초놓이에 대해 공시체가 얼마나 팽창하였는가를 나타내는 팽창비를 구한다. 이때 작용하는 하중은 5㎏이 하가 되어서는 안된다. 이 시험을 통해 최악의 현장조건에 대한 팽창성을 알 수 있다. 또한 침수가 완료된 다음에 관입시험을 행하여 CBR값을 구하여 포화로 인 한 강도손실을 추정할 수 있다.
3)지지력-관입량곡선의 수정 원정
관입시험결과를 통해 세로축에는 지지력, 가로축에는 관입량에 해당하는 점을 찍 어 지지력-관입량 곡선을 그린다. 이 경우 곡선이 초기에 변곡점이 있을 경우에 는 곡선의 변곡점에서 접선을 그어, 접선과 가로축과의 교점을 관입점의 원점으 로 곡선을 수정한다. 일반적으로 공시체 표면의 평탄성이 부족할 때 곡선이 오목 한 모양을 보이나, 원점의 수정량은 기껏해야 2~3㎜정도이며 혹 이 한도를 넘을 경우는 재시험을 행할 필요가 있다.
4)수정 CBR
한국공업규격 (KS F 2320)에 의하면 시방서 또는 현장 다짐의 밀도에 대응하는 지지력비(CBR)를 결정하는 방법을 따로 규정하고 있다. 즉 이것은 수정다짐방법 으로 각 층 10회, 25회 및 55회씩 다짐 횟수를 다르게 다져 지지력비와 건조단 위중량과의 관계곡선을 그리고 소정의 최대건조단위중량(예를 들면 Υd max의 95%)에 대응하는 지지력비로 정하게 되어 있다.
5)Data sheet 작성 해설
① Data sheet 정리에 필요한 공식
±△Ww=Ws(w2 - w1) or ±△Ww=
W(w2-w1)
1+w1
a. 다짐곡선 작도 및 OMC±1%로 시료를 조재
Wabs(%)=
△Ww
, Vchn(%)=
△V
or
△H
Wi
Vi
Hi
qy=
P
; P=LRC P\' ;
A=
πD2
A
4
CBRy(%)=
qy(test)
qy\'
② 수침과정 및 관입시험
여기서, Wabs : 수침과정에서의 흡수율
Wi , △W : 각각 수침 전의 공시체의 무게 및 흡수된 수량
Vchn , Hi ,△H : 가각 체적팽창율, 팽창전의 공시체 및 팽창된 높이
q : 관입량에 따른 다짐공시체의 지지력(㎏f/㎠)
LRC,P\',P : 각각 검력계 계수(㎏f/눈금), 읽음값 및 환산하중(㎏f)
D,A : 각각 관입 피스
1)CBR의 정의
CBR
=
시험단위하중
×
100(%)
표준단위하중
CBR은 현장조건에 맞도록 제작한 공시체에 피스톤을 어느 깊이까지 관입시키는 데 소요되는 시험단위하중을 표준단위하중으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관입깊이, ㎜(in)
표준단위하중, ㎏/㎠(psi)
2.5 (0.10)
70 (1000)
5.0 (0.20)
105 (1500)
7.5 (0.30)
134 (1900)
10.0 (0.40)
162 (2300)
12.5 (0.50)
183 (2600)
여기서, 표준단위하중은 다음 표에 나타내었다.
2)팽창비
CBR시험을 위해 표준다짐이나 수저다짐으로 최적함수비에서 다진 두개의 동일한 시료를 준비하여 각각 흡수팽창시험과 관입시험을 실시한다. 팽창비는 흡수팽창시 험을 통해 구한다.
팽창비
=
팽창량(다이얼 게이지의 최초와 최종읽음의 차)
×
100(%)
공시체의 최초높이
흡수팽창시험은 설계하중에 해당하는 하중을 올려놓고 96시간(4일간) 침수시켜, 다이얼 게이지의 최초와 최종값을 측정하여, 공시체의 최초놓이에 대해 공시체가 얼마나 팽창하였는가를 나타내는 팽창비를 구한다. 이때 작용하는 하중은 5㎏이 하가 되어서는 안된다. 이 시험을 통해 최악의 현장조건에 대한 팽창성을 알 수 있다. 또한 침수가 완료된 다음에 관입시험을 행하여 CBR값을 구하여 포화로 인 한 강도손실을 추정할 수 있다.
3)지지력-관입량곡선의 수정 원정
관입시험결과를 통해 세로축에는 지지력, 가로축에는 관입량에 해당하는 점을 찍 어 지지력-관입량 곡선을 그린다. 이 경우 곡선이 초기에 변곡점이 있을 경우에 는 곡선의 변곡점에서 접선을 그어, 접선과 가로축과의 교점을 관입점의 원점으 로 곡선을 수정한다. 일반적으로 공시체 표면의 평탄성이 부족할 때 곡선이 오목 한 모양을 보이나, 원점의 수정량은 기껏해야 2~3㎜정도이며 혹 이 한도를 넘을 경우는 재시험을 행할 필요가 있다.
4)수정 CBR
한국공업규격 (KS F 2320)에 의하면 시방서 또는 현장 다짐의 밀도에 대응하는 지지력비(CBR)를 결정하는 방법을 따로 규정하고 있다. 즉 이것은 수정다짐방법 으로 각 층 10회, 25회 및 55회씩 다짐 횟수를 다르게 다져 지지력비와 건조단 위중량과의 관계곡선을 그리고 소정의 최대건조단위중량(예를 들면 Υd max의 95%)에 대응하는 지지력비로 정하게 되어 있다.
5)Data sheet 작성 해설
① Data sheet 정리에 필요한 공식
±△Ww=Ws(w2 - w1) or ±△Ww=
W(w2-w1)
1+w1
a. 다짐곡선 작도 및 OMC±1%로 시료를 조재
Wabs(%)=
△Ww
, Vchn(%)=
△V
or
△H
Wi
Vi
Hi
qy=
P
; P=LRC P\' ;
A=
πD2
A
4
CBRy(%)=
qy(test)
qy\'
② 수침과정 및 관입시험
여기서, Wabs : 수침과정에서의 흡수율
Wi , △W : 각각 수침 전의 공시체의 무게 및 흡수된 수량
Vchn , Hi ,△H : 가각 체적팽창율, 팽창전의 공시체 및 팽창된 높이
q : 관입량에 따른 다짐공시체의 지지력(㎏f/㎠)
LRC,P\',P : 각각 검력계 계수(㎏f/눈금), 읽음값 및 환산하중(㎏f)
D,A : 각각 관입 피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