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읽음값
Cm
F
P(%)
K
L(cm)
η
(kg/m·s)
D(mm)
실제값
보정값
1
16
1.046
0.046
0.001
0.0001
73.288
0.01457
9.638
001122
0.140426
2
16
1.039
0.039
0.001
0.0001
61.913
0.01457
9.638
001122
0.070213
5
16
1.033
0.033
0.001
0.0001
52.163
0.01457
9.638
001122
0.028085
15
16
1.020
0.020
0.001
0.0001
31.038
0.01457
9.638
001122
0.009362
30
17
1.015
0.015
0.001
0.0003
23.238
0.01439
9.638
001094
0.004623
60
17
1.009
0.009
0.001
0.0003
13.488
0.01439
9.638
001094
0.002312
120
18
1.0055
0.0055
0.001
0.0004
7.963
0.01421
9.638
001067
0.001141
240
18
1.0035
0.0035
0.001
0.0004
4.713
0.01421
9.638
001067
0.000571
1440
18
1.001
0.001
0.001
0.0004
0.650
0.01421
9.638
001067
0.000095
흙의 비중 : Gs - 2.6
흙의 무게 : Ws - 100g
6.토의 및 결론
실린더에 담긴 시료와 물을 흔드는 과정에서 실험에 미숙하고 손으로 막고 하다 보니 많은 양의 물을 흘려서 현탁액의 총량에 오차가 발생하게 되었다. 시간을 젬과 동시에 비중계의 눈금을 읽어야 하지만 설명만을 듣고 비중계의 눈금을 빠른 시간에 읽는 일은 쉽지 않았다. 처음 몇 분 동안은 시료가 가라앉기 보단 흔들면서 운동했던 모습으로 있어서 비중계의 눈금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떨어지기보다 오히려 올라가는 듯 보여 이상하게 생각되었다.
비중계를 담글 때에도 조심스럽고 천천히 띄워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못한 것도 오차의 원인이라고 할 수 있고 온도계로 온도를 측정할 때에도 온도계를 조심히 담그지 못한 것 또한 오차의 원인으로 말 할 수 있다. 비중계를 담그고 처음으로 눈금을 읽을 때 메스실린더를 흔들고 남은 기포들이 위에 떠있어서 눈금을 읽는 것은 더욱 어려웠다. 그리고 시료 100g이 모두 물과 섞여야 하지만 바닥에 가라앉아 있던 시료의 양이 많았다. 그것 역시 오차의 원인 이라고 될 수 있다. 늘 실험을 하면서 느끼는 것이지만 많은 실험이 숙련도를 요구 한다. 처음 해보는 실험이다 보니 과정을 익히는 것에는 만족스럽고 그것에 대한 이론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것은 만족스럽다. 하지만 숙련도가 높지 않아서 정확한 실험이 못되는 것이 많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 참고문헌
-토질역학 6판, 박용원외, 1999, 사이텍미디어
-토질역학의원리, 이인모, 2003,새론
-토질시험, 김상규, 2004, 동명사
-(알기 쉬운) 토질시험법, 방윤경외, 2005, 동화기술
-토질시험법 ,김무일, 2002, 구미서관
Cm
F
P(%)
K
L(cm)
η
(kg/m·s)
D(mm)
실제값
보정값
1
16
1.046
0.046
0.001
0.0001
73.288
0.01457
9.638
001122
0.140426
2
16
1.039
0.039
0.001
0.0001
61.913
0.01457
9.638
001122
0.070213
5
16
1.033
0.033
0.001
0.0001
52.163
0.01457
9.638
001122
0.028085
15
16
1.020
0.020
0.001
0.0001
31.038
0.01457
9.638
001122
0.009362
30
17
1.015
0.015
0.001
0.0003
23.238
0.01439
9.638
001094
0.004623
60
17
1.009
0.009
0.001
0.0003
13.488
0.01439
9.638
001094
0.002312
120
18
1.0055
0.0055
0.001
0.0004
7.963
0.01421
9.638
001067
0.001141
240
18
1.0035
0.0035
0.001
0.0004
4.713
0.01421
9.638
001067
0.000571
1440
18
1.001
0.001
0.001
0.0004
0.650
0.01421
9.638
001067
0.000095
흙의 비중 : Gs - 2.6
흙의 무게 : Ws - 100g
6.토의 및 결론
실린더에 담긴 시료와 물을 흔드는 과정에서 실험에 미숙하고 손으로 막고 하다 보니 많은 양의 물을 흘려서 현탁액의 총량에 오차가 발생하게 되었다. 시간을 젬과 동시에 비중계의 눈금을 읽어야 하지만 설명만을 듣고 비중계의 눈금을 빠른 시간에 읽는 일은 쉽지 않았다. 처음 몇 분 동안은 시료가 가라앉기 보단 흔들면서 운동했던 모습으로 있어서 비중계의 눈금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떨어지기보다 오히려 올라가는 듯 보여 이상하게 생각되었다.
비중계를 담글 때에도 조심스럽고 천천히 띄워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못한 것도 오차의 원인이라고 할 수 있고 온도계로 온도를 측정할 때에도 온도계를 조심히 담그지 못한 것 또한 오차의 원인으로 말 할 수 있다. 비중계를 담그고 처음으로 눈금을 읽을 때 메스실린더를 흔들고 남은 기포들이 위에 떠있어서 눈금을 읽는 것은 더욱 어려웠다. 그리고 시료 100g이 모두 물과 섞여야 하지만 바닥에 가라앉아 있던 시료의 양이 많았다. 그것 역시 오차의 원인 이라고 될 수 있다. 늘 실험을 하면서 느끼는 것이지만 많은 실험이 숙련도를 요구 한다. 처음 해보는 실험이다 보니 과정을 익히는 것에는 만족스럽고 그것에 대한 이론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것은 만족스럽다. 하지만 숙련도가 높지 않아서 정확한 실험이 못되는 것이 많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 참고문헌
-토질역학 6판, 박용원외, 1999, 사이텍미디어
-토질역학의원리, 이인모, 2003,새론
-토질시험, 김상규, 2004, 동명사
-(알기 쉬운) 토질시험법, 방윤경외, 2005, 동화기술
-토질시험법 ,김무일, 2002, 구미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