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중소기업의 인력부족 현황 및 원인
1. 중소기업 인력부족 현황
2. 중소기업 인력부족 원인
Ⅲ. 인력수급 전망
1. 인력수급 불균형이 심화될 전망
Ⅳ.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를 위한 대책 방안
1. 단기적으로 생산현장인력의 직접공급을 확대
2. 국내인력 유입촉진을 위한 중소기업 근무환경 개선
3. 중소기업 재직자에 대한 복리후생 및 교육훈련 지원 확대
4. 중소기업에 대한 낮은 사회인식 및 편견 해소
5. 수요자 위주의 인력양성체제 구축
6. 유휴인력의 활용도 제고
7. 인적자원관리 및 개발시스템의 구축
8. 중소기업인력 지원행정의 종합화 및 효율화
Ⅴ. 결론
<참고문헌>
Ⅱ. 중소기업의 인력부족 현황 및 원인
1. 중소기업 인력부족 현황
2. 중소기업 인력부족 원인
Ⅲ. 인력수급 전망
1. 인력수급 불균형이 심화될 전망
Ⅳ.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를 위한 대책 방안
1. 단기적으로 생산현장인력의 직접공급을 확대
2. 국내인력 유입촉진을 위한 중소기업 근무환경 개선
3. 중소기업 재직자에 대한 복리후생 및 교육훈련 지원 확대
4. 중소기업에 대한 낮은 사회인식 및 편견 해소
5. 수요자 위주의 인력양성체제 구축
6. 유휴인력의 활용도 제고
7. 인적자원관리 및 개발시스템의 구축
8. 중소기업인력 지원행정의 종합화 및 효율화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률
4.1
9.3
9.1
10.8
11.6
10.9
3.0
6.8
9.4
주 :인력부족률은 부족인원/적정인원(현인원+부족인원) 비율임.
자료 : 중소기업청, 중소기업 인력실태조사 결과. 2002. 9
나. 규모별 인력부족률
규모별 인력부족률을 보면 일반적으로 규모가 작을수록 인력 부족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종업원수 5-19인 규모의 기업에서는 단순노무직, 전문가, 기능직 순으로 부족률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표2> 종업원 규모별 인력 부족률
(단위 : %)
구분
사무
관리직
생산직
서비스직
판매
관리직
총평균
전문가
기술 및
준전문가
기능직
노무직
5~19인
20~49인
50~99인
100~299인
5.99
4.37
2.54
1.63
16.65
9.99
3.93
3.30
12.93
9.17
6.26
3.77
16.18
11.46
7.34
4.34
17.86
10.86
8.17
6.21
6.69
4.22
1.77
0.30
13.00
7.70
3.51
1.84
14.10
9.48
6.35
4.29
계
4.14
9.31
9.14
10.78
11.55
3.01
6.82
9.36
300인 이상
0.48
0.64
0.41
0.53
0.76
1.53
0.80
주 : 300인 이상은 노동부 자료임
자료 : 1) 중소기업청, 중소기업 인력실태조사 결과, 2002. 9
2) 노동부, 노동력수요동향조사보고서, 2002. 10
라. 중소기업 매출액 규모별 인력부족률
매출액 규보별로는 대부분 매출액 규모가 작은 기업일수록 인력부족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생산직의 경우 매출액 50억원 미만의 기업에서 인력부족률이 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표3> 중소기업 매출액 규보별 인력 부족률
(단위 : %)
구 분
사무
관리직
생산직
서비스직
판매
관리직
총평균
전문가
기술 및
준전문가
기능직
노무직
5억 미만
5.02
15.94
12.49
16.14
17.76
2.49
14.16
14.49
5~10억 미만
7.40
17.05
13.92
14.36
16.72
8.73
12.38
13.88
10~30억 미만
5.55
11.28
11.93
13.90
12.38
9.83
10.55
11.39
30~50억 미만
4.71
10.92
10.12
10.29
10.32
0.59
6.14
8.95
50억 이상
2.50
5.61
5.19
6.53
8.01
1.71
3.99
5.86
계
4.14
9.31
9.14
10.78
11.55
3.01
6.82
9.36
자료 : 중소기업청, 중소기업 인력실태조사 결과. 2002. 9
라. 부족인원 충원상의 주요 애로사항
중소제조업 영위 기업들은 부족인원을 확보함에 있어 겪는 애로요인에 대해 대체로 중소기업 근무기피, 임금조건, 작업환경 열악, 인력정보 부족, 회사소재지 지역여건 등의 순으로 지적하고 있다.
<표4> 부족인원 충원상의 주요 애로요인
구 분
생산직
전체
전문가
기술 및
준전문가
기능직
노무직
인력에 대한 정보부족
10.3
11.7
6.0
4.4
6.9
국내 해당인력 없음
4.3
6.8
8.6
8.1
7.7
중소기업 근무기피 의식
39.7
36.3
36.3
25.3
33.7
임금조건이 맞지 않아서
33.3
23.8
23.8
25.2
25.4
작업환경 열악
2.7
13.9
13.9
19.7
13.3
회사 소재지의 지역여건
9.7
11.4
11.4
17.3
13.0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자료 : 중소기업청, 중소기업 인력실태조사 결과. 2002. 9
2. 중소기업 인력부족 원인
우리나라의 중소기업 인력부족 원인은 여러 가지 요인이 있겠으나, 첫째, 인력수요와 공급간의 기능불일치로 이는 일자리에서 요구되는 기능과 일자리를 찾는 실업자가 보유한 기능이 일치하지 않음으로써, 기업들이 필요한 인력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인력난과 둘째, 인력수요와 공급간의 일자리 불일치로써, 구직자가 일자리를 받아들일 때 요구하는 근로조건 등의 처우수준과 사용자가 해당 일자리에 제공하는 근로조건 등의 처우수준 양자간에 괴리가 있어 인력난이 발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중소기업 인력난은 주로 여기에 해당된다. 중소기업청, 중소기업 인력지원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정 필요성 및 방향, 2002.11
가. 열악한 근로조건이 근무기피의 가장 큰 요인
중소기업의 인력난의 근본적인 원인은 중소기업 자체의 열악한 근로조건 및 근무환경이다. 즉, 대기업에 비해 낮은 임금수준 및 복리후생 혜택, 반면에 많은 근로시간 및 높은 산업재해 위험은 중소기업으로의 인력유입을 제한하는 요인들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제한요인들은 청년층고학력여성인력에게 더욱 강하게 작용하여, 이들은 다른 인력들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중소기업 근무기피성향을 노출하고 있다.
<표5> 대기업중소기업간 근무조건 비교 2002. 5월 현재, 월평균 통계 비교
구 분
임 금
근로시간
법정외 복리비
산업재해율
중소기업
169만원
199.6
103천원
0.94
대 기 업
240만원
195.9
178천원
0.34
자료 : 노동부, 노동통계정보시스템
한편, 중소기업의 열악한 근무조건은 대기업 및 서비스업종으로의 높은 이직을 발생시켜 인력공백을 야기하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어, 중소제조업의 이직률은 대기업의 215%에 달할 정도이다.
나. 중소기업에 대한 차별 및 편견
노동의 공급구조가 교육수준의 변화로 고학력자가 증가하고 젊은층의 직업의식 및 라이프사이클 변화에 따라 규모가 작고(Small size), 임금이 낮으며(Small pay), 단순한 일(Small work) 등 소위 “3S\"직종을 기피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은 작업환경이 열악하고 사내복지, 처우 등 모든 면에서 열악하다는 선입견으로 중소기업 인력난은 가속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규모에 대한 편견에서 비롯된 대기업은 일류, 중소기업은 이류라는 식의 왜곡된 인식은 유망한 중소기업에 조차 인력난을 가져와 자원의 효율적 배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리고,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신뢰가 부족하여 중소기업을 단순히 구멍가게 수준 정도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 크 문제이며 이는 곧
4.1
9.3
9.1
10.8
11.6
10.9
3.0
6.8
9.4
주 :인력부족률은 부족인원/적정인원(현인원+부족인원) 비율임.
자료 : 중소기업청, 중소기업 인력실태조사 결과. 2002. 9
나. 규모별 인력부족률
규모별 인력부족률을 보면 일반적으로 규모가 작을수록 인력 부족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종업원수 5-19인 규모의 기업에서는 단순노무직, 전문가, 기능직 순으로 부족률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표2> 종업원 규모별 인력 부족률
(단위 : %)
구분
사무
관리직
생산직
서비스직
판매
관리직
총평균
전문가
기술 및
준전문가
기능직
노무직
5~19인
20~49인
50~99인
100~299인
5.99
4.37
2.54
1.63
16.65
9.99
3.93
3.30
12.93
9.17
6.26
3.77
16.18
11.46
7.34
4.34
17.86
10.86
8.17
6.21
6.69
4.22
1.77
0.30
13.00
7.70
3.51
1.84
14.10
9.48
6.35
4.29
계
4.14
9.31
9.14
10.78
11.55
3.01
6.82
9.36
300인 이상
0.48
0.64
0.41
0.53
0.76
1.53
0.80
주 : 300인 이상은 노동부 자료임
자료 : 1) 중소기업청, 중소기업 인력실태조사 결과, 2002. 9
2) 노동부, 노동력수요동향조사보고서, 2002. 10
라. 중소기업 매출액 규모별 인력부족률
매출액 규보별로는 대부분 매출액 규모가 작은 기업일수록 인력부족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생산직의 경우 매출액 50억원 미만의 기업에서 인력부족률이 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표3> 중소기업 매출액 규보별 인력 부족률
(단위 : %)
구 분
사무
관리직
생산직
서비스직
판매
관리직
총평균
전문가
기술 및
준전문가
기능직
노무직
5억 미만
5.02
15.94
12.49
16.14
17.76
2.49
14.16
14.49
5~10억 미만
7.40
17.05
13.92
14.36
16.72
8.73
12.38
13.88
10~30억 미만
5.55
11.28
11.93
13.90
12.38
9.83
10.55
11.39
30~50억 미만
4.71
10.92
10.12
10.29
10.32
0.59
6.14
8.95
50억 이상
2.50
5.61
5.19
6.53
8.01
1.71
3.99
5.86
계
4.14
9.31
9.14
10.78
11.55
3.01
6.82
9.36
자료 : 중소기업청, 중소기업 인력실태조사 결과. 2002. 9
라. 부족인원 충원상의 주요 애로사항
중소제조업 영위 기업들은 부족인원을 확보함에 있어 겪는 애로요인에 대해 대체로 중소기업 근무기피, 임금조건, 작업환경 열악, 인력정보 부족, 회사소재지 지역여건 등의 순으로 지적하고 있다.
<표4> 부족인원 충원상의 주요 애로요인
구 분
생산직
전체
전문가
기술 및
준전문가
기능직
노무직
인력에 대한 정보부족
10.3
11.7
6.0
4.4
6.9
국내 해당인력 없음
4.3
6.8
8.6
8.1
7.7
중소기업 근무기피 의식
39.7
36.3
36.3
25.3
33.7
임금조건이 맞지 않아서
33.3
23.8
23.8
25.2
25.4
작업환경 열악
2.7
13.9
13.9
19.7
13.3
회사 소재지의 지역여건
9.7
11.4
11.4
17.3
13.0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자료 : 중소기업청, 중소기업 인력실태조사 결과. 2002. 9
2. 중소기업 인력부족 원인
우리나라의 중소기업 인력부족 원인은 여러 가지 요인이 있겠으나, 첫째, 인력수요와 공급간의 기능불일치로 이는 일자리에서 요구되는 기능과 일자리를 찾는 실업자가 보유한 기능이 일치하지 않음으로써, 기업들이 필요한 인력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인력난과 둘째, 인력수요와 공급간의 일자리 불일치로써, 구직자가 일자리를 받아들일 때 요구하는 근로조건 등의 처우수준과 사용자가 해당 일자리에 제공하는 근로조건 등의 처우수준 양자간에 괴리가 있어 인력난이 발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중소기업 인력난은 주로 여기에 해당된다. 중소기업청, 중소기업 인력지원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정 필요성 및 방향, 2002.11
가. 열악한 근로조건이 근무기피의 가장 큰 요인
중소기업의 인력난의 근본적인 원인은 중소기업 자체의 열악한 근로조건 및 근무환경이다. 즉, 대기업에 비해 낮은 임금수준 및 복리후생 혜택, 반면에 많은 근로시간 및 높은 산업재해 위험은 중소기업으로의 인력유입을 제한하는 요인들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제한요인들은 청년층고학력여성인력에게 더욱 강하게 작용하여, 이들은 다른 인력들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중소기업 근무기피성향을 노출하고 있다.
<표5> 대기업중소기업간 근무조건 비교 2002. 5월 현재, 월평균 통계 비교
구 분
임 금
근로시간
법정외 복리비
산업재해율
중소기업
169만원
199.6
103천원
0.94
대 기 업
240만원
195.9
178천원
0.34
자료 : 노동부, 노동통계정보시스템
한편, 중소기업의 열악한 근무조건은 대기업 및 서비스업종으로의 높은 이직을 발생시켜 인력공백을 야기하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어, 중소제조업의 이직률은 대기업의 215%에 달할 정도이다.
나. 중소기업에 대한 차별 및 편견
노동의 공급구조가 교육수준의 변화로 고학력자가 증가하고 젊은층의 직업의식 및 라이프사이클 변화에 따라 규모가 작고(Small size), 임금이 낮으며(Small pay), 단순한 일(Small work) 등 소위 “3S\"직종을 기피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은 작업환경이 열악하고 사내복지, 처우 등 모든 면에서 열악하다는 선입견으로 중소기업 인력난은 가속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규모에 대한 편견에서 비롯된 대기업은 일류, 중소기업은 이류라는 식의 왜곡된 인식은 유망한 중소기업에 조차 인력난을 가져와 자원의 효율적 배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리고,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신뢰가 부족하여 중소기업을 단순히 구멍가게 수준 정도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 크 문제이며 이는 곧
추천자료
[중소기업 조세지원]중소기업 조세지원의 유형, 중소기업 조세지원 연구시험용 시설투자, 중...
[중소기업사업][사업계획서 작성방법]중소기업사업의 사업성분석, 중소기업사업의 공동브랜드...
[중소기업 지원][중소기업 기술신용보증지원]중소기업 신기술개발지원, 중소기업 금융지원, ...
[중소기업][창업지원제도][마케팅][기술경쟁력]중소기업의 개념, 중소기업의 필요성, 중소기...
[중소기업][금융지원제도]중소기업의 디지털화, 중소기업의 경쟁력, 중소기업의 경영애로, 중...
[중소기업 자금조달][중소기업 자금조달 전환사채][중소기업 자금조달 원활화 방안]중소기업 ...
[중소기업 전략]중소기업 전자상거래 전략, 중소기업 중국진출 전략, 중소기업 채용 전략, 중...
[중소기업]중소기업의 역할, 중소기업의 IT화(기술정보화), 중소기업의 구조고도화, 중소기업...
[중소기업][중소기업 기업인수합병][중소기업 금융]중소기업의 세계화, 중소기업의 부실원인,...
[중소기업]중소기업의 의의, 중소기업의 경영환경, 중소기업의 중소기업기본법, 중소기업의 ...
[중소기업][지식재산권운동]중소기업의 정의, 중소기업의 중요성, 중소기업의 성장배경, 중소...
[중소기업][APEC]중소기업의 특성, 중소기업의 기능, 중소기업의 자금활용, 중소기업의 APEC(...
[중소기업][마케팅 전략]중소기업의 필요성, 중소기업의 범위, 중소기업의 장단점, 중소기업...
중소제조업(중소제조기업)의 자동화, 정보화, 중소제조업(중소제조기업) 경기국면, 생산관리,...
소개글